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대한민국 제조의 미래 : 혁신과 전략


  • ISBN-13
    979-11-91812-46-6 (93580)
  • 출판사 / 임프린트
    율곡출판사 / 율곡출판사
  • 정가
    3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5-3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한구 , 조영삼 , 권요안 , 이명호 , 김유빈 , 오윤환 , 김문구 , 오지선 , 예화경 , 김문선 , 손지연 , 박종현 , 김희대 , 추선우 , 송민재
  • 번역
    -
  • 메인주제어
    기술, 공학, 농축산업, 산업공정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제조업 #제조혁신 #인더스트리 5.0 #수학, 과학 #기술, 공학, 농축산업, 산업공정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2 * 245 mm, 370 Page

책소개

 들어가는 글

 

한국의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로 OECD(평균 13%) 회원국 대비 최상위권이다. 이를 고려할 때 한국에서 제조업은 국가 경제발전 과정의 핵심 산업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기술, 경제, 사회 등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하면서 제조산업에서의 변화와 혁신이 촉진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 첨단기술의 발전은 생산체계의 변화를 가져왔고, 한편으로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 요구가 증가하면서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 도입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제조의 공급체인 붕괴와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으로 자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공급망 내재화 등이 확산되면서 제조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기술·산업·경제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조혁신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전통적인 제조산업에서 경쟁력을 가진 우리나라가 제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속에서 제조산업의 지속적인 글로벌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로봇, 디지털 트윈 등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여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운용 효율성 개선 등 제조산업의 혁신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책은 제조분야 여러 전문가의 경험과 식견을 모아 우리나라 제조산업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되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미래 산업 전략’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기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인더스트리 4.0을 넘어 인더스트리 5.0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제조업을 전망하고 디지털 전환의 패러다임 변화를 마주한 중소기업의 대응을 고찰한다. 그리고 IC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제조산업을 살펴보고, 미·중 기술패권의 치열한 경쟁환경 속에서 글로벌 공급망에 대한 변화된 시각과 제조업의 재편 방향을 전망해 본다.

제2부 ‘제조혁신 정책’에서는 제조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어떤 혁신적인 전략과 정책을 펼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본다. 제조산업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 가능한 산업육성 방향, 제조강국의 제조혁신 정책을 통한 우리나라의 정책적 전략 방향, 국내 중소기업의 스마트 제조 활성화 방향, 오픈 이노베이션 관점의 제조혁신 방향, 그리고 등대공장을 통한 국내 중소·중견 기업의 “K-스마트등대공장” 전략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3부 ‘기술과 산업생태계’에서는 제조산업의 괄목할 만한 성장을 견인한 첨단 ICT 기술과 제조현장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산업생태계에 대해 살펴본다.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제조혁신, 작업자와 협동로봇의 협업을 통한 제조산업의 경쟁역량 확보 방안, 그리고 메타버스를 활용한 미래 스마트공장의 모습 등을 살펴본다.

이 책은 제조산업 분야 전문가분들이 해당 업무분야에서 축적한 오랜 경험과 노하우, 그리고 전문가적인 혜안을 가지고 급변하는 글로벌 제조산업에 대해 미래 전략과 글로벌화, 제조혁신, 기술과 산업생태계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우리나라 제조산업의 변화와 미래 혁신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의 기술패권 경쟁 등 제조업을 둘러싼 글로벌 경쟁 환경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상황에서 제조산업의 미래를 전망한 이 책이 우리나라 제조산업의 미래 지향적 발전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기원한다. 또한 국내 제조산업의 지속 가능한 글로벌 경쟁역량이 제고되고 제조산업이 우리나라 산업 성장의 지속적인 핵심 동인이 되기를 소망한다.

끝으로 이 책이 세상에 나올 수 있게 많은 도움을 주신 율곡출판사 관계자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23년 5월


 

목차

1부 미래 전략과 글로벌화
제1장 인더스트리 5.0 시대의 지속 가능한 제조업
제2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제3장 스마트 제조, ICT 기술 활용 산업 동향
제4장 글로벌화의 쇠퇴와 제조업의 재편

2부 제조혁신
제5장 제조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전략적 제조산업 육성 방향
제6장 글로벌 제조강국의 제조혁신 정책과 한국에의 시사점
제7장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방향
제8장 제조혁신과 오픈 이노베이션
제9장 등대공장 현황 및 육성 방안

3부 기술과 산업생태계
제10장 디지털 트윈과 제조혁신
제11장 제조로봇의 산업경쟁력 : 국내 협동로봇
제12장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 클러스터와 제조혁신
제13장 메타버스로 구현되는 미래공장 3.0 : Return of Manufacturing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한구
한국인더스트리4.0협회
저자 : 조영삼
산업연구원
저자 : 권요안
정보통신기술기획평가원
저자 : 이명호
태재연구재단, 미래학회
저자 : 김유빈
명지대학교
저자 :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저자 : 김문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자 : 오지선
KAIST
저자 : 예화경
스마트제조혁신협회
저자 : 김문선
스마트제조혁신협회
저자 : 손지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자 : 박종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저자 : 김희대
대구테크노파크
저자 : 추선우
메타팩토리
저자 : 송민재
아이앤오케이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