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레이첼 카슨

바다를 애타게 사랑한 여성 과학자의 양심, 침묵의 봄


  • ISBN-13
    978-89-92877-64-0 (44330)
  • 출판사 / 임프린트
    나무처럼 / 나무처럼
  • 정가
    1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11-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윤해윤
  • 번역
    -
  • 메인주제어
    인물, 문학, 문학연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레이첼카슨전기 #환경운동 #인물, 문학, 문학연구 #여성인권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2 * 188 mm, 140 Page

책소개

환경운동의 시발점을 만든 레이첼 카슨의 전기다. 어릴 때부터 자연의 소중함을 안 레이첼 카슨이 전하는 소중한 메시지가 담겨 있다. 바다를 애타게 사랑한 과학자 레이첼 카슨은 신제품 DDT 살충제가 대량 살포되어 땅과 바다, 강과 하천을 오염시키고, 그 오염이 인간의 생명을 위협하는 실태를 그저 구경만 할 수는 없었다. 레이첼 카슨이 새들이 오지 않는 봄을 맞이할 것이라는 『침묵의 봄』을 써서 세상에 내놓는 과정은 실로 고난과 고통의 연속이었지만, 이로 말미암아 대중은 진실을 마주할 수 있었다.

목차

시작하면서 …7

1 마침내 바다를 보다 …15
2 글을 쓰는 과학자 …29
3 바다 이야기 …41
4 어떤 재앙이 닥칠지 …49
5 달콤하지도 로맨틱하지도 …57
6 바람이 하늘에 쓴 글 …71
7 마법의 하얀 가루 …87
8 죽음의 비 …95
9 그 많던 새는 다 어디로 …115
10 영원히 바다에 잠들다 …123
11 그 후로도 지금까지 …133

연보 …138

본문인용

레이첼 카슨은 쑥스러움을 많이 타는 말수 적은 여성이다. 
수줍어 사람들 앞에 잘 나서지도 않던 그녀가 
살충제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청문회에서 
DDT 살충제가 인간과 환경에 미치는 위험성을 
40분에 걸쳐서 강력하게 발언하며 의원들을 노려보았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해외에서 들어온 불개미, 말라리아 모기,
매미나방, 딱정벌레 등은 나라마다 골칫거리였다. 
화학자인 뮐러가 만들어 낸 DDT는 
지중해 지역에 널리 퍼진 말라리아 모기를 감소시켰고,
이 공을 인정받아 뮐러는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당시 이 살충제는 인간에게는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신비로운 DDT는 해충을 없애 주어, 
나무나 농작물이 말끔하게 자라게 해 주었다. 
사람들은 DDT를 ‘신이 내린 선물’이라고 숭배했다. 
그러나 그들은 이 신비한 마법의 하얀 가루가 
어떤 재앙을 몰고 올지 알지 못했다. 
대중은 과학 지식이 전혀 없었고 
지식인들은 정부와 기업과 결탁하여 
그 위험성을 숨겼기 때문이다. 

원래 레이첼 카슨은 바다와 관련한 것은 
무엇이든 연구하고 또 연구하는 
바다를 애타게 사랑하는 생물학자였다. 
당시 사람들은 바다에 관해서 아는 지식이 별로 없었다. 
그저 신비로운 존재로만 알 뿐이었고, 
그나마 아는 것도 오류가 많았다. 
그렇기에 레이첼 카슨은 자신의 글쓰기 실력을 바탕으로
바다를 주제로 한 책들을 출간했다. 
『바닷바람을 맞으며』, 『우리를 둘러싼 바다』, 
『바다의 가장자리』는 레이첼 카슨이 바다에 바치는
일종의 오마주였고, 
글을 쓰고 탐방하는 내내 충만했다. 

그러나 『침묵의 봄』은 달랐다. 
살충제 DDT의 무분별한 살포로,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거나 목숨을 잃고 
새들이 떼죽음을 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DDT 살충제의 위험을 알리는 『침묵의 봄』을 
4년간에 걸쳐 쓰면서 레이첼 카슨은 내내 고통스러웠다. 

과학자의 눈으로 본 DDT는 살인 무기였다. 
이 강력한 무기는 기형아를 만들었고, 
죽음에 이르는 질병에 걸리게 해, 
인간은 물론 지구의 모든 생명체를 위협했다. 
레이첼 카슨은 이 모든 것을 외면하고 가만히 앉아 
무작정 바다만 동경하고 있을 수 없었다. 

독성이 강한 살충제 대량 살포는 
생태계 파괴를 의미했지만,
20세기 중반을 사는 사람들에게 자연보호 개념은 없었다. 
DDT를 지속해서 살포한다면 사람들은 병들고, 
급기야 새들이 없는 봄을 맞이할 거라는 
레이첼 카슨의 증거는 
새하얀 마법의 가루에 열광하는 대중에 찬물을 끼얹었다. 
몸에 해가 없다고 믿었던 대중은 열광만큼 분노했다. 
그러나 이미 생명을 잃었거나 병들었고, 
뒤따라오는 자연재해는 
오로지 개인이 감내해야 할 몫이었다. 

이에 발등에 불이 떨어진 살충제 회사들은 
레이첼 카슨을 ‘실력 없는 여성 과학자’니 
‘빨갱이’니 하며 레이첼 카슨을 적극적으로 몰아세웠다. 
그러나 4년에 걸쳐서 『침묵의 봄』을 쓰면서 
그 위험성을 되풀이해서 고증하고 감수했기에, 
이런 레이첼 카슨이 내미는 
DDT의 화학적·의학적 증거를 
그들은 결국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과의 싸움은 힘들고 고통스러웠지만, 
병든 몸으로 레이첼 카슨은 
이 작업을 소명으로 삼았고, 
결국 DDT는 세상에서 사라지고 말았다. 
이 사건은 자연을 스스럼없이 훼손하던 시절, 
환경 혁명의 시발점이었고, 
자연보호 개념을 대중에 심어 주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레이첼 카슨의 외침은 이어진다.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윤해윤
윤해윤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 위대한 인물의 이야기가 아이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위인들이 살아가는 모습과 행동에서 강력한 영감을 얻어 정신적인 멘토를 찾는 아이들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로 말미암아 윤해윤은 전기에 관심이 커졌고, 전기 관련 번역과 출판기획자로 활동하다가 급기야 전기 작가로 데뷔하기에 이르렀다. 이번『레이첼 카슨』은 『이태영』, 『에멀린 팽크허스트』, 『왕가리 무타 마아타이』, 『김만덕』, 『말랄라 유사프자이』, 『헬렌 켈러』『도로시 데이』『제인 구달』에 이은 여성 인권 책으로, 바다를 사랑하는 레이첼 카슨이 우리에게 전하는 환경 메시지를 담았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