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2D 뒤표지

동네에서 만난 새


  • ISBN-13
    979-11-86440-74-2 (03490)
  • 출판사 / 임프린트
    가지출판사 / 가지출판사
  • 정가
    1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2-0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치니치잇슈
  • 번역
    전선영
  • 메인주제어
    야생동물: 새, 들새관찰: 일반
  • 추가주제어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새 , 교육 , 생태과학, 생물권 ,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생태계
  • 키워드
    #과학 #국내도서 #기초과학/교양과학 #동물과 식물 #새 #청소년 #청소년 수학/과학 #야생동물: 새, 들새관찰: 일반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새 #교육 #생태과학, 생물권 #어린이, 청소년 교양: 생태계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2 * 200 mm, 192 Page

책소개

“이 책 한 권이면 60종은 금방 알아볼 수 있다!”

동네에서 사계절, 산책하듯 새 관찰에 입문하는 법 

 

 

: 필명이 '하루 한 종'?! 탐조에 진심인 일본인 저자가 직접 보고, 그리고, 쓴 책

: 국내 탐조인들의 바이블 《한국의 새》 저자, 국립생물자원관 박진영 박사의 특별 감수

: 구독자 26만 명, 동영상 누적조회수 3000만 회, 탐조 전문 유튜버 ‘새덕후’ 강력 추천

 

 

출퇴근·등하교·산책길에 동네에서 자주 마주치는 새들의 생태 이야기를 모은 책이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누구라도 생활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귀엽고 야무진 새 60여 종의 먹이 활동, 구애 행동, 집짓기와 육아법, 소리와 몸짓, 그 외 볼수록 신기한 생태 이야기를 전한다. 우리나라와 조류의 분포 및 식생이 비슷한 일본에서 야생동물 조사원으로 일했던 저자가 직접 눈으로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고 글을 써서 구성했다. 생김새만 세밀히 묘사한 그림이 아니라 행동과 특징, 실제 환경에서 발견된 모습 그대로 원색 일러스트로 그려 실제 현장에서 새를 발견하고 그 행동을 이해하기에 좋다. 평소 동네에서 만나는 새들의 행동과 소리, 자세한 생김새가 궁금했던 사람이라면 탐조 최적기인 겨울은 물론이고 사계절 곁에 두고 보면서 온 가족의 첫 새 관찰 책으로 삼을 만하다. 

 

*추천사

 

30년 넘게 새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일을 하다 보니 새에 관한 질문을 받고 답하는 데 익숙하다. 최근 새 관찰에 빠진 사람이 늘고 있다는데 여전히 비슷한 질문을 많이 받는 것은 새에 대한 첫 번째 궁금증을 해소해줄 적당한 책이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질문을 받으면 가장 먼저 읽어보라고 추천할 만한 책이 나왔다. 제목도 친근한 《동네에서 만난 새》는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새를 보며 느끼게 될 거의 모든 궁금증에 대한 해답을 한 권에 담고 있다. 다양한 새가 살아가는 모습을 유머 넘치는 그림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데다 간단치 않은 생태 정보까지 알차게 담겼다. 탐조 내공이 넘치는 저자의 애정 어린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누구나 새의 매력에 빠져들게 될 것 같다. 이 책을 통해, 저자가 꿈꾸는 새와 사람이 함께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가는 일에도 공감하는 사람이 많아지기를 바란다. 

 

박진영_조류학 박사, 국가철새연구센터 초대 센터장, 《한국의 새》 저자  

 

 

이 책은 최소 두 번은 읽어야 한다. 한 번은 새 관찰을 시작하기에 앞서. ‘새를 보려면 어디로 가야 하지? 어떻게 해야 하지? 무엇을 준비해야 하지?’ 자신의 일상에 새 보는 취미를 더하고 싶지만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읽으면 분명 도움이 될 책이다. 새를 본다는 것이 얼마나 쉽고 단순한 일인지, 미지의 영역이던 ‘탐조’의 세계에 쉽게 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확 낮춰준다. 두 번째는 새를 직접 관찰하면서 그들의 행동에 궁금증이 생길 때 다시 한 번 펼쳐 보길 권한다. ‘지금 들리는 새소리에 무슨 뜻이 있는 걸까? 저 새는 왜 유난히 꼬리를 자주 흔들지?’ 호기심을 품고 새를 들여다보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질문이 생길 것이다. 이 책은 우리가 야외에서 관찰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새들의 행동에 대한 궁금증을 눈높이 교과서처럼 해결해준다. 동네를 거닐다 자꾸 눈에 들어오던 새들을 이제는 알아가고 이해하고 싶다고 생각하는 분들께 이 책을 적극 추천한다.

 

새덕후(김어진)_탐조 전문 유튜버

목차

프롤로그

010 가장 친근한 야생동물 관찰하기
012 ‘새 보기’의 즐거움
014 오가며 ‘겸사겸사’ 보자
016 알맞은 시간대와 시기
018 발견 포인트
020 주의해야 할 매너 

제1장 우리 곁으로도 먹으러 옵니다 ? 새들의 먹이 활동

024 금강산도 식후경! 강경책으로 꿀을 얻다 참새 +
026 동백꽃에 남은 수수께끼 구멍과 긁힌 상처의 원인은? 동박새
028 꽃잎도 이파리도 모두 따 먹는 호기심 왕성한 새 직박구리
030 종종걸음으로 먹이를 찾는 희고 검은 새 백할미새
032 기름진 음식을 좋아해서 비누까지 먹어 치우다? 큰부리까마귀
034 사람을 이용하는 잔머리의 귀재 까마귀
036 노리고 있는 것은 당신…이 아니라 당신의 음식 솔개
038 새털이 우수수 흩어져 있는 흔적, 대체 누가 이런 짓을? 참매
040 가여운 참새와 개구리가 꼬치에 꿰인 이유 떼까치
042 곤충 사체가 토막 나 땅에 떨어져 있다면 솔부엉이
044 공원 연못에 ‘죽순’처럼 솟아 있는 새 고방오리
046 같은 장소를 빙글빙글 맴도는 수수께끼 집단 넓적부리
048 ‘뒤적뒤적 킥’으로 물고기를 잡는 새 쇠백로
050 루어 낚시의 명수! 가짜 먹이를 사용할 줄 아는 새 검은댕기해오라기 +
052 자기 머리보다 큰 먹이도 통째로 삼키는 새 민물가마우지 +
054 어뢰 나르듯 먹이를 들고 날다 물수리
056 제비가 낮게 날면 곧 비가 내린다고? 제비 +
058 새의 부리, 사람이 쓰는 도구에 비유한다면? 동박새, 참매

제2장 억지로 밀어붙이거나 선물을 주거나 - 새들의 구애 행동

060 비둘기의 구애는 끈질기다 ① 목 부풀려 어필하기 집비둘기
062 비둘기의 구애는 끈질기다 ② 몇 번이나 고개 숙여 부탁하기 멧비둘기
064 알콩달콩 사이좋게 서로의 깃털을 골라주는 새 동박새 +
066 장래까지 생각하는 암컷은 수컷의 선물에 등급을 매긴다 물총새
068 새의 노랫소리는 두 종류! 러브송은 음이 높다 섬휘파람새
070 울음소리가 다는 아니다. 암컷에게 어필하는 색다른 방법 일본꿩 +
072 역시 외모가 중요해? 목의 빨간색이 필살기 제비 +
074 눈 깜짝할 새 끝나는 새들의 짝짓기 참새 +
076 번식기가 아닌 가을과 겨울에도 짝짓기를 한다?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078 새의 부리, 사람이 쓰는 도구에 비유한다면? 넒적부리도요

제3장 개성 만점 ‘우리 집’ - 새들의 둥지 짓기와 육아

080 우편함도 화분도 가리지 않는 너무도 자유로운 집짓기 박새
082 전봇대나 지붕 주변의 우량 매물은 놓치지 않는다 참새
084 방범 카메라 위에도?! 생각지 못한 곳에 둥지가 있다 제비
086 빈집의 미닫이창을 태연히 빌려 쓰는 새 찌르레기
088 하천 부지에서 가까운 다리는 육아에 안성맞춤 황조롱이
090 까마귀 둥지에 세탁소 옷걸이가? 큰부리까마귀
092 [칼럼] 쓰레기라도 괜찮아! 도시파 새들의 둥지 짓기 동박새 +
094 솜털 듬뿍! 푹신푹신한 아기 침대 오목눈이
096 그걸로 끝이라고? 너무나도 투박한 둥지 짓기 멧비둘기
098 적을 떼어놓기 위해 연기하는 새 꼬마물떼새
100 엄마랑 아기랑 행진하듯 나란히 나란히… 흰뺨검둥오리
102 새의 부리, 사람이 쓰는 도구에 비유한다면? 마도요

제4장 누구의 소리일까? 왜 저렇게 움직일까? - 새들의 소리와 몸짓

104 한 번쯤 들었을 그 소리! 부스스한 머리의 잿빛 새 직박구리
106 ‘까악까악’과 ‘가악가악’, 까마귀 두 종류를 구분하는 소리 까마귀, 큰부리까마귀
108 사랑의 멜로디라고 꼭 아름답지는 않다 방울새 +
110 ‘칫’ 소리 하나만으로도 누군지 알 수 있다 멧새, 섬촉새
112 ‘짹짹’밖에 없다고? 훨씬 다양한 참새 소리 참새
114 문 삐걱대는 소리에 자전거 브레이크 소리까지? 쇠딱따구리 +
116 갈대밭의 음치! 충격적인 노래 솜씨 개개비
118 높이 날아 아름답게 노래 부르는 새 종다리
120 봄을 알리는 새? 그러나 첫 울음은 어정쩡하다 섬휘파람새
122 인기 없는 수컷들은 여름에도 노래를 한다 멧새
124 내륙으로 진출 중! 아름답게 지저귀는 파란 새 바다직박구리
126 아름다운 소리지만 시끄럽다는 불평도 듣는 외래종 화미조
128 우리 동네에도 사는 그 새가 말을 할 줄 안다고? 박새
130 새가 귀엽게 고개를 갸웃하는 이유 오목눈이
132 비둘기는 왜 고개를 앞뒤로 움직이며 걸을까? 집비둘기 +
134 혼자서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를 하는 새 개똥지빠귀
136 새의 부리, 사람이 쓰는 도구에 비유한다면? 노랑부리저어새

제5장 알수록 재미있는 새들의 생태

138 새는 역시 공룡의 자손! 늠름한 자태로 일광욕하는 새 민물가마우지 +
140 깃털 뭉치에 다리는 하나! 낮에는 자는 새들 해오라기 +
142 새가 몸을 씻는 데 사용하는 것은 물, 모래 그리고? 참새 +
144 물 마시는 것도, 목욕도, 식사도 날면서 한다 제비 +
146 더운 날에 새들은 입을 떡 벌리고 있다 큰부리까마귀 +
148 날이 추우면 함께 모여 몸을 부풀린다 참새 +
150 생존을 위한 동거, 다른 종이라도 괜찮아! 박새 +
152 도심 불빛에 모여들어 잠을 자는 새들 백할미새 +
154 새들이 V자 대열로 날아가는 이유는? 민물가마우지
156 머리 좋은 까마귀는 ‘놀이’를 한다? 큰부리까마귀
158 거울 속 자신에게 싸움을 거는 새 딱새 +
160 운 좋으면 동네에서도 희귀새를 만날 수 있다 황금새
162 [칼럼] 쌍안경 선택과 사용법
164 새의 부리, 사람이 쓰는 도구에 비유한다면? 황금새

부록만화)
이럴 땐 어떡하나요? : 가까이 사는 새들과 잘 지내려면

166 #1 제비와 사이좋게 공생하려면?
172 #2 비둘기가 끈질겨서 곤란할 때는?
176 #3 새 충돌 사고 ? 버드 스트라이크
180 #4 다친 새를 보았다면?
186 인사말
188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출퇴근·등하교·산책길에 동네에서 자주 만나는 새들

60여 종의 생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읽는다!

 

멀리 가지 않아도 볼 수 있는 귀엽고 당찬 새들! 새는 사람의 삶에 매우 밀접한 야생동물이다. 동물원에 가지 않아도, 대자연의 품에 안기지 않더라도, 집 주변을 ‘산책’만 하면서도 볼 수 있다. ‘동네에서 만난 새’라고 하면 기껏해야 참새, 까치, 비둘기 정도를 상상할지 모르겠다. 매일 보는 그 새들도 알고 보면 하나하나 개성이 넘치지만, 눈길을 돌려 주변을 세세히 살피면 우리 생활 주변에서 만날 수 있는 새의 종류가 생각보다 많다. 새 보는 눈이 트이면 매일 걸어 다니는 길에서, 쌍안경 같은 특별한 장비 없이도 하루에 몇 십 종이나 되는 새를 만날 수 있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 사는 친근한 새들의 신기하고 재미있는 생태 이야기를 풍부한 삽화와 생동감 있는 해설로 소개한다. 일본에서 야생동물 조사원으로 일했던 작가가 직접 동네에서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덧붙였다. 저자는 ‘하루 한 종(一日一種)’이라는 뜻의 재치 있는 필명으로 트위터 등 SNS에 새를 비롯한 야생동물 관찰담을 소개하는 귀여운 그림과 4컷 만화를 올려 인기를 끌어왔으며 그 주제와 관련해 몇 권의 저작이 있다. 이번 책은 보통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새들을 주인공으로 재밌고 신기한 새 생태 이야기를 풀어낸 것으로, 새가 궁금하지만 아직 전문적인 탐조 세계에 발을 들일 자신은 없는 초보자들이 익숙한 동네 길을 오가며 서서히 관찰에 눈 뜨기에 안성맞춤인 안내서다.

책에 수록된 새의 종류는 60여 종이다. 현장감을 살린 귀여운 일러스트 그림과 함께 ‘새들은 왜 이런 행동을 할까?’ 하는 궁금증에 답해주는 생태 해설이 기본 골격을 이룬다. 앞머리에는 새를 만나기 좋은 시간대와 시기, 새들이 주로 머무는 장소, 새를 관찰할 때 지켜야 할 에티켓 등을 먼저 소개하고, 본문은 크게 새들의 먹이 활동, 구애 활동, 둥지 짓기와 육아, 소리와 몸짓, 그 외에 알수록 재미있는 생태 이야기, 이상 총 5장에 나누어 담았다. 마지막에는 일반인이 기본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 ‘가까이 사는 새들과 잘 지내는 법’ 4가지를 단편 쪽만화로 그려 이해하기 쉽게 소개했다. 

새들의 입장에서 일본은 우리나라와 지리적 위치, 기후, 자연환경이 상당히 비슷하다. 따라서 여름과 겨울에 찾아오는 철새의 이동경로가 겹치는 등 이 책에 소개된 새 대부분을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다. 다만 새 이름 표기와 울음소리 묘사 등 학술적, 문화적 차이가 있고, 종마다 구체적인 서식 정보와 관찰 기록 등에서 세밀한 차이가 있다. 이런 부분을 감안해 번역서는 국립생물자원관 소속 박진영 조류학 박사의 꼼꼼한 감수를 거쳐 국내 상황에 맞게 일부 내용을 수정해서 실었다. 원고 감수를 맡은 박진영 박사는 국내 탐조인들의 바이블로 통하는 《한국의 새》 저자이자, 2019년 소청도에 세워진 국가철새연구센터의 초대 센터장을 지내기도 한 우리나라 대표 조류학자이다. 

저자소개

저자 : 이치니치잇슈
‘하루 한 종’이라는 뜻의 필명. 야생에 사는 생물의 매력을 전하고 싶어서 만화와 삽화를 그리며 글을 쓰는, 전직 야생동물 조사원이다. 그림에 담긴 빼어난 관찰력과 묘사, 독특한 세계관으로 트위터 등 SNS에서 화제가 되었다. 지은 책으로《와일드 드라이브! 친근한 생물의 관찰 도감》 《와일드 드라이브! 2 친근한 생물의 관찰 도감》 《탐험! 마을 뒷산 생물 도감》 등이 있고, 탐조 전문지에도 종종 기고하고 있다.
번역 : 전선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를 졸업하고 일본어 출판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30개 도시로 읽는 일본사》 《데이터 프라이버시》 《식사가 잘못됐습니다》 《쓸데없는 걱정 따위》 등 40여 권이 있다.
감수 : 박진영
경희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조류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2019년 인천 소청도에 세워진 국가철새연구센터의 초대 센터장을 역임했다. 30여 년 간 철새의 생태, 이동, 분포에 대해 연구했고, 현장에서 새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시간을 가장 행복하게 생각한다. 지은 책으로 《한국의 새(야외원색도감)》 《한국의 도요물떼새》 《새의 노래 새의 눈물》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