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홍어


  • ISBN-13
    979-11-91277-65-4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심미안 / 문학들
  • 정가
    1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2-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문순태
  • 번역
    -
  • 메인주제어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시 #문순태 #홍어 #문학들시인선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5 * 200 mm, 128 Page

책소개

문순태 시집 『홍어』 출판 

홍어 예찬 100편, 인생 진수 번뜩

 

대하소설 『타오르는 강』과 『징소리』로 잘 알려진 소설가 문순태(84세) 씨가 시집 『홍어』(출판사 문학들)를 펴내 홍어 애호가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생오지에 누워』와 『생오지 생각』에 이어 문 씨의 세 번째 시집 『홍어』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집에 붙박여 지낸 3년 동안에 홍어를 소재로 쓴 100편의 시가 수록되었다. 

어려서부터 홍어를 유별나게 좋아했다는 문 씨는 시집 『홍어』에서 홍어삼합, 무침, 탕, 전, 튀김, 건홍어, 생회, 퓨전요리, 껍질묵, 찜, 불고기삼합, 홍어라면탕 등 여러 가지 요리와 코, 애, 날개 등 부위별 맛에 이르기까지 감각적인 언어로 맛깔스럽게 형상화했다. [“코에서는 수천 마리 벌 떼가 날고/입안에서 요지경 속 떼춤을 춘다”(「홍어 삼합」), “죽는 순간부터 가장 먼저 삭고/투명한 속살 차츰 붉어지는/ 무지갯빛 거친 파도여”(「홍어의 노래」)].

또한 부레가 없는 홍어를 낮은 땅에 엎드려 살아온 민초들에 빗대어 표현하는가 하면, 어둡고 밀폐된 공간에서의 홍어 숙성과정을 짓밟힐수록 강해지는 우리네 삶의 고통으로 은유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너는 아무나 먹을 수 있는/비린내 나는 물고기가 아니다/짓밟힌 민초들의 울부짖음” “오래 삭힐수록 더 날카롭게/되살아나는” “전라도의 힘”(「홍어, 전라도의 힘이여」)]. 예로부터 장례식이나 결혼 잔칫상에 빠지지 않은 전라도 대표음식 홍어는 백성의 물고기이자 민초들의 고통과 눈물이 담겨져 있기 때문에, 이제는 단순히 먹는 물고기를 넘어서 굴곡진 삶 속에 깊이 배어 있는 보편적 정서가 되었다는 것이다. 

홍어를 매개로 체득해 낸 삶의 통찰도 돋보인다. “껍질이 질긴 것은 속이 물렁하고/껍질이 연약한 것은 속이 견고함을”(「홍어 껍질 묵」)이라든지 “오래 씹을수록 더디게 살아나는/질긴 사랑처럼 깊은 맛”(「어머니와 홍어」), “썩는 것과 삭는 것은/숨을 멈춘 것과/숨을 이어 가는 것의 차이/그러므로 홍어가 삭는 것은/절멸絶滅의 슬픔이 아니라/또 다른 삶의 시작”(「썩는 것과 삭는 것 1」)이라는 구절 등이 그렇다. 

「시인의 말」에서 “홍어는 아주 오랫동안 내 마음속 깊이 숨 쉬고 있었고 어느덧 뿌리칠 수 없는 추억의 음식이자 소울 푸드가 되었다”고 말한 문 씨는 “언제부터인가 홍어가 전라도를 비하하는 표현으로 쓰이고 있는 것에 마음이 아팠다”면서, “홍어는 이제 전라도 사람들에게 단순한 기호식품이 아니라 전라도 정신을 의미하는 정체성의 가늠자가 되었다”고도 했다. 특히 이번 시집 『홍어』에는 ‘영산포 홍어축제’를 비롯해서 홍어집산지이며 홍어거리가 조성되어 있는 영산포를 형상화한 시 11편이 수록되어 관심을 끈다. 그리고 시집 말미에는 1801년 홍어장수 문순득이 풍랑을 만나 필리핀 등 동남아를 떠돌다가 3년 2개월 만에 우이도에 돌아와서, 정약전과 만나 표류기 『표해시말(漂海始末)』을 쓰게 된 이야기를 담은 시 3편도 수록되었다.  

 

 

목차

 

4 시인의 말

 

 

제1부 홍어의 노래

13 홍어가 내게로 왔다 

14 홍어, 전라도의 힘이여 

16 홍어의 노래 

17 5월에는 홍어를 먹지 않는다 

18 내 몸에서 홍어 냄새가 

19 홍어 껍질 묵 

20 암치 홍어가 맛있는 이유 

21 자식에게 홍어를 보내며 

22 서울에 가면 홍어 생각이 

23 홍어탕 맛집 

24 아내가 부쳐 준 홍어전 

25 홍어 삼합 

26 홍어를 먹다가 울었다 

27 홍어가 되다 

28 홍어 얼굴 1

29 홍어 얼굴 2

30 홍어 얼굴 3 

31 어머니와 홍어 

32 인생의 맛 홍어찜 

33 홍어 껍질 

 

제2부 홍어는 전라도식으로 먹어야

37 홍어의 고향 

38 영산포에 가면 

39 영산포 홍어축제 

40 날개를 씹다가 

41 홍어 사랑 가족 

42 홍어와 살풀이춤 

43 내가 홍어라고? 

44 신길동 홍어 거리 

45 늙은 친구 같은 홍어 

46 1 코 

47 2 애 

48 3 날개 

49 아파트에서 홍어탕을 끓이며 

50 홍어는 전라도식으로 먹어야 

51 홍어는 전라도에서 먹어야 

52 생살 홍어 맛 

53 말린 홍어 

54 홍어는 부레가 없다 

55 영산포 홍어를 기다리며 

56 해음어海淫魚 

 

제3부 냄새인가 향기인가

59 피 흘리는 홍어 사랑 

60 홍어와 초장 

61 홍어 선물 

62 불고기 홍어삼합

63 시린 설날의 홍어 

64 바람 부는 날 홍어탕

65 소와 홍어 

66 거울 속의 홍어 

67 하루의 행복

68 홍어 좋아하는 사람 

69 홍어 같은 그대 

70 결혼식 날 홍어를 먹고

71 홍어는 물렁뼈 

72 화순장터 홍어 할매 

73 80 생애 추억의 맛 10 

74 냄새인가 향기인가 1 

75 냄새인가 향기인가 2 

76 냄새인가 향기인가 3

77 냄새인가 향기인가 4

78 상가에 가면 홍어가 있다 

 

제4부 홍어는 퓨전을 거부한다

81 쑥과 홍어의 만남 

82 영산포 보리싹 홍어애국

83 처음 먹어 본 홍어젓 

84 홍어 튀김

85 홍어 한 점 1

86 홍어 한 점 2 

87 좋아하는 음식 하나 

88 눈 내리는 날에는 

89 홍어를 씹으며 

90 귀족이 된 홍어 

91 홍어는 양념을 거부한다 

92 파리에서 홍어 생각 

93 핑크 피시 

94 홍어는 퓨전을 거부한다 

95 홍어는 계절을 타지 않는다 

96 영산포 홍어 맛집

97 냄새 난다고 코 막지 마라 

98 홍어박사 강건희

99 첫눈과 홍어 

 

제5부 발효에 대하여

103 홍어집 지날 때 

104 홍어와 커피의 만남 

105 꽃과 홍어 

106 홍어의 꿈 

107 홍어와 마늘 

108 홍어의 날개 

109 내 인생의 다섯 가지 맛 

110 홍어 사랑 

111 홍어의 마지막 순간 

112 홍어라면탕 

113 홍어를 부르다 

114 고향 홍어집 

115 홍어도 자주 몸부림친다 

116 발효에 대하여 

117 썩는 것과 삭는 것 1

118 썩는 것과 삭는 것 2

119 땀 냄새와 홍어 향기 

120 실학자 정약전과 홍어장수 문순득 1 

122 실학자 정약전과 홍어장수 문순득 2 

123 실학자 정약전과 홍어장수 문순득 3 

124 내 안에 살아 있는 너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문순태
1939년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1959년 <농촌중보> 신춘문예에 소설 「소나기」 당선, 1965년 『현대문학』에 시 「천재들」 추천, 1974년 『한국문학』 신인상에 소설 「백제의 미소」 당선으로 등단했다. 주요 소설집으로 『고향으로 가는 바람』 『철쭉제』 『징소리』 『된장』 『꿈꾸는 시계』 『인간의 벽』 『울타리』 『생오지 뜸부기』 『생오지 눈사람』 등이 있고, 장편소설로 『걸어서 하늘까지』 『그들의 새벽』 『41년생 소년』 『소쇄원에서 꿈을 꾸다』, 대하소설로 『타오르는 강』(전9권), 시집으로 『생오지에 누워』 『생오지 생각』 등이 있다. 한국소설문학작품상, 문학세계작가상, 이상문학상 특별상, 채만식문학상, 요산문학상, 송순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출판사소개

문학의 다양성과 연대,
들판의 너른 지평을
지향하는 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