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산토끼와 집토끼


  • ISBN-13
    979-11-980005-4-5 (74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소라피리 협동조합 / 소라피리 협동조합
  • 정가
    1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1-1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준연
  • 번역
    -
  • 메인주제어
    유아, 어린이그림책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누리과정 #정서발달 #자유로운 생각과 감정 #긍정적 자아감
  • 도서유형
    종이책, 양장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유아/어린이
  • 도서상세정보
    200 * 200 mm, 24 Page

책소개

이 책은  재 자신의 불만과 기분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려줍니다. 

산토끼와 집토끼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흥미롭게 살펴보면서 생각과 감정의 차이도 느낄 수 있어요. 

만족과 불만족의 감정과 정서를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표현하면서 정서발달을 향상하게 됩니다. 

 

04 산토끼와 집토끼 

 

자유로운 생각과 감정, 긍정적 자아감

 

산토끼와 집토끼는 무엇이 불만일까요?

기가 막힌 꾀를 내었는데, 

둘 다 행복할까요?

목차

목차 없음

본문인용

서평

04 산토끼와 집토끼 

 

□ 줄거리

“아휴, 배고파! 산은 보기만 해도 짜증난다. 마을에 사는 집토끼들은 얼마나 좋을까?”

산토끼 흰둥이는 도토리골 집토끼가 되고 싶어 합니다. 

도토리골 하얀 집토끼는 떡바위골 산토끼가 되고 싶어 합니다.

우연히 만난 산토끼와 집토끼는 서로들 잘 되었다고 좋아합니다. 

집토끼가 된 산토끼와 산토끼가 된 집토끼는 즐겁게 지내고 있을까요?

 

□ 서평

떡바위골 흰둥이 산토끼는 왜 푸른 산을 보면서 엉엉 울었나요?

산토끼와 집토끼의 뒤바뀐 생활을 보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누구나 자신의 상황과 처지에 대해 불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불만이 많으면 많을수록 나와 다른 친구들을 비교하게 되고 자신의 상황이 더 비참하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부정적 생각은 차츰 부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되고 자신을 무능하다고 여기게 됩니다. 매사 소극적으로 행동하게 되고 끝내 자신의 삶이 불행하다고 느끼게 되지요. 

유아들이 올바르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 및 여러 현상 등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산토끼와 집토끼』를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유아들이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존중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대해 관심과 흥미를 가졌으면 합니다. 이러한 관심과 흥미는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방법을 익히고 그 속에서 만족과 행복을 느끼게 해 줍니다.

 

저자소개

저자 : 이준연
이준연 선생님은 대학에서 문예창작을 공부했고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동화가 당선되었습니다. 한국아동문학상, 세종아동문학상, 한국어린이도서상, 대한민국문학상 본상, 방정환문학상, 이주홍아동문학상, 어린이문화대상, 한국동화문학상 등을 수상했습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많은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는 『인형이 가져 온 편지』, 『마음의 꽃다발』, 『지워지지 않는 일기』, 『거꾸로 나라 임금님』, 『세 발 강아지』, 『밤에 온 눈사람』, 『별이 보이는 수수깡 안경』, 『가을 나비』, 『도깨비가 된 허수아비』, 『소라뿡 창의성 시리즈 전 20권』 등 400여 권이 있습니다.
도서출판 [소라피리]는 아동문학 기반 융합콘텐츠 개발 회사이며, 1000건 이상의 지식재산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동문학가이자 문학박사, 철학박사인 대학교수들이 교육적 생애 근간인 아동교육의 불균형 문제를 체계적, 실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유치원,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아동의 신체·심리발달과정에 맞춘 아동문학 · 융합콘텐츠 개발 회사를 창업하였습니다.
시대 변화에 맞춘 창작동화를 중심으로  그림책,  동화 영상, 교육용 게임 시리즈를 함께 즐기면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