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공간의 진정성

깊은 사색으로 이끄는 36편의 에세이


  • ISBN-13
    978-89-5872-214-4 (03600)
  • 출판사 / 임프린트
    효형출판 / 효형출판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6-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종진
  • 번역
    -
  • 메인주제어
    건축이론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공간 #삶 #경험 #현상 #체험 #거닒 #머무름 #빛 #감각 #기억 #시간 #깊이 #예술 #문학 #자연 #미술관 #박물관 #산책 #사색 #오솔길 #건축이론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3 * 188 mm, 240 Page

책소개

우리 일상 속, 진정한 공간에 대한 단상. 우리는 어디서나 늘 어떠한 '공간'에 둘러싸여 있다. 하지만 이런 공간에서 무엇을 경험하고 체험하는지, 그 공간에 무엇이 담겨있는지에 대해서는 그리 깊이 생각하지 않는다. 이 책은 공간을 더 깊이 경험하는 법, 특별하지 않은 일상 공간에서 의미를 찾는 법, 공간에 담긴 이야기를 읽어 내는 법을 제시해 우리로 하여금 일상 공간을 돌아보게 한다.

목차

깊은 공간으로의 여정 4

01 거닐고 머무름
‘최초의 집’과 ‘동굴 놀이’ 12
나만의 공간 만들기 16
보이지 않는 벽 19
어느 철학자의 유언 23
삶을 담은 그림 28
경험의 지층 37
걷기와 머물기의 즐거움 41
몸과 마음이 함께 오르내리다 48
모이는 공간, 흩어지는 공간 55
‘공간의 안무’ 62
네 단계의 거리 68
건축, 미술, 자연 속에서 산책하기 73

02 빛과 감각
안개 82
우리는 무엇을 보는가 88
빛이 만드는 인식의 틀 93
렘브란트, 페르메이르, 호퍼 100
어떤 빛이 좋은 빛인가 108
한 줄기 작은 빛이라도 114
여행은 우리를 해체한다 121
후각 미로, 후각 기억 125
공간의 울림, 소리 133
몸과 사물과 공간의 만남, 촉감 140
깊은 감각은 기억이 되어 144
지금 여기, 사라진 월든 149

03 기억과 시간
장소의 추억 156
무의식과 기억 161
삶이 모여 장소가 되다 167
템스강에 스며든 오래된 발전소 172
매일 새로 태어나는 집 180
우리는 무엇을 그리워하는가 186
변화하고 흐르는 193
특별한 순간을 포착하다 197
공간의 템포 202
오래된 공간 되살리기 210
서로를 놓아줄 때 218
사람과 공간, 하나의 숨결 226

주 233

본문인용

건축과 공간이 깊이 있는 경험을 더 많이 제공할 때 삶도 풍부해진다. 겉모습만 화려한 건축, 사진 찍기 위한 이미지로서의 공간은 이러한 경험을 보장하지 못한다. ‘공간이 어떠한 경험을 만들 수 있는가’는 건축의 크기와 형식을 초월한다. 그것은 외형이 아닌 공간의 질적 특성에 의해 좌우된다. 그러므로 평범한 건물, 일상 공간에서도 깊이 있는 경험은 가능하다.

서평

길거리를 지나면 매일 새로운 공간이 지어지고 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 공간도 소비의 대상이 되어 빠르게 리모델링되고 재건축되는 모습을 마냥 비판할 수만은 없지만 그런 공간에서 우리가 무엇을 놓치고 살아가는지는 한번 생각해 볼 법하다. 공간은 단지 사람이 몸을 들이는 단순한 장소가 아니다. 사람은 매 순간 자신이 머무는 공간을 느끼고 그와 교감하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참된 공간에서의 진정한 거주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이 책을 통해 공간에 담긴 의미와 기억, 감각을 찾아보자.

저자소개

저자 : 김종진
깊고 아름다운 빛 속에서 삶과 공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세월의 흔적이 자연스레 아로새겨지는 건축을 꿈꾼다. 그러한 건축이 내면을 울리고, 하나의 문화를 만들 수 있음을 믿는다.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AA School)와 미국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건축과를 졸업했다. 뉴욕과 런던의 여러 사무소에서 실무를 쌓고 2004년부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간 설계와 공간 예술을 가르치며 이론 연구와 디자인 실무를 병행하고 있다. 효형출판에서 『공간 공감』(2011), 『미지의 문』(2018)을 출간하였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