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현대 기독론 연구

바울신학 전통과 폴 틸리히의 "새로운 존재"


  • ISBN-13
    979-11-950370-8-7 (9323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심상코 / 도서출판 심상코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5-06-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오성욱
  • 번역
    -
  • 메인주제어
    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신학 #조직신학 #기독론 #바울신학 #폴 틸리히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2 mm, 201 Page

책소개

『현대 기독론 연구』는 저자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제출한 졸업논문 "폴 틸리히의 기독론"과 『기독교사상』에 게재된 저자의 원고를 원문에 충실하게 재편집한 책으로서,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펼쳐 보인 현대 기독론의 중요한 흐름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목차

  • 서 문 … 005

    제 1 장 들어가는 말
    1. 문제 제기 … 017
    2. 문제 설정 … 027

    제 2 장 바울신학 전통과 해석
    1. 틸리히의 '바울 읽기'
    1) 틸리히의 바울이해의 정당성 … 033
    2) 틸리히의 바울해석 … 036
    2. 틸리히의 상징 이해
    1) 상징의 특성 … 045
    2) 종교적 상징 … 049
    3. 틸리히의 인간 이해
    1) 인간 실존에 대한 분석: 소외 … 055
    2) 자유와 운명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 … 060
    3) 인간 소외의 표지와 죄의 개념 … 069

    제 3 장 새로운 존재로서의 그리스도 예수
    1. 그리스도 예수
    1) 그리스도 예수에 대한 기원 … 077
    2) 그리스도 예수 … 082
    2. 그리스도 예수 안에 현시된 새로운 존재
    1) 새로운 존재 개념 … 087
    2) 새로운 존재로서의 그리스도 예수: 소외의 극복 … 094

    제 4 장 구원의 능력으로서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새로운 존재
    1. 구원과 속죄
    1) 구원의 의미 … 105
    2) 속죄론 … 108
    2. 구원의 세 가지 특성
    1) 중생: 새로운 존재에로 참여 … 117
    2) 칭의: 새로운 존재의 수용 … 120
    3) 성화: 새로운 존재에 의한 변화 … 123

    제 5 장 성령론적 맥락에서의 새로운 존재 이해
    1. 하나님의 영(Spirit)과 성례전: 하나님의 영의 임재로서 성례전
    1) 오토(R. Otto)의 거룩과 엘리아데(M. Eliade)의 성현 … 129
    2) 틸리히의 성례전 이해 … 134
    2. 인간의 영(spirit)안에 하나님의 영(Spirit)의 임재로서 성례전
    1) 하나님의 영의 임재의 매개체: 성례전적 행위, 언어, 내적언어 … 139
    2) 인간의 영(spirit)속에 계시된 성령의 표지: 신앙과 사랑 … 144
    3. 역사적 지평에서 하나님의 영(Spirit)의 임재로서 성례전
    1) 하나님의 영의 임재의 매개체: 새로운 존재, 성령 공동체 … 147
    2) 하나님의 영의 임재의 표지 … 150

    제 6 장 틸리히 "다시 읽기"
    1. "생명과 성령"의 바다에서 다시 부르는 "구원의 노래" … 155
    2. 틸리히 기독론 해명을 위한 전제
    1) 틸리히의 상징이해: 의미와 해석의 복합체 … 159
    2) 틸리히의 바울읽기: 루터적 의인론의 맥락에서가 아닌 묵시ㆍ종말론적 맥락에서 … 161
    3) 틸리히의 인간이해: 자유와 운명 사이에 존재하는 인간 … 163
    3. 새로운 존재로서 그리스도 예수
    1) 그리스도 예수 … 167
    2) 그리스도 예수 안에 현시된 새로운 존재 … 168
    4. 성령론적 맥락에서 새로운 존재
    1) 기독론의 정당한 해명을 위한 성령론의 필요성 … 171
    2) 틸리히의 "영과 성례전"의 이해: "영의 임재"로서 성례전 … 172
    5. "생명과 성령"의 바다에서 <나>의 신학함 … 175

    제 7 장 나오는 말
    1. 비판적 고찰 … 181
    2. 신학적 전망 … 189

    참고문헌 … 195

본문인용

1. 문제 제기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현대 신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칼 바르트(Karl Barth)와 함께 신정통주의를 대표하는 최고의 신학자로 평가된다. 그러나 틸리히에 대한 연구의 양(量)과 질(質)이 바르트에 대한 연구의 양(量)과 질(質)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는 점을 부인할 길 없다.
이러한 작금의 연구 현실은 틸리히를 너무 쉽게 '종교학자' '철학적 신학자' '자유주의 인문학자' 등등으로 분류한 후, 모호하다는 변명과 함께 연구를 종료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혹은, 틸리히의 의도를 너무 명제적으로 축소ㆍ왜곡한 다음, 연구자들의 신앙 잣대를 동원하여 형해화(形骸化) 하고난 후, 세심한 관찰과 논리적 추론의 과정, 그리고 애정 어린 비판을 생략한 채, 연구를 서둘러 마감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틸리히는 단숨에 간파할 수 있는 빈약한 논리로 자신의 신학을 개진하고 있지를 않다. 틸리히는 천의 얼굴을 가진 신학자이다. 그의 신론(神論)은 종교학적 인식론에 깊게 경도되어 있고, 기독론은 실존주의 철학적 맥락에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교회론은 다분히 플라톤적인 이중 구조를 염두에 두고 전개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철학적 배경 위에, 틸리히의 역사관은 묵시ㆍ예언적 역사의식을 충실히 보여주며, 특히 바울신학의 묵시 사상적 흐름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자신의 신학 논지 전개에 중요한 해석학적 거점으로 명토박고 있다.
그러므로 틸리히의 신학사상을 이해한다고 하는 것은, 우선적으로 그의 신학 전반을 주도하고 있는 철학적 맥락을 이해함과 동시에, 철학적 사유가 닻을 드리우고 있는 틸리히의 역사 신학적 전망과 성서 신학적 혜안을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틸리히의 기독론적 이해를 증례(證例)로 들어본다면 틸리히의 텍스트(text)에서 우선, 실존철학과 하이데거의 언어군(群)을 이해해야 한다.동시에 바울신학에서 보여주는 묵시적 기독론 및 "영의 임재"(Spiritual presence)라는 개념에 대한 성서 신학적 전망을 요청한다.
이처럼 틸리히의 사유는 복합적인 복선구조를 하고 있어서, 사유의 얼개와 층위를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 전제되지 않는 해석시도는 신학적 대화가 아니라 완고한 신학적 독백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애석한 점은 틸리히 연구에 있어서 이러한 신학적 모놀로그가 한국 교회에 적지 않은 세(勢)를 이루고, 지지(支持)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척박한 틸리히 연구 토양에서 필자는 틸리히의 기독론을 연구과제로 택했다. 왜냐하면 틸리히의 신학사상 중에서 가장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오해되고 있는 부분이 기독론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틸리히 기독론을 연구한 학자들의 이해는 매우 다양하여, 하나의 결론에 이르지 못했다.

[본문 pp.17-19 중에서]

서평

『현대 기독론 연구』는 저자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 제출한 졸업논문 "폴 틸리히의 기독론"과 『기독교사상』에 게재된 저자의 원고를 원문에 충실하게 재편집한 책으로서, 폴 틸리히(Paul Tillich)가 펼쳐 보인 현대 기독론의 중요한 흐름을 고찰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틸리히 신학 전반에 관한 심도 있는 연구서는 아니다. 단지 틸리히 신학의 핵심 주제라고 생각되는 기독론에서 촉발된 현대 기독론의 한 흐름을 개괄적으로 파악해 보는데 필요한 안내서 수준의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아주 작은 의의를 굳이 밝혀 본다면 다음과 같다.
틸리히의 기독론에 대한 해석은 다종다양하다. 그런데 필자는 틸리히의 기독론을 바울신학 전통에 흐르고 있는 유대 묵시 사상의 맥락에서 이해하려고 했다. "새로운 존재"라는 개념 자체를 바울신학의 "새로운 피조물"의 변주로 이해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새로운 존재"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틸리히는 새로운 세계가 펼쳐지고 도래한다는 기독론적 전망을 제출했다는 점을 저자는 논증하고 있다.

저자소개

no image book
저자 : 오성욱
<경력>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B.A)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M.Div)
미국 듀크대학교 (Duke University) 신학대학원 (MTS)
미국 베일러대학교 (Baylor University) 대학원 (Ph.D)
용인마평교회 담임목사
서울신학대학교 강사 역임 (조직신학)

<저서>
현대 기독론 연구: 바울신학 전통과 폴 틸리히의 "새로운 존재" (2015)
현대 속죄론 연구: 루터신학 전통과 폴 틸리히의 "존재의 용기" (2019)

<공저>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2018)

<번역서>
라인홀드 니버: 사랑과 정의의 변증법, 밥 패터슨 저 (2017)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