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순수이성비판


  • ISBN-13
    978-89-497-1432-5 (04080)
  • 출판사 / 임프린트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6-06-0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임마누엘 칸트
  • 번역
    -
  • 메인주제어
    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철학 #서양철학 #근대철학 #인문학 #독일철학 #서양고전 #칸트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0153 * 225 mm, 776 Page

책소개

순수이성비판'은 칸트 비판철학의 첫 번째 저서로 1781년 간행되었다. 칸트는 이 책에서 인간이성의 권한과 한계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적 성립 가능성을 묻고 있다. 또한 종래의 독단적 형이상학을 뒤집어 인간 중심의 세계를 완성하였다.

'순수이성비판'은 그의 '실천이성비판'와 함께 도덕철학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명저로서 평가되고 있다. 칸트는 특히 '순수이성비판'을 통해서 참된 철학의 문제로서 다음 세 가지 물음을 제기하고 있다. 첫째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둘째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셋째 ‘나는 무엇을 바라야 하는가?’이다. 이 세 가지 물음(과제)에 대한 답변이 바로 이 책,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인 것이다.

목차

[컬러화보]
베룰람의 베이컨 ‘대혁신’ 머리글
왕립 국무장관 폰 체틀리츠 남작 각하
제1판 머리글(1781년)
제2판 머리글(1787년)

 

서론 … 42
1. 순수한 인식과 경험적 인식의 구별에 대해서⁄2. 우리는 어떤 종류의 선험적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상식이라 할지라도 반드시 그런 인식이 있다⁄3. 철학은 모든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 원리 및 범위를 규정하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4. 분석적 판단과 경험적 판단의 구별에 대해서⁄5. 이성의 모든 이론적 학문에는 선험적 종합판단이 원리로서 포함되어 있다⁄6. 순수이성의 일반 과제⁄7. 순수이성비판이라는 이름의 특수학문의 구상과 구분

 

초월적 원리론

 

제1부 초월적 감성론 … 63
§1 첫머리⁄제1절 공간에 대해서(§2 공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규명⁄§3 공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규명⁄앞에서 말한 개념들로부터 얻은 결론)⁄제2절 시간에 대해서(§4 시간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 규명⁄§5 시간 개념에 대한 초월적 규명⁄§6 이들 개념들로부터 얻은 결론⁄§7 설명⁄§8 초월적 감성론에 대한 일반 주해⁄초월적 감성론의 마무리)

 

제2부 초월적 논리학 … 87
서론⁄초월적 논리학의 구상(1. 논리학 일반에 대해서⁄2. 초월적 논리학에 대해서⁄3. 일반 논리학을 분석론과 변증론으로 구분하는 일에 대해서⁄4. 초월적 논리학을 분석론과 변증론으로 구분하는 일에 대해서)

 

제1부문 초월적 분석론 … 96

 

제1편 개념의 분석론 … 97

제1장 모든 순수지성 개념을 발견하는 실마리에 대해서 … 97
제1절 지성의 논리적 사용 일반에 대해서⁄제2절 §9 판단에 있어서 지성의 논리적 기능에 대해서⁄제3절 §10 순수지성 개념, 또는 범주에 대해서⁄§11⁄§12

 

제2장 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에 대해서 … 111
§13 초월적 연역 일반의 원리에 대해서⁄§14 범주가 초월적 연역으로 건너감⁄[제1판] 제2절 순수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선험적 근거에 대해서⁄임시로 주는 주의⁄1. 직관에 있어서 감각지의 종합에 대해서⁄2. 구성에 있어서 재현의 종합에 대해서⁄3. 관념에서의 재인식 종합에 대해서⁄4. 선험적 인식으로서의 범주의 가능성을 우선 설명⁄제3절 대상 일반에 대한 지성의 관계와 선험적으로 인식하는 가능성에 대해서⁄순수지성 개념의 연역이 정당하며 유일 가능하다는 것을 총괄한다⁄[제2판] 제2절 순수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15 결합 일반의 가능성에 대해서⁄§16 통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에 대해서⁄§17 통각의 종합적 통일 원칙은 모든 지성 최고 사용 원리이다⁄§18 자기의식의 객관적 통일이란 무엇인가⁄§19 모든 판단의 논리적 형식의 본질은 판단 속 개념에 통각의 객관적 통일을 주는 데 있다⁄§20 모든 감성적 직관은 범주에 따른다. 다양한 직관은 범주라는 조건 아래에서만 하나의 의식에 총괄될 수 있다⁄§21 주해⁄§22 범주는 경험의 대상에 적용될 수 있을 뿐이며 그 밖의 사물 인식에는 사용되지 않는다⁄§23⁄§24 감각 일반 대상에 대한 범주의 적용⁄§25⁄§26 순수지성 개념 일반에 가능한 경험 사용의 초월적 연역⁄§27 지성 개념의 초월적 연역의 결론⁄이 연역의 요약

 

제2편 원칙의 분석론
서언 초월적 판단력 일반에 대해서 … 162
제1장 순수지성 개념의 도식론에 대해서 … 164
제2장 순수지성의 모든 원칙 체계 … 170
제1절 모든 분석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서⁄제2절 모든 종합판단의 최고 원칙에 대해서⁄제3절 순수지성의 모든 종합적 원칙의 체계적 표현

 

제3장 모든 대상 일반을 현상체와 가상체로 구별하는 이유에 대해서 … 234
부록(경험적 지성 사용을 초월적 사용과 혼동함으로써 생기는 반성 개념의 모호성에 대해서⁄반성 개념의 모호성에 대한 주석)

 

제2부문 초월적 변증론 … 271
머리글(1. 초월적 가상에 대해서⁄2. 초월적 가상의 거처로서의 순수이성에 대해서―A. 이성 일반에 대해서 B. 이성의 논리적 사용에 대해서 C. 이성의 순수한 사용에 대해서)

 

제1편 순수이성의 개념에 대해서 … 280

제1절 이념 일반에 대해서⁄제2절 초월적 이념에 대해서⁄제3절 초월적 이념의 체계에 대해서

 

제2편 순수이성의 변증적 추리에 대해서 … 297

 

제1장 순수이성의 오류 추리에 대해서 … 298
[제1판] 실체성을 둘러싼 제1의 오류 추리⁄순수심리학에서 제1의 오류 추리의 비판⁄단순성을 둘러싼 제2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에서 제2의 오류 추리의 비판⁄인격성을 둘러싼 제3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의 제3의 오류 추리를 비판한다⁄동일성(외적 관계의)을 둘러싼 제4의 오류 추리⁄초월적 심리학의 제4의 오류 추리를 비판한다⁄이상의 오류 추리에 따라서 순수심리학을 종합적으로 고찰한다⁄[제2판] 영혼의 고정불변성에 대한 멘델스존의 증명을 논박한다⁄심리학적 오류 추리의 해결에 대한 결론⁄합리적 심리학으로부터 우주론으로의 이행에 대한 일반적 주해

 

제2장 순수이성의 이율배반 … 352
제1절 우주론적 이념의 체계⁄제2절 순수이성의 모순론(초월적 이념의 제1의 논쟁⁄제1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2의 논쟁⁄제2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3의 논쟁⁄제3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초월적 이념의 제4의 논쟁⁄제4의 이율배반에 대한 주석)⁄제3절 순수이성의 이율배반에 있어 이성의 관심에 대해서⁄제4절 반드시 해결되어야 하는 순수이성의 초월적 과제에 대해서⁄제5절 네 가지 초월적 이념에 의한 우주론적 문제의 회의적 표명⁄제6절 우주론적 변증론을 해결할 열쇠로서의 초월적 관념론⁄제7절 자신의 순수이성과 우주론적 논쟁의 비판적 해결⁄제8절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순수이성의 통제적 원리⁄제9절 우주론적 이념에 대한 이성의 통제적 원리의 경험적 사용에 대해서(Ⅰ. 현상을 세계 전체로 합성하는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Ⅱ. 직관에서 주어진 전체 분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Ⅲ. 그 원인에서의 세계 사건 추론의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Ⅳ. 현상적 현실 존재의 의존성 전체성에 대한 우주론적 이념의 해결)

 

제3장 순수이성의 이상 … 446
제1절 이상 일반에 대해서⁄제2절 초월적 이상(원형)에 대해서⁄제3절 사변적 이성이 최고 존재자의 현실 존재를 추리하는 근거에 대해서⁄사변적 이성에 기초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세 가지 방법⁄제4절 신의 존재에 대한 존재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서⁄제5절 신의 존재에 대한 우주론적 증명의 불가능성에 대해서⁄필연적 존재의 현존에 대한 모든 초월적 논증에서의 변증적 가상의 발견과 설명⁄제6절 자연신학적 증명 불가능에 대해서⁄제7절 이성의 사변적 원리에 입각한 모든 신학을 비판한다⁄초월적 변증론에 대한 부록

 

초월적 방법론
초월적 방법론 … 531
제1장 순수이성의 훈육 … 533
제1절 독단적 사용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제2절 논쟁적 사용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자기분열을 일으킨 순수이성을 회의적으로 만족시킬 수 없음에 대해서⁄제3절 가설에서 순수이성의 훈육⁄제4절 증명에서 순수이성의 훈육

 

제2장 순수이성의 규준 … 585
제1절 우리 이성의 순수사용의 궁극 목적에 대해서⁄제2절 순수이성의 궁극 목적의 결정 근거로서 최고선의 이상에 대해서⁄제3절 의견과 앎과 믿음에 대해서

 

제3장 순수이성의 건축술 … 608
제4장 순수이성의 역사 … 620

 

칸트의 생애와 사상
철학 연구에 바친 생애 … 625
정든 쾨니히스베르크⁄이름 없는 한 시민의 아들⁄나의 길, 대학교수⁄세월과의 전쟁⁄인간 칸트의 됨됨이

 

인간이란 무엇인가 … 682
비판철학의 과제⁄인간은 무엇을 알 수 있는가⁄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도덕과 자연의 조화⁄인간은 무엇을 바라야 하는가⁄영원한 평화를 위하여⁄결국 인간이란 무엇인가⁄맺는말

 

칸트 연보 … 769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임마누엘 칸트
1724년 4월 22일 프로이센(Preußen) 쾨니히스베르크(K?nigsberg)에서 수공업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730~32년까지 병원 부설 학교를, 1732~40년까지 오늘날 김나지움(Gymnasium)에 해당하는 콜레기움 프리데리키아눔(Collegium Fridericianum)을 다녔다. 1740년에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 입학해 주로 철학, 수학, 자연과학을 공부했다. 1746년 대학 수업을 마친 후 10년 가까이 가정교사 생활을 했다. 1749년에 첫 저서 『살아 있는 힘의 참된 측정에 관한 사상』을 출판했다. 1755/56년도 겨울학기부터 사강사(Privatdozent)로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다. 『자연신학 원칙과 도덕 원칙의 명확성에 관한 연구』(1764)가 1763년 베를린 학술원 현상 공모에서 2등상을 받았다. 1766년 쾨니히스베르크 왕립 도서관의 부사서로 일하게 됨으로써 처음으로 고정 급여를 받는 직책을 얻었다. 1770년 쾨니히스베르크대학교의 논리학과 형이상학을 담당하는 정교수가 되었고, 교수취임 논문으로 『감성계와 지성계의 형식과 원리』를 발표했다. 그 뒤 『순수이성비판』(1781), 『도덕형이상학 정초』(1785), 『실천이성비판』(1788), 『판단력비판』(1790), 『도덕형이상학』(1797) 등을 출판했다.
1786년 여름학기와 1788년 여름학기에 대학 총장직을 맡았고, 1796년 여름학기까지 강의했다. 1804년 2월 12일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사망했고 2월 28일 대학 교회의 교수 묘지에 안장되었다. 칸트의 생애는 지극히 평범했다. 그의 생애에서 우리 관심을 끌 만한 사건을 굳이 들자면 『이성의 오롯한 한계 안의 종교』(1793) 때문에 검열 당국과 빚은 마찰을 언급할 수 있겠다. 더욱이 중년 이후 칸트는 일과표를 정확히 지키는 지극히 규칙적인 삶을 영위한다. 하지만 단조롭게 보이는 그의 삶은 의도적으로 노력한 결과였다. 그는 자기 삶에 방해가 되는 세인의 주목을 원하지 않았다. 세속적인 명예나 찬사는 그가 바라는 바가 아니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