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2D 뒤표지

한국어와 중국어의 한자 동형어 대조

-한국어 교육용 어휘 중 기본 동사 한자어를 중심으로


  • ISBN-13
    978-89-6511-448-2 (93720)
  • 출판사 / 임프린트
    시간의물레 / 시간의물레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10-24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최금단
  • 번역
    -
  • 메인주제어
    언어, 언어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중국어 #동의어 #이의어 #기본동사 #교육용 어휘 #최금단 #한중한자동형어 #한중한자이의어 #언어, 언어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30 * 190 mm, 280 Page

책소개

중국어는 오랜 시일을 거쳐 한국어에 차용·전파되어 한국어 어휘체계 속에서 고유어와 대립되는 한자어로 고착되는 동시에 한국어의 내재적 및 외재적 제약성으로 말미암아 형태·의미·품사 및 용법 등 여러 면에서 첨가와 탈락의 과정을 거쳐 原語와 일정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나타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착안하여 필자는 일차적으로 중국어와 대조 가능한 현용 한국 교육용 기본 한자어 900어휘를 선정하고, 이차적으로 중국어 어휘와의 대조를 통하여 양국 어휘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 근거 및 한국인이 중국어를 사용할 때에 쉽게 나타날 수 있는 오류 방지의 해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형태소의 형태·의미·배열순서 및 그 변화를 토대로, 본 저서에서 대조되는 한·중 양국 어휘를 同形同素對等語, 異形不完全同素對等語, 同形同素異義語, 逆順同素對等語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대조 분석하였으며 중국 대표적 문학작품의 예문을 첨부하여 보충 설명하였다.

목차

1. 중국어와 한국어의 한자 동형어
2. 한중어휘 가나다별 총색인

본문인용

1 - 한중 동형 동의어

가공하다 [加工하다]

加工 (jiā gōng)

農産品的再加工增加了農家的收入。
농산품을 재가공하여 농가의 수입이 늘었다.

2– 한중 동형 동의어

가설하다 [架設하다]

架設 (jià shè)

架設新的橋梁之后交通更加方便了。
새로운 교량을 가설한 이후에 교통이 더 편리해졌다.

3– 한중 동형 동의어

가열하다 [加熱하다]

加熱 (jiā rè)

加熱到一百度才能消滅細菌。
100도까지 가열해야 세균을 죽일 수 있다.

4– 한중 동형 동의어

가입하다 [加入하다]

加入 (jiā rù)

加入了韓中友好協會之后認識了很多新朋友。
한중우호협회에 가입한 이후에 많은 새로운 친구들을 사귀게 되었다.

5– 한중 동형 동의어

가정하다 [假定하다]

假定 (jiǎ dìng)

假定我們明天出發, 后天就可以到首爾。
만약 우리가 내일 출발한다고 가정하면 모레 서울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6 - 한중 동형 동의어

각오하다 [覺悟하다]

覺悟 (jué wù)

老师的开导终于使他觉悟了。
선생님의 타이름으로 그는 마침내 각오할 수 있었다.

經過朋友的勸說, 他終于覺悟到了必須励志向学。
친구의 설득으로 그는 마침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7 - 한중 동형 이의어

각오하다 [覺悟하다]
1) 앞으로 해야 할 일이나 겪을 일에 대한 마음의 준비를 하다.
2) 도리를 깨쳐 알다.

覺悟 (jué wù)
1) 동사: 省悟
깨닫다, 자각하다, 인식하다.

他已覺悟到這是最后一次選擇。
그는 이번 선택이 마지막이라고 각오하였다.
2) 명사: 精神準備
각오, 깨달음, 자각, 인식.

他的覺悟非常堅定。
그의 각오는 확고하였다.
【분석】 “시험에서의 불합격을 각오하고 있지만 절대로 후회하지는 않는다.”를 중국어로 “覺悟考試不及格, 但是絶對不后悔。”로 작문하면 非文이 된다. 해당 작문은 “對考試不及格有心里準備, 但是絶對不后悔。”로 표현해야 한다.

서평

한국인과 중국인의 생활 속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일상 어휘들로 구성된 동사들에 대한 대조 학습은 한국어 화자의 중국어 학습뿐만 아니라 중국어 화자의 한국어 학습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최금단
중국(북경) 중앙민족대학 민족학(문화인류학·중국지역학) 학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한중대조언어학) 석사·박사
현) 대진대학교 상생교양대학 교수
KBS 〈아침마당〉 중국문화 전문가 패널
한국일보 〈한국에 살면서〉 칼럼니스트
세계일보 〈한국에서 보니〉 칼럼니스트

■ 주요 저서
『한국어 단어로 배우는 중국어 단어』
『한국인은 왜 까치밥을 남길까?』
『現代 中國語와 韓國 漢字語의 對比 硏究』
『유네스코와 함께 떠나는 다문화 속담 여행』(공저)
『This is Chinese 1』(공저)
『한국어 발음 교육』(공저)
『바른 소리 -중국어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습득 교재』(중국어편)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첫걸음 -사랑해요, 대한민국』(중국어편)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