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경성 살인사건

식민지 조선 사회에 ‘충격’과 ‘분노’를 불러일으킨 “그로 百% 살인사건”들


  • ISBN-13
    979-11-90631-49-5 (03330)
  • 출판사 / 임프린트
    써네스트 / 공작기계
  • 정가
    1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8-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복준
  • 번역
    -
  • 메인주제어
    사회, 문화: 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범죄문제 #사회과학 #사회문제 #사회사 #역사 #일제치하/항일시대 #테마로 보는 역사 #한국근현대사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232 Page

책소개



100년 전 조선을 휩쓸었던 3개의 유행어는 ‘에로(에로스)’와 ‘그로(그로테스크)’, 그리고 ‘넌센스’였다. 그 연장선에서 본다면 이 책《경성살인사건》은 ‘그로(그로테스크)’에 관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로테스크’라고 정의한 사건들의 표면을 한 겹만 벗겨 보면 전혀 다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당시의 언론들은 사건의 표면에 드러난 그로테스크한 장면을 포착하고 있지만, 그 사건을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는 식민지 시대의 억압적인 현실이나 시대적 한계 속에서 사람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죽첨정 단두 유아’ 사건의 경우 지금의 눈높이에서는 황당한 수준이지만, ‘과학수사’라는 이름으로 사건의 수사를 진행했다. 실제로 당대 최고의 의사들로 구성된 경성제국대학 의사들이 부검을 하고 결과를 발표하기까지 한다. 이 모든 과정을 거쳐 밝혀진 ‘죽첨정 단두 유아’ 사건, 즉 유아 사체 훼손 사건은 식민지의 열악한 의료 환경과 관련이 있었다. 1930년대에는 의사 1인이 환자 3만 명을 담당해야 했기 때문에 빈민층이나 하층민의 경우에는 민간요법이나 미신과 같은 전근대적인 방법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1. 범인을 밝혔지만 ‘미제 사건’으로 남은 살인사건
- 마리아 살인사건
2. ‘충정로 거리’에서 발견된 잘려진 아기 머리
- 죽첨정 단두 유아 사건
3. ‘미인’으로 포장된 남편 독살범인가 시대의 희생양인가
- 독살 미녀 김정필 사건
4. 그들은 왜 흰옷을 입었는가?
- 사이비 종교 백백교 사건
5. 100년은 앞서서 일어난 ‘연쇄살인’사건, 혹은 무죄
- 이관규 ‘연쇄’살인사건
6. 도쿄에서 폭발한 ‘조선인’ 전차 조종수의 분노
- 이판능 살인사건
7. 보험을 투자라고 생각한 아들의 최후
- 오천일 살부 사건
8. 자백, 그리고 ‘무덤 속 아들’의 귀환
- 청양 이창수 살인사건
에필로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복준
1982년 경찰에 입문하여 2014년 동두천경찰서 수사과장으로 퇴직할 때까지 32년 동안 수사 외길을 걸었다. 법을 어긴 사람은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소신을 지킨 탓에 동료나 범인들로부터 '쌍심줄' '악질 형사' '에이즈 형사'로 불려왔다. 건국대학교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고 경찰교육기관에서 후배들 양성에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TV 프로그램에서 패널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범죄학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범죄학을 연구하는 중이다. 국립중앙경찰학교 수사학과 교수였으며, 현재 한국범죄학연구소 선임연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유튜브 [사건의뢰]에서 진행을 맡고 있다. 저서로 『대한민국 살인사건 1』, 『대한민국 살인사건 2』, 『형사 김복준』이 있다. 최근작 : 경성 살인사건,대한민국 살인사건 3,연쇄범죄란 무엇인가 … 총 13종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