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국어 교육의 공학적 이해


  • ISBN-13
    979-11-979113-1-6 (93710)
  • 출판사 / 임프린트
    책바퀴 / 책바퀴
  • 정가
    2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10-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평원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교과교육론 #교육 일반 #교육 커리큘럼 #교육공학/수업설계 #교육학 #국내도서 #국어교육 전공 #대학교재/전문서적 #사범계열 #사회과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416 Page

책소개



교육 공학은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된 개념적 모형 또는 절차적 모형과 같은 실천적 지식을 현장에 제공하는 교육학의 하위 분야이다. 하지만 교육 공학에서 제공하는 모형들은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특정 교과를 고려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를 교과 교수·학습 방법 차원으로 실천하는 것은 교과 전문가의 몫이다.
교과 교사들의 고민은 이러한 교수·학습 모형을 익혔다고 해서 좋은 수업을 보장할 수 없다는 데 있다. 때문에 국어 교사 스스로 다양한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을 구축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를 제공하여 테크놀로지에 익숙하지 않은 교사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책은 인공 지능 시대의 기술 혁신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는 이공계 학문 분야의 지식이나 테크놀로지를 국어과 교수·학습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사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자는 국어 교육이 다양한 학문 분야와 융합해야 범교과적인 의사소통 전략과 문화 콘텐츠의 창작 원리를 제공할 수 있는 도구 교과로서의 위상을 유지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사례들은 저자가 박사 학위를 받은 후 10년 이상 다른 학문 분야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연구한 성과를 토대로 하고 있다. 이 책에 소개한 전략들은 대학 병원 신경과 교수를 비롯하여 컴퓨터 과학 분야 전문가의 검수를 거쳐 수정을 거듭하였으며, 인천대학교 사범 대학 7개 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공학 수업을 통해 예비 교사 교육에 적용한 바 있다.
이 책에 소개된 교수·학습 내용과 현장 적용 사례들은 실제 중·고등학교 현장에 10년 이상 적용하면서 효과가 검증된 것만을 엄선한 것이다. 공학적 개념이 포함되어 국내 학문 공동체에서는 동료 평가가 어려운 아이디어들은 해외 학술지 심사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SSCI급, SCI급 저널에 게재된 내용을 중심으로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그림들을 수록하였으며,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가 직접 제작한 다양한 다큐멘터리 영상들도 QR코드로 삽입하여 수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가 소개한 ‘국어과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K-TPACK)’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작문 교육에서는 ‘협동 작문을 온라인 시스템으로 구현한 교육 방법’을,
문법 교육에서는 ‘음성 분석 도구를 활용한 음운론 교수·학습 방법을,
읽기 교육에서는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읽기 교수·학습 방법’을,
문학 교육에서는 ‘영상 서사물의 서사 거리를 탐구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화법 교육에서는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화법 교수·학습 방법’을 사례로 들어 국어과 각 분야에서의 다양한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 구축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
그 밖에도 한글 자판 논쟁을 논제로 한 CEDA 방식 토론 사례, 생체 신호를 활용한 욕설 현상 탐구 등의 다양한 국어과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으며, 국어과가 대처할 수 있는 '교과 기반 코딩 교육'의 전략을 소개하면서 국어 어문 규정을 적용한 알고리즘과 같이 국어과 내용만으로도 '컴퓨터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목차

1부. 국어 교육과 교육 공학
1장. 국어 교육과 시각 교육
1. 교육 공학의 이해
2. 사실적 표상을 활용한 시각 교육
3. 추상적 표상을 활용한 시각 교육

2장. 국어 교육과 시청각 교육
1. 시청각 교육
2. 시청각 커뮤니케이션

3장. 국어 교육과 테크놀로지
1. 내용 교수 지식(PCK)
2.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TPACK)
3. 국어과 테크놀로지 내용 교수 지식(K-TPACK)

2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국어 교육
4장.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국어 교육
1. 생체 신호의 이해
2. 신경계와 바이오피드백의 원리
3. 바이오피드백을 활용한 화법 교육

5장.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국어 교육
1. 시선 추적 분석의 원리
2.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자료 해석 과정 분석
3. 히트 맵을 활용한 읽기 과정 교육

6장. 음성 분석을 활용한 국어 교육
1. 음성 기록 매체와 음성의 물리적 특성
2. 발성과 포먼트(formant)의 이해
3. 포먼트를 활용한 발음 교육과 교정

7장. 생체 신호를 활용한 국어과 프로젝트
1. 생체 신호를 활용한 복합 양식 미디어 텍스트 탐구
2. 생체 신호를 활용한 욕설 현상 탐구
3. 생체 신호를 활용한 영화 수용 현상 탐구

3부. 국어 교육과 ICT & AI
8장. 국어 교육과 정보 통신 기술
1. 전신기와 한글의 만남
2. 한글과 타자기의 만남
3. 한글 기계화 쟁점을 활용한 토론

9장. 국어 교육과 인공 지능
1. 교과 기반 코딩 교육
2. 국어 교육과 알고리즘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평원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 교육에 적합한 텍스트는 한 분야를 깊이 파고든 전문적인 지식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가 융합된 지식이라는 신념 아래 인문·사회·자연·공학 등 여러 학문 분야의 글쓰기와 말하기 교육을 연구해 왔다. 『엔지니어 정약용(2017)』, 『임진왜란과 거북선 논쟁의 새로운 패러다임(2022)』 등은 인문학과 공학을 융합한 범교과적 독서, 작문, 화법 교육용 텍스트로서, K-MOOC(Korean Massive Open Online Course, 한국형 온라인 공개 강좌)를 통해 강의를 공개하였다. 바이오피드백을 국어 교육 분야에 적용한 논문으로 제1회 젊은 국어교육학자상(2011, 국어교육학회)을, 이공계 커뮤니케이션 교육과 공학 토론을 현장에 보급한 공로로 해동상 공학 교육 혁신 부문상(2011, 한국공학한림원)을 수상하였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