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존재와 시간


  • ISBN-13
    978-89-497-1450-9 (04080)
  • 출판사 / 임프린트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6-09-0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마르틴 하이데거
  • 번역
    -
  • 메인주제어
    서양철학: 1800년부터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서양철학: 1800년부터 #현대철학 #독일철학 #현상학 #해석학 #실존철학 #하이데거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696 Page

책소개

동서문화사 세계사상전집 42권. 독일 실존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그는 「존재와 시간」을 통해, 기존 전통서양철학의 잘못된 이해를 비판하며 ‘존재’의 의미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이 거작은 서론 〈존재 의미에 대한 물음의 설명〉에 이어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인 기초분석〉과 〈현존재와 시간성〉이라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 대해 “과연 그것이 있는가, 혹은 없는가?”라는 물음을 던진다면 어떨까?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철학자들은 ‘존재’ 자체를 문제 삼지 않고 오직 그것이 무엇인가를 논의해 왔다. ‘존재’란 너무나 자명한 것이어서 논의할 이유가 없다고 여긴 것이다. 하이데거는 그때까지의 서양 철학사를 ‘존재망각의 역사’라 정의하며, 독단적 철학이라 비판했다. 인간마저 사물로 여기게 되어 인간소외를 불러왔다는 것이다.

그는 ‘인간’대신 ‘현존재’를 내세우는 새로운 개념으로 전통철학을 바로잡고 재구성했다. 특히 언어는 인간의 현존재를 대표하며, 존재이해의 원천이 된다고 했다. 「존재와 시간」은 서양철학사 혁명적 업적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그의 사상은 O. 베커·T. 발라우프·W. 슐츠 등의 철학자와 특히 새로운 수정주의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목차

서론 존재의미를 묻는 물음의 제시

제1장 존재문제의 필요성과 구조 그리고 우위(優位)
1 존재를 묻는 물음을 감히 명시적으로 되풀이하는 것이 필요·11
2 존재에 대한 물음의 형식적 구조·14
3 존재문제의 존재론적 우위·18
4 존재문제의 존재상적 우위·22

제2장 존재문제를 검토할 경우의 이중과제, 고찰방법과 개요
5 존재 일반의 의미 해석 지평을 개척하기 위한 현존재의 존재론적 분석작업·27
6 존재론 역사의 해체 그 과제·32
7 고찰의 현상학적 방법·41
8 논술의 짜임·55

제1부 현존재를 시간성으로 해석하고,
존재에 대한 물음의 초월적 지평으로서 시간을 밝힌다

제1편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인 기초분석

제1장 현존재에 대한 준비적 분석과제의 제시
9 현존재의 분석작업 주제·60
10 인간학 심리학 생물학에 대한 현존재 분석작업의 경계설정·64
11 실존론적 분석작업과 원시적 현존재의 해석, ‘자연적 세계개념’을 얻는 어려움들·70

제2장 현존재의 근본틀로서의 세계―내―존재 일반
12 내―존재(안에―있음) 그 자체를 길잡이 삼아 세계―내―존재를 그림·73
13 기초잡힌 하나의 상태로 이루어지는 내―존재의 예시 세계인식·81

제3장 세계의 세계성
14 세계 일반의 세계성 이념·86
A. 환경세계성 고유의 세계성과 세계성 전반의 분석
15 환경세계 안에서 만나는 존재자의 존재·90
16 세계 내부에 있는 존재자로부터 환경세계의 세계 적합성을 살피다·97
17 지시와 기호·103
18 취향성과 유의성, 세계의 세계성·110
B. 세계성 분석을 데카르트의 세계존재론과 대조하는 해설
19 연장으로서의 ‘세계’규정·118
20 ‘세계’에 대한 존재론적 규정의 모든 기초·121
21 데카르트 ‘세계’존재론에 대한 해석학적 논의·124
C. 환경세계의 환경성과 현존재의 공간성
22 세계 내부적인 도구적 존재자의 공간성·133
23 세계―내―존재의 공간성·136
24 현존재의 공간성과 공간·143

제4장 공동존재와 자기존재로서의 세계―내―존재 ‘세상사람’
25 현존재는 누구인가? 실존론적인 물음의 설정·149
26 타인의 공동현존재와 일상적 공동존재·153
27 일상적 자기존재와 세상사람·163

제5장 내―존재 그 자체
28 내―존재의 주제적 분석 과제·170
A. 현(現)의 실존론적 구성
29 심경으로서의 현―존재·174
30 심경의 한 양태로서의 공포·182
31 이해로서의 현―존재·186
32 이해와 해석·194
33 해석의 파생적 양태로서의 진술·201
34 현―존재와 이야기, 언어·209
B. 현의 일상적 존재와 현존재의 퇴락
35 빈말·218
36 호기심·221
37 애매함·224
38 퇴락과 피투성(被投性)·227

제6장 현존재의 존재로서의 관심
39 현존재 구조 전체의 근원적인 전체성에 대한 문제·234
40 현존재의 두드러진 개시성으로서의 불안이라는 근본심경·238
41 관심으로서의 현존재의 존재·247
42 현존재의 전(前) 존재론적 자기해석에 의거해 관심으로서의 현존재의 실존론적인 철학적 해석을 확증하는 일·254
43 현존재, 세계성 실재성·259
44 현존재, 열어 밝힘 및 진리·274

제2편 현존재와 시간성

45 현존재의 예비 기초분석 성과 및 이 존재자에 대한 근원적 실존론적인 철학적 해석의 과제·297

제1장 현존재의 가능한 전체존재와 죽음을 맞는 존재
46 현존재적 전체존재를 존재론적으로 파악 규정하는 행위의 표면적 불가능성·304
47 타인의 죽음의 경험가능성과 전체적인 현존재의 포착가능성·306
48 미완성 종말 전체성·311
49 죽음의 실존론적 분석과, 그 현상에 대한 다른 철학적 해석의 대조적 구별·318
50 죽음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구조의 밑그림·322
51 죽음을 맞는 존재와 현존재의 일상성·326
52 죽음을 맞는 일상적 존재와 죽음의 완전한 실존론적 개념·330
53 본디적 ‘죽음을 맞는 존재’의 실존론적 기투·336

제2장 본디적 존재가능의 현존재적 증명과 결의성
54 본디적인 실존적 가능성을 증명하는 문제·347
55 양심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기초·350
56 양심의 호소하는 성격·353
57 관심에 호소하는 양심·355
58 호소의 이해와 책임·363
59 양심의 실존론적 해석과 통속적 양심 해석·376
60 양심을 통해 증명되는 본디적 존재가능의 실존론적 구조·384

제3장 현존재의 본디적 전체존재가능성과, 관심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
61 현존재의 본디적 전체존재에 대한 한정설정으로부터 시간성의 현상적 방해물 제거에 이르는 방법적 과정에 대한 밑그림·393
62 선험적 결의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실존적.본디적 전체존재가능성·396
63 관심의 존재의미의 철학적 해석을 위해 획득된 해석학적 상황과, 실존론적 분석론 일반의 방법적 성격·404
64 관심과 자기성(自己性)·411
65 관심의 존재론적 의미로서의 시간성·418
66 현존재의 시간성과 거기서 발현하는 실존론적 분석의 더 근원적인 되풀이 과제들·428

제4장 시간성과 일상성
67 현존재의 실존론적 구성틀의 근본 구성과, 그 구성의 시간적 해석에 대한 밑그림·432
68 열어밝힘 일반의 시간성·434
69 세계―내―존재의 시간성과 세계 초월 문제·452
70 현존재적 공간성의 시간성·472
71 현존재 일상성의 시간적 의미·475

제5장 시간성과 역사성
72 역사 문제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전망·479
73 역사의 통속적 이해와 현존재의 발생·486
74 역사성의 근본 구성·492
75 현존재의 역사성과 세계역사·498
76 현존재의 역사성에 의거한, 역사학의 실존론적 근원·504
77 역사성 문제에 대한 위의 논술과, W. 딜타이의 연구 및 요르크 백작의 이념과의 연관성·511

제6장 시간성과 통속적 시간개념 근원으로서의 시간내부성
78 앞에서 논술한 현존재의 시간적 분석의 불완전성·519
79 현존재의 시간성과 시간의 배려·522
80 배려되는 시간과 시간내부성·528
81 시간내부성과, 통속적 시간개념의 발생·539
82 시간성과 현존재 및 세계시간의 실존론적 존재론적 연관과, 시간과 정신의 관계에 대한 헤겔 견해와의 대조·548
83 현존재의 실존론적 시간적 분석론과 존재 일반 의미에 대한 기초적 존재론적 물음·558

하이데거 생애와 사상
Ⅰ 하이데거가 걸어온 길·563
Ⅱ 「존재와 시간」에 대하여·595
Ⅲ 하이데거의 사상·610

하이데거 연보·683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마르틴 하이데거
독일 남부 슈바르츠발트의 작은 마을 메스키르히에서 태어나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신학과 철학을 전공한 후, 마르부르크대학과 프라이부르크대학에서 철학을 가르치다가, 1976년 타계하였다.
하이데거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이성 일변도로 치닫던 서구의 전통철학을 뒤흔든 20세기 사상계의 거장이며, 현대철학 및 정신문화 전반에 걸쳐 가장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존재론적 차이에 대한 하이데거의 통찰은 데리다의 차연사상의 모태가 되어, 최근의 포스트모더니즘과 후기 구조주의에게 막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 더 나아가 그의 사상은 마르쿠제와 하버마스의 비판이론 및 한나 아렌트의 정치철학에도 직접적으로 깊은 영향을 주었다. 그의 사상은 문학, 예술론, 언어학, 인간학, 생태학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에, 그의 사상을 일별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20세기 정신문화에 대해 논할 수 없다는 말이 회자될 정도이다.
주요 저서로는 《존재와 시간》, 《철학에의 기여》, 《숲길》, 《이정표》, 《강연과 논문》, 《동일성과 차이》, 《언어로의 도상에서》, 《니체》, 《초연한 내맡김》, 《사유의 경험으로부터》, 《사유의 사태로》 등이 있으며, 1973년부터 그의 강의록이 전집으로 간행되어 현재까지 약 100권이 출간되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