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헤겔의 체계와 미학


  • ISBN-13
    979-11-89468-90-3 (93130)
  • 출판사 / 임프린트
    계명대학교출판부 / 계명대학교출판부
  • 정가
    2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9-06-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권대중
  • 번역
    -
  • 메인주제어
    철학: 미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헤겔 #철학: 미학 #체계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4 * 224 mm, 454 Page

책소개

헤겔 미학이 지니는 강점과 매력은 그것의 무진장한 내용적 풍부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러한 풍부함이 철저한 정신철학적 엄밀함을 통해 논증적으로 정당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 책은 헤겔의 미학을 저 유명한 예술의 ‘종언’ 내지 ‘과거성’ 명제를 중심으로 해명하되, 특히 문제의 이 명제를 미학 내적 맥락을 넘어 그의 철학 체계의 주요 유관 부분들과 연계하여 세밀하게 다룸으로써 좀 더 거시적 차원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유도한다. 그렇기에 헤겔 미학을 다루는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큰 틀에서 보면 세 가지이다. 

 

첫째, 헤겔 미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둘째, 헤겔의 예술의 종언 명제를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셋째, 이러한 비판을 근거로 이 명제를 근본적으로 수정한 대안적 이론 모델의 제시를 시도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헤겔 미학이라는 특정한 유형의 사고 모델을 분석하고 비판하며, 가능한 대안 이론을 찾고자 시도함으로써 ‘과거의 현재적 지양을 통한 미래의 지향’이라는 학문적 변증법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목차

책머리에  07 

예비적 언급  14 

 

 

제1장 미학적 결론에 전제된 철학적 층위들 및 그 체계적 선후관계 

 1.1. ‘새로운 신화학’―그 갈망과 좌절과 극복: 헤겔 명제에 내포된 실천철학적 층위  44

 1.2. 인간 자기 내면화를 통한 신의 인간화: 헤겔 명제에 내포된 종교철학적 층위  76 

 1.3. 예술의 현상적 만개의 무의미함  106 

 1.4. 근원을 향하여: 미학의 체계적 근거로서의 진리론과 정신론  112 

 

 

제2장 절대정신의 내용으로서의 진리: 헤겔의 진리 이론

 2.1. 진리 이론의 철학사적 선구들  120 

 2.2. 헤겔의 진리 개념: 모든 사태의 절대적 원리로서의 진리  155 

 

 

 

제3장 절대정신의 형식으로서의 이론적 정신: 헤겔의 지능 이론

 3.1. 지능의 본질적 구조와 성장 논리  208 

 3.2. 직관에서 사유까지: 지능의 단계적 자기 회복 과정  226

 

 

제4장 헤겔의 미학적 결론의 정당성과 부당성, 그리고 가능한 대안들

 4.1. 하나의 ‘유사 지식’으로서의 예술의 종언은 인정할 수 있다  349 

 4.2. 헤겔에게서 느껴지는 불편함과 그에 대한 저항들  353 

 4.3. 새로운 대안을 찾아서  376 

 

 

 

부록: 헤겔의 반낭만주의적 낭만주의: 그의 체계에서 ‘낭만적인 것’의 변증법  408 

참고 문헌  430

본문인용

-

서평

헤겔 미학이 지니는 강점과 매력은 그것의 무진장한 내용적 풍부함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그러한 풍부함이 철저한 정신철학적 엄밀함을 통해 논증적으로 정당화되고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 책은 헤겔의 미학을 저 유명한 예술의 ‘종언’ 내지 ‘과거성’ 명제를 중심으로 해명하되, 특히 문제의 이 명제를 미학 내적 맥락을 넘어 그의 철학 체계의 주요 유관 부분들과 연계하여 세밀하게 다룸으로써 좀 더 거시적 차원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유도한다. 그렇기에 헤겔 미학을 다루는 이 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것은 큰 틀에서 보면 세 가지이다. 첫째, 헤겔 미학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한다. 둘째, 헤겔의 예술의 종언 명제를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다. 셋째, 이러한 비판을 근거로 이 명제를 근본적으로 수정한 대안적 이론 모델의 제시를 시도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헤겔 미학이라는 특정한 유형의 사고 모델을 분석하고 비판하며, 가능한 대안 이론을 찾고자 시도함으로써 ‘과거의 현재적 지양을 통한 미래의 지향’이라는 학문적 변증법을 수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저자소개

저자 : 권대중
서울대학교 미학과 학사 및 석사

독일 RWTH Aachen 대학교 박사

현재 계명대학교 철학윤리학과 교수


저서: <헤겔: 세계 속의 이성을 인식하라>, <헤겔의 미학강의 읽기>(근간) 등

역서: <헤겔의 체계 1>(V. 회슬레), <예술의 죽음과 부활>(D. 헨리히 외) 등

논문: <3의 변증법과 4의 변증법>, <미학적 칸트와 연대한 철학적 헤겔> 등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