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수험서


  • ISBN-13
    979-11-6823-022-4 (13000)
  • 출판사 / 임프린트
    안그라픽스 / 안그라픽스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3-03-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박도은 , 김유영 , 김진우
  • 번역
    -
  • 메인주제어
    사용자인터페이스디자인
  • 추가주제어
    학습서: 예술, 디자인 , 학습법: 일반(수험서 등) , 공무원 혹은 국가공인 자격시험
  • 키워드
    #사용자인터페이스디자인 #학습서: 예술, 디자인 #학습법: 일반(수험서 등) #공무원 혹은 국가공인 자격시험 #서비스 #경험 #디자인 #수험서 #참고서 #국가기술자격 #기사 #자격증 #문제집 #디자이너 #공공 디자인 #산업 디자인 #비즈니스 #경영 #경제 #혁신 #가치 #합작 #마케팅 #마케터 브랜드 #브랜딩 #서비스 브랜딩 #UX/UI #리서치 #고객 #사용자 #사용성 #디자인 씽킹 #퍼소나 #디자인 사고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공동 창작 #툴키트 #서브퀄 #HCI #연구 방법론 #프로세스 #인터뷰 #프레임워크 #연구 윤리 #리드 유저 #IRB #클러스터링 #지도 #페르소나 #콘셉트 브리프 #휴리스틱 평가 #브레인스토밍 #사용자 여정 #청사진 #프로토타입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오즈의 마법사 #캔버스 #가치 제안 #카노 모델 #체크리스트 #데이터 시각화 #지속 가능 #사회적 가치 #디자인권 #저작권 #한국디자인진흥원 #요점 #핵심 #정리 #개념 확인 #사례 #예상 문제 #에시 문제 #전자책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60 * 230 mm, 136 Page

책소개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를 준비한다면

손에서 놓지 말아야 할 필수 핸드북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수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해 이 분야를 오래 연구하고 검증해온 저자들이 나섰다. 이 책은 서비스 경험 디자인 분야의 교과서이자 필독서인 김진우 교수의 책 『서비스 경험 디자인』를 기반으로 하면서, 특별히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맞춰 기본적이면서도 핵심적인 부분을 집중적으로 요약했다. 먼저 시험 3회까지에 기출된 개념을 묶어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고, 향후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주요 개념의 요약 정리도 함께 구성했다. 여기에 예상 문제로 연습하고 충실한 정답 해설을 통해 다시금 개념을 확인하며 실전까지 확실하게 대비하도록 했다. 가벼우면서도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수험의 모든 것을 담은 핸드북으로, 종이책과 전자책을 동시에 출시해 접근성을 한층 높였다.

목차

시작하기 전에

서비스·경험디자인 기사 자격증이란

시험 프로세스

  • 필기시험
  • 실기시험

시험 출제 범위

  • 필기시험 (2022.6. 개정)

기출 문제 개념 정리

  • 필기시험(3회) 개념 정리


 

서비스 경험 디자인

1강  서비스와 경험 디자인

  • 서비스와 디자인의 정의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의 특징
  • 좋은 서비스 경험
  • 서비스 경험 디자인 관련 용어 정리
  • 공공 서비스 디자인
  • 사용성의 속성
  • 산업디자인진흥법(=산업디자인법)
  • 1강 예상 문제

2강  서비스 경험 디자인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의 구성 요소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의 특징
  • 디자인 씽킹
  • 서비스 경험 디자이너의 핵심 자질
  • 서비스 디자인의 역사
  • 공동 창작
  • 2강 예상 문제

3강  서비스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

  • 서비스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의 특징
  •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의 툴키트
  • 3강 예상 문제


 

발견 단계

4강  발견하기

  • 발견 단계의 특징
  • 연구 방법론 비교
  • 관찰
  • 인터뷰
  • 맥락 인터뷰의 특징
  • AEIOU 프레임워크
  • 환경 조사
  • 기술 수용 주기
  • 리드 유저
  • 연구 윤리와 IRB
  • 4강 예상 문제


 

정의 단계

5강 발견 단계 결과 종합하기

  • 정의 단계의 특징
  • 클러스터링
  • 지도
  • 페르소나
  • 5강 예상 문제

6강  발상과 콘셉트 브리프

  • 발상 단계의 특징
  • 콘셉트 브리프 도출의 4가지 과정
  • 6강 예상 문제


 

개발 단계

7강  새로운 서비스 윤곽 잡기

  • 개발 단계의 특징
  • 사용자 여정 지도
  • 경험 지도
  • 공감 지도
  • 서비스 청사진
  • 7강 예상 문제

8강  새로운 서비스 구체화하기

  • 프로토타입
  • 프로토타입 평가
  • 사용성 평가
  • 휴리스틱 평가
  • 오즈의 마법사
  • 8강 예상 문제


 

전달 단계

9강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 전달 단계의 특징
  • 서비스 브랜딩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 린 캔버스
  • 9강 예상 문제


 

현재 그리고 미래 탐색

10강  서비스 출시와 운영

  • 서비스 출시 단계의 특징
  • 가치 제안 캔버스
  • 카노 모델
  • 데이터 시각화
  • 10강 예상 문제

11강  미래를 향한 서비스 경험 디자인

  • 지속 가능한 디자인
  • 사회적 가치
  • 디자인 권리 및 사후 관리
  • 11강 예상 문제


 

예상 문제 정답과 개념 확인r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박도은
연세대학교 HCI Lab에서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 디지털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주식회사 하이(HAII)와 함께 ADHD 어린이의 실행 기능 증진을 위한 보이스 에이전트를 개발한다. 어린이와 컴퓨터의 관계 맺음과 그 과정에서 생기는 어린이의 행동, 정서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널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등에 글을 게재하고, ACM CHI를 비롯한 콘퍼런스에서 발표하는 등의 활동을 했다.
저자 : 김유영
연세대학교 HCI Lab에서 박사과정 중에 있다. 현재 디지털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주식회사 하이(HAII)와 함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언어 치료를 하는 디지털 치료제의 기획·개발·임상을 진행 중이다. 디지털 치료제를 만들기 위한 A–Z를 직접 경험했을 뿐 아니라, 어떻게 하면 환자들이 더 잘, 지속적으로 디지털 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연구한다. 공저로 『디지털 치료제 혁명: 제3의 신약 디지털 치료제의 모든 것』(클라우드나인, 2022)을 집필했다.
no image book
저자 : 김진우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이자 연세대학교 HCI Lab 주임교수이다.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 UCLA MBA를 거쳐 카네기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에 진학해 HCI로 박사 논문을 썼다. 삼성전자와 LG전자의 기술 자문을 했고, 다음커뮤니케이션의 이사회 의장을 했으며, SBS 계열사 콘텐츠허브(Content Hub)의 이사를 역임했다. 한국HCI학회 학회장과 2015년 ACM SIGCHI 학회장을 맡았다. 2016년 12월 현재 디지털 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주식회사 하이(HAII)를 설립하고 CEO에 취임해,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안그라픽스’는 35년이 넘는 시간 동안 디자인 분야에서 가장 전문적이고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책을 만들어왔으며, 타이포그래피, 정보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및 건축 분야의 책을 기획·출간하고 있습니다. 『한국전통문양집』 같은 한국 고유의 디자인 요소를 복원해 한국 디자인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한편, 디자인의 사회적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에 힘씁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