강의에 앞서
첫 번째 강의, 오리엔테이션
―학생들의 전형적 질문에 대한 칸트식의 응답―
1. 인간은 동물이다!?
2. 인간은 이기적 존재다!?
3. 칸트 윤리의 설득력은 어디에서 오는가?
두 번째 강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란 무엇인가?
―칸트 인식론의 혁명적 발상―
1.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의 의미
2. ‘사물 그 자체’는 인식될 수 없다 ―흄과 비트겐슈타인의 회의주의
3. 자연 자체는 어떻게 가능한가? ―칸트의 선험철학
세 번째 강의, 수학과 자연과학을 넘어 형이상학으로
―지성의 범주를 넘어 이성의 이념으로―
1. 형이상학적 인식의 특징
2. 순수 수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3. 순수 자연과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4. 형이상학 일반은 어떻게 가능한가?
5. 전통적 형이상학에서 새로운 형이상학으로
네 번째 강의, 인간은 자기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가?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
1. 영혼론적 이념들 ―순수 이성의 ‘오류추리’
2. 칸트의 ‘선험적 관념론’과 ‘경험적 실재론’
3. 현상적 자아의 부정을 넘어 본체적 자아의 세계로
다섯 번째 강의, 도덕의 세계와 자유는 어떻게 가능한가?
―‘자연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양립―
1. 우주론적 이념들 ―순수 이성의 ‘이율배반’
2. 수학적 이율배반
3. 역학적 이율배반
4. 의지의 자유와 도덕세계의 이념
여섯 번째 강의, ‘도덕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
―윤리학의 본질―
1. 도덕 형이상학의 필요성과 의의
2. 비트겐슈타인을 통해서 본 윤리학의 본질
일곱 번째 강의, ‘선의지’란 무엇인가?
―선의 의미와 선의지―
1. 선의지와 의무
2. 선이란 무엇인가 ―선 · 악의 개념
3. 인간에 내재한 선의 소질
여덟 번째 강의, ‘도덕법칙’이란 무엇인가?
―도덕법칙과 정언명령―
1. 준칙과 법칙
2. 도덕법칙과 자유
3. 정언명령이란 무엇인가?
아홉 번째 강의, 도덕법칙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정언명령의 정식들의 적용 사례―
1. 보편 법칙의 정식(보편주의)
2. 목적 자체의 정식(인격주의)
3. 자율과 인간 존엄성
4. 정언명령은 어떻게 해서 가능한가?
열 번째 강의, 도덕적 감정이란 무엇인가?
―도덕적 동기의 문제―
1. 칸트 윤리학에서 도덕적 감정
2. 도덕법칙에 대한 존경
3. 도덕적 행복감으로서 도덕적 감정
열한 번째 강의, 도덕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
―도덕 교육의 방법론―
1. 『교육론』을 통해서 본 도덕 교육론
2. 『실천이성비판』을 통해서 본 도덕 교육 방법론
3. 『도덕형이상학』을 통해서 본 도덕 교육 방법론
열두 번째 강의, 『도덕형이상학』 「덕론」의 이슈들 1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
1. 덕과 덕의무
2. 인간 사랑에 대하여
3. 자기 자신에 대한 의무에 대하여
4. 자기 자신에 대한 완전한 의무
5. 자기 자신에 대한 불완전한 의무
열세 번째 강의, 『도덕형이상학』 「덕론」의 이슈들 2
―타인에 대한 의무―
1. 사랑의 의무와 존경의 의무
2. 타인에 대한 사랑의 의무
3. 타인에 대한 존경의 의무
4. 사랑과 존경의 결합 ―우애
마지막 강의, 도덕적 삶은 행복을 보장할 수 있는가?
―영혼 불멸과 신의 현존에 대한 요청―
1. 도덕과 행복은 일치하는가? ―플라톤의 경우
2. 도덕 원리와 행복 원리의 구분
3. 최상선과 최고선
4. 순수 실천이성의 요청
5. 도덕과 행복은 일치하는가? ―비트겐슈타인의 경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