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정감형 - 대인친화력
○ 정감형은 사랑과 포용력과 이해심이 많고,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좋은 것을 보면 좋아지게 되고, 나쁜 것을 보게 되면 나빠지는 스타일이다. 이들은 온화하고, 낙천적이고, 생기 있고, 즐기며, 천성적으로 감수성이 예민하고, 어떤 일에 대해서 쉽게 반응을 나타내어 외적인 모습만으로도 그 마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심사숙고하기 보다는 감정에 의해서 좌우되는 편이다.
이러한 ○ 정감형은 사람들과의 만남 속에서 에너지를 얻으며, 이렇게 얻은 에너지를 다른 사람들을 섬기는데 사용한다. 그러나 이들은 사람들로부터 거절을 당
하는 것과 사람들에게서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1. ○ 정감형의 칭찬 언어
당신은 사랑과 포용력과 이해심이 많고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 정감형의 장점
① 이야기를 잘하고, 유머감각이 뛰어나다.
② 대체로 외향적인 기질로서 모든 기질을 포용할 수 있다.
③ 속에 오래 담아두지 않는다.
④ 다정다감 형으로 상대의 필요에 따라 위로를 잘 해준다.
⑤ 타인 중심으로 살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좋은 느낌을 주려고 노력한다.
⑥ 상대가 무엇을 원하는지 잘 이해한다.
⑦ 감성적이고 열정적이다.
⑧ 수용능력이 뛰어나다.
⑨ 여행을 좋아하고, 많은 사람을 사귀는 것을 좋아한다.
⑩ 친구가 부족한 경우가 많지 않다. 왜냐하면 천진난만하고, 자발적이고, 쾌활한 성품이기 때문에 친구들을 끌기에 충분하다.
3. ○ 정감형의 단점
① 의지가 약해서 작심삼일(作心三日)형이므로 칭찬을 많이 해 주어야 한다.
② 감정의 기복이 다른 유형보다 심한 편이다.
③ 미 훈련된 상태에 있을 가능성이 크다.
④ 전문성이 부족하다.
⑤ 귀가 얇다. (순간적인 감정에 충실하다)
⑥ 신용을 잃기 쉽다.
⑦ 주관적인 사고가 발달하여 자기중심적이다.
⑧ 과장이 심하고 보고가 부정확하다.
⑨ 겉으로는 겁이 없는 듯이 보이지만 속으로는 겁이 많다.
⑩ 인내심이 부족해서 시작은 많이 하지만 결과가 좋지 않다.
4. ○ 정감형의 관심사
① 돈 ② 인간관계 ③ 환경 ④ 사랑
5. ○ 정감형을 대하는 방법
① 배려에 감사하고 공감하라
② 인정, 칭찬, 격려하라
③ 함께 해 주어라
6. ○ 정감형 자녀 대하기
① 자녀와 함께 계획을 세우라.
② 마무리하는 습관을 들여라.
③ 일의 우선순위를 정해서 하라.
④ 용돈 사용을 기록하라.
⑤ 말하기 전에 생각하라.
⑥ 메모하는 습관을 가져라.
⑦ 생각해 보고 행동하라.
⑧ 꾸준히 하라.
7. ○ 정감형 부모 대하기
① 맞장구를 쳐 주라.
② 칭찬하고 인정하라.
③ 관심 있게 보고 있음을 알려라.
④ 비밀이 없음을 인정하라.
8. ○ 정감형의 특징
① 우리나라에 약 70%가 되며, 모든 것을 빨리 빨리 처리하기를 원하다.
② 인간관계에서도 자신이 먼저 명함을 주면서 소개한다.
③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때문에 상처는 주지 않으면서 상처를 많이 받는 스타일이다.
④ 학생들은 선생님과 잘 사귀면 공부를 잘한다. 이유는 극상극하이기 때문이다.
<본문 pp.28-30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