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07
예비적 언급 14
제1장 미학적 결론에 전제된 철학적 층위들 및 그 체계적 선후관계
1.1. ‘새로운 신화학’―그 갈망과 좌절과 극복: 헤겔 명제에 내포된 실천철학적 층위 44
1.2. 인간 자기 내면화를 통한 신의 인간화: 헤겔 명제에 내포된 종교철학적 층위 76
1.3. 예술의 현상적 만개의 무의미함 106
1.4. 근원을 향하여: 미학의 체계적 근거로서의 진리론과 정신론 112
제2장 절대정신의 내용으로서의 진리: 헤겔의 진리 이론
2.1. 진리 이론의 철학사적 선구들 120
2.2. 헤겔의 진리 개념: 모든 사태의 절대적 원리로서의 진리 155
제3장 절대정신의 형식으로서의 이론적 정신: 헤겔의 지능 이론
3.1. 지능의 본질적 구조와 성장 논리 208
3.2. 직관에서 사유까지: 지능의 단계적 자기 회복 과정 226
제4장 헤겔의 미학적 결론의 정당성과 부당성, 그리고 가능한 대안들
4.1. 하나의 ‘유사 지식’으로서의 예술의 종언은 인정할 수 있다 349
4.2. 헤겔에게서 느껴지는 불편함과 그에 대한 저항들 353
4.3. 새로운 대안을 찾아서 376
부록: 헤겔의 반낭만주의적 낭만주의: 그의 체계에서 ‘낭만적인 것’의 변증법 408
참고 문헌 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