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입체표지(3D 표지)

프랑스혁명사

삼신분회에서 열월 9일까지


  • ISBN-13
    979-11-6503-206-7 (93920)
  • 출판사 / 임프린트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8-1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프랑수아 퓌레 , 드니 리셰
  • 번역
    김응종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프랑스 #혁명사 #역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4 mm, 437 Page

책소개

 이 책은 프랑스혁명사 개설서의 형태를 하고 있지만 대단히 논쟁적인 책이다. 프랑스혁명사 해석은 크게 ‘정통해석’(마르크스주의 해석, 자코뱅해석, 고전해석으로도 불린다)과 수정해석(자유주의해석으로도 불린다)으로 나뉘는데, 이 책은 수정해석의 고전이다. 저자들은 프랑스혁명 초기에 부르주아들이 계몽사상에 입각하여 기획한 자유주의 혁명이 민중(상퀼로트)의 개입으로 ‘탈선(脫線)’했고, ‘조난(遭難)’ 당했다고 본다. 저자들이 바라본 프랑스혁명기의 민중(상퀼로트)은 정통해석에서 주장하는 “정치적으로 가장 진보적인 혁명집단”이 아니라 “과거의 황금시대”로 돌아가려는 반동적인 집단이다.  

 수정해석은 퓌레의 『프랑스혁명 해석』(1978)에서 심화되어, 혁명을 탈선시킨 광적인 폭력은 민중의 개입으로 시작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혁명 그 자체에 내장되어 있다고 본다. 폭력은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비롯되었는데 전쟁은 혁명에서 비롯되었으니 결국 모든 책임은 혁명 그 자체에 있다는 논리이다. 이러한 반혁명적인 해석은 프랑스혁명의 산악파 공포정치에서 20세기의 재앙인 전체주의를 발견하는 데에서도 엿볼 수 있다. 

목차

새로 번역하며 _ 4

신판을 내며 _ 8

연표 _ 18 

 

Cahpter 01 루이16세 시대의 프랑스 …33

구체제의 사회 _ 48 ㅣ 절대군주정 _ 69

 

Cahpter 02 신분들의 반란 …81

명사들과 고등법원 _ 88 ㅣ 전반적 위기 _ 97 ㅣ 국민파 _ 100

 

Cahpter 03 89년 여름의 세 혁명 …113

변호사들의 혁명 _ 118 ㅣ 파리의 혁명 _ 131 ㅣ 농민들의 혁명 _ 137 ㅣ 국민의회와 국왕: 9월과 10월의 위기 _ 145 

 

Cahpter 04 행복한 해 …161

베르사유에서 튈르리로 _ 166 ㅣ 마네주 의회 _ 168 ㅣ 새로운 힘: 여론 _ 174 ㅣ 파리 _ 177 ㅣ 국민방위대 _ 179 ㅣ 연맹들 _ 180 ㅣ 1790년: 자유주의적 귀족의 해, 잃어버린 환상의 해 _ 183 ㅣ 제헌의회의 활동: 새로운 사회의 등장 _ 185

 

Cahpter 05 혁명의 탈선 …203

재정적, 종교적 난점 _ 209 ㅣ 반혁명 _ 217 ㅣ 혁명의 경쟁적 상승 _ 219 ㅣ 흑인들의 친구들과 본토이주민들의 친구들 _ 220 ㅣ ‘토리’당을 향하여 _ 222 ㅣ 국왕의 탈주 _ 224 ㅣ 분노와 공포 _ 228 ㅣ 샹드마르스 _ 230 ㅣ 자코뱅과 푀양 _ 232 ㅣ 입법의회 _ 234 ㅣ 프랑스 혁명인가 유럽 혁명인가 _ 235 ㅣ 혁명의 군사적 허약성 _ 238 ㅣ 혁명이 원한 전쟁 _ 239 ㅣ 상퀼로트의 요구 _ 243 ㅣ 최초의 패배로 인한 민중과 국왕의 대립 _ 246 ㅣ 위기에 빠진 조국 _ 249 ㅣ 8월 10일 _ 250 

 

Cahpter 06 혁명의 낭만주의 …257

능력자들의 공화국 _ 263 ㅣ 파리코뮌 _ 268 ㅣ 제1차 공포정치 _ 270 ㅣ 침입 _ 275 ㅣ 9월학살 _ 277 ㅣ 발미 _ 280 ㅣ 초기의 국민공회 _ 282 ㅣ 국왕의 재판 _ 286 ㅣ 왕의 죽음 _ 290 ㅣ 공화국의 승리 _ 293 ㅣ 피트와 동맹 _ 297 ㅣ 비극적인 봄 _ 300 ㅣ 방데: 도시에 대한 농촌의 저항 _ 304 ㅣ 파리 : 부자에 대한 빈자의 저항 _ 309 ㅣ 공포정치로의 첫 걸음 _ 312 ㅣ 권력투쟁 _ 314 ㅣ 5월 31일 _ 319 ㅣ 6월 2일 _ 321

 

Cahpter 07 조난(遭難)의 시간 …327

상퀼로트 _ 336 ㅣ 당통 _ 340 ㅣ 마라 _ 343 ㅣ 코르들리에파 _ 345 ㅣ 대위원회 _ 347 ㅣ 청렴지사 _ 353 ㅣ 연방주의 봉기 _ 357 ㅣ 저주받은 방데 _ 359 ㅣ 침입받는 공화국 _ 361 ㅣ 9월 사태 _ 363 ㅣ 혁명정부 _ 365 ㅣ 공포정치 _ 371 ㅣ 매점자 고발 _ 374 ㅣ 탈그리스도교화 _ 375 ㅣ 전쟁 독재 _ 379 ㅣ 혁명력 2년의 군인들 _ 381 ㅣ 두 전선에서의 투쟁 _ 385 ㅣ 파리의 재판 _ 391 ㅣ 얼어붙은 혁명 _ 395 ㅣ 승리의 봄 _ 399 ㅣ 열월 9일 _ 400

 

맺음말 _ 404

참고문헌 _ 408

역자후기–프랑수아 퓌레의 수정주의 프랑스혁명사 _ 416

색인 _ 429

본문인용

1792년 8월 10일 이후 혁명은 전쟁과 파리 군중의 압력에 의해서 18세기의 지식과 부가 그어놓은 궤도 밖으로 탈선했다. 평등주의적 열정이 표면으로 솟아올라, 응축된 굴욕감의 힘과 민중적 비전의 색깔을 빈약한 표현들 위로 드러내주었다. 드러난 것, 그것은 모든 것이 신분이요 특권이었던 구체제 사회가 전도된 모습이었다. 상퀼로트가 요구한 세계는 위계가 없고, 특별함이 없고, 재산이나 재능의 위세가 없는 세계였다. 귀족이라는 저주스러운 말이 불러일으키는 모든 것이 사라진 세계였다. 조레스가 그토록 잘 이해했던 혁명의 저편에 있던 것은 미슐레가 직관적으로 간파한 혁명, 즉 빈곤과 분노의 암울한 힘의 혁명이었다.

(본문 404쪽)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프랑수아 퓌레
· 1927년 파리의 부유한 부르주아 집안에서 출생.
· 소르본대학에서 문학과 법학 수학.
· 1956년 국립과학연구소에 들어가 18세기 파리의 부르주아들에 관해 연구.
· 1961년에 고등학문연구원 제6국에 들어갔고 1966년에 연구 교수가 됨.
· 1965년에 드니 리셰와 함께 『프랑스혁명사』 출판.
· 1977년-1985년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원장.
· 1978년에 『프랑스혁명 해석』 출판.
· 미국 시카고 대학에서 강의.
· 1988년에 모나 오주프와 함께 『프랑스혁명 비판 사전』 편집 출판.
· 1990년에 모나 오주프와 함께 『정치문화의 전환. 1789-1848』 편집 출판.
· 1995년에 『환상의 과거. 20세기 공산주의 이념 연구』 출판.
· 1996년에 하버드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음.
· 1997년에 프랑스학술원 회원으로 선임.
· 1997년 사망.
저자 : 드니 리셰
· 1965년에 프랑수아 퓌레와 함께 『프랑스혁명사』 출판.
번역 : 김응종
1978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서양사학과 졸업 후 1984년 프랑스 낭트 대학교에서 석사, 1987년 프랑스 프랑쉬콩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88년 이래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는 충남대학교 사학과 명예교수이다.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장, 인문대학장, 한국프랑스사학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아날학파》(민음사, 1991),《 오늘의 역사학》(공저, 한겨레신문사, 1998), 《아날학파의 역사세계》(아르케, 2001), 《서양의 역사에는 초야권이 없다》(푸른역사, 2005), 《 페르낭 브로델》(살림, 2006), 《서양사 개념어 사전》(살림, 2008), 《관용의 역사》(푸른역사, 2014), 《프랑스혁명사는 논쟁 중》(푸른역사, 2022) 등이 있고, 역서로는 《프랑스혁명사》(일월서각, 1990), 《16세기의 무신앙 문제》(문학과지성사, 1996), 《고대도시》(아카넷, 2000), 《랑그도크의 농민들》(공역, 한길사, 2009), 《유럽은 어떻게 관용사회가 되었나》(푸른역사, 2015), 《라로슈자클랭 후작부인의 회고록》(한국문화사, 2018)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