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볼링공은 둥글다


  • ISBN-13
    979-11-92837-12-3 (03810)
  • 출판사 / 임프린트
    말그릇 / 말그릇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2-2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서민웅
  • 번역
    -
  • 메인주제어
    예술일반
  • 추가주제어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 키워드
    #예술일반 #인물, 소설이외의 산문 #서민웅 #서민웅수필집 #서민웅감사관 #볼링공은둥글다 #서문웅수필가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420 Page

책소개

서민웅의 첫 수필집 《볼링공은 둥글다》가 말그릇 출판에서 출간되었다. 7장으로 구성된 이 책에는 32년 동안의 감사관 공직의 내면의 풍경 글로 진실하게 녹아 있다. 420쪽에 71편의 작품이 실렸다. 이 책을 마주하는 독자들은 저자가 경작해 온 정직한 삶의 태도에 그윽한 감동을 받으리라. 참에 가까운 저자 서민웅은 “공직은 청렴이 덕목이고 기본”이라고 한다. 국민을 위하고 국가에 도움이 된다고 몸소 행동으로 실천했다. 감사원 재직 시 수상한 마패상이 이를 증명한다. 《감사》지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듯이 선공후사가 공직의 어쩔 수 없는 숙명으로 알고 32년 동안 전국을 돌며 사정업무의 한 날개에 기여한 일화들이 이 책에 빼곡하다. 양심적이고 공들여 살아낸 저자의 삶이, 더없이 어려운 때 누군가에게 위안과 깊은 울림을 안겨 줄 것이다.

목차

작가의 말 4

 

1. 애타는 기다림

 

집이 헐린다 14

돈도 돈 나름 19

꿀벌도 힘든 세상 23

사라지는 섬나라 27

음식쓰레기 31

휴전이 너무 길었다 35

애타는 기다림 41

저출산율 쇼크 45

핑크 카펫 49

‘답게’ 살자 53

 

2. 추억 속의 교과서

 

스승의날에 58

걷는 기쁨 63

추억 속의 교과서 67

뿌리는 땅속에서  72

꽃도 잎도 한철이거늘 76

머리는 어쩌다가 80

완주 메달 85

추돌 사고 89

정아와의 인연 94

전파 속에 살며 98

 

3. 금성홍기를 마주하며

 

서울의 산이 좋다 104

순백의 자연 속으로 110

접근 편한 화장실을 117

외국인 입맛에 맞는 음식을 125

금성홍기를 마주하며 131

칠순에 만난 석림 136

홋카이도 미각 기행 143

작은 섬, 보라카이 151

마라도를 아시나요 158

못 잊을 보양식 167

 

4. LA의 여인

 

함께 사는 세상 172

반관반민半官半民 177

국기를 보면 182

장애원의 장애인 원장 187

LA의 여인 191

볼링공은 둥글다 196

사라진 전화 201

빨간 승용차 사연 206

하롱베이를 돌아보고 212

일본 연수 일기 220

 

5. 개펄 재기와 종패 세기

 

평상 위의 생고기 230

수질 환경의 천적, ‘폐공 236

태풍 셀마 오보 사건 241

개펄 재기와 종패 세기 247

형님! 살려 주십쇼 254

유흥업소 순례기 262

부담 안 주는 찬조금 267

돌비알에 얹힌 집 273

도시락 검사 278

우물 안 개구리 283

 

6. 2달러의 체온

 

대원이 288

싹 틔운 자리 295

자연 그대로 299

북악산 첫 산행 303

추억 어린 부용산 307

원통산을 찾아 311

화과자 경품 314

한국 전망대  318

2달러의 체온 323

태국에서의 회갑 잔치 327

 

 

7. 가족이라는 이름

 

멈춘 손목시계 332

화분 세 개 336

손자는 기차를 좋아해 340

쫓겨나도 좋아 347

가족이라는 이름 351

눈병을 앓고 보니 356

노학생 360

늦깎이 졸업식 364

고향 집 ‘구구재枸丘齋’ 368

4H 클럽을 맡아서 387

금강산 기행 연작시 400

본문인용

돈도 돈 나름이고 사람도 사람 나름이다. 사람도 자신의 본래 가치보다 과대 포장되면 결국엔 그 실상이 드러나서 인품이 곤두박질친다. 지나치게 잘나서 사회 적응을 못하는 경우도 문제지만, 제대로 인품을 갖추지 못하면 진정한 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어렵다. 돈은 그대로 두고 돈 담았던 바구니만 훔쳐 가듯이 위급한 상황에 부닥친 사람을 놔두고 그의 허름한 옷가지만 벗겨가는 세상. 그런 세상이 아닌, 사람이 사람 노릇 하고 사람대접 받는 세상을 꿈꾼다. (p.22)

 

<돈도 돈 나름> 중에서

 

기다리지 못하는 인간의 조급증이 나의 퇴직 즈음과 겹쳤다. 정년이 다가올수록 후배들 눈치가 보였다. 한 해라도 일찍 퇴직하면 그들에게 승진 기회가 생길 텐데…. 쌓여가는 부담을 알아챈 퇴직 선배가 눈치 보여도 끝까지 버티란다. 퇴직하면 누구도 돌봐주지 않으니 심적 부담에 절대 밀리지 말란다. 선배 말이 옳다 싶었다. 연공서열 파괴로, 정년 가까웠다는 눈치로 밀어낸다고 물러날 일만은 아니었다. 시든 꽃은 때가 되면 땅으로 진다. 그러니 만사 조금 기다려주는 게 순리다. 시든 것도 서러운데 흔들기까지 하면 너무 야박하지 않은가. (p.78)

 

<꽃도 잎도 한철이거늘> 중에서

 

“지금 사표를 쓰면 정말로 집으로 돈 싸 들고 오라고 인정한 게 되는 거야. 사표를 쓰더라도 나중에 다른 일로 써!”

결국 나는 수십 년 선배인 감사관의 뜻을 따랐다. 그리고 다시 사표 쓰는 일 없이 30년 넘게 감사 업무를 처리하며 정년퇴직했다. 근무 중 감사원 창립 기념일에 청렴한 직원에게 주는 마패상도 받았다. 감사관, 과장, 국장, 총장, 네 분 모두 고인이 된 지금도 새내기로 재직 시 감사원 빨간 승용차 사연은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p.211)

 

<빨간 승용차 사연> 중에서

 

개펄을 밟으니 발이 무릎 위까지 깊숙이 빠져들어 갔다. 줄자 끝을 잡고 첫 발짝을 옮기는데 장화는 그대로 개펄 속에 박히고 발만 쏙 빠져나왔다. 장화와 발이 함께 밖으로 나오려면 장화 등에 얹힌 뻘흙을 들어 올리듯 발을 올려야 하니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몇 걸음 옮기다가 장화를 포기하고 맨발로 걷기 시작했다. 장화를 벗고 걸어도 개펄 걷기는 여전히 힘들었다. (p.248)

 

<개펄 재기와 종패 세기> 중에서

 

속도가 빨라질수록 그 청년의 허리를 더 꼭 끌어안았다. 

처음에는 불결하게 느껴지던 티셔츠지만 그 티셔츠를 통해서 청년의 따듯한 체온이 내 손으로 전해 왔다. 이름도 모르는 그 청년의 허리를 힘껏 끌어안고 그에게 의지하는 그때, 갑자기 고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몇 마디라도 대화를 나누고 싶어 그 청년에게 영어로 말을 걸었으나 그는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다. (p.326)

 

<2달러의 체온> 중에서

 

그들은 내가 늦은 나이에 학생이 된 데에 관심이 많았다. 그럴 때면 나는 왜 다시 학생 노릇을 하기로 했나 자문해 보았다. 퇴직 후 나태해지려는 마음을 다잡기 위한 것이 먼저고, 그다음은 학교에서 배운 것을 40여 년 동안이나 써먹어 다시 충전할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특히 문화교양학과를 택한 것은 수년째 배우는 수필 쓰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이기도 했다. (p.363)

 

<노학생> 중에서

서평

-

저자소개

no image book
저자 : 서민웅
충북 음성에서 쌍봉초등학교, 무극중학교를 다녔다.
그 후 대입 검정고시 합격하여 성균관대 행정학과 입학했고
재학 중 입대하여 카투사로 근무했다.
1972년 감사직 시험에 합격해 감사원에 근무했다.
재직 중에 성균관대 행정대학원 감사행정학과,
서울대 행정대학원 정보통신방송정책과정을 다녔다.
2004년 정년퇴직, 이후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감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사외이사,
한국농어촌공사 옴부즈맨 위원장 등을 지냈다.
등단 전에 서울특별시의 '서울 이야기' 수필 공모 등 5회에 걸쳐 수상하였다.
2011년 《에세이문학》 가을호에 추천 완료,
(사)한국수필문학진흥회 등 문학 단체의 감사,
(사)감우회 《감우정담》 편집위원장 등을 지냈다.
2009년 한국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졸업,
2020년 국어국문학전공 독학사 시험에 합격하고,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장 특별상을 수상했다.
현재 (사)한국수필문학진흥회, 에세이문학작가회,
일현수필문학회, 서대문문인협회, 느티나무문우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2023년 수필집 《볼링공은 둥글다》와 《10분간의 긴 여행》을 출간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