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백워드로 설계하고 피드백으로 완성하는 성장중심평가


  • ISBN-13
    979-11-5930-235-0 (9337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살림터 / 도서출판 살림터
  • 정가
    1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9-23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형빈 , 김성수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교육 일반 #교육과정/교육평가 #교육학 #교육학 일반 #국내도서 #대학교재/전문서적 #사범계열 #사회과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53 * 224 mm, 352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들어가며 | 평가의 목적은 ‘성적’이 아니라 ‘성장’입니다 5

1부 평가 혁신의 방향
1. 평가의 개념 15
2. ‘선발적 평가관’에서 ‘발달적 평가관’으로 19
3.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24
4. ‘내면화된 상대평가’의 극복 31
5. ‘양적 평가’에서 ‘질적 평가’로 37
6. ‘결과중심평가’에서 ‘과정중심평가’로 40
7. ‘일제식 평가’에서 ‘교사별 평가’로 44
8.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49
9. 타당도와 신뢰도, 무엇이 ‘공정한 평가’인가? 53
10. ‘대안적 평가’로서의 수행평가 59
11. ‘좋은 수행평가’가 갖추어야 할 요건 67
12. 평가 혁신을 위한 학교 급별 과제 75
● 토론 주제 81

2부 성장중심평가의 개념과 원리
1. ‘과정중심평가’의 의미와 한계 85
2. 인간의 성장, 듀이에게 배우다 91
3. ‘성장중심평가’, 비고츠키에게 아이디어를 얻다 95
4. ‘성장중심평가’의 개념과 요소 102
5. ‘피드백’과 ‘재도전’이 있는 성장중심평가 109
6. 성장중심평가를 위한 대안적 루브릭 115

7.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포괄하는 성장중심평가 127
8. ‘자기평가’와 ‘동료평가’가 결합된 성장중심평가 135
9. 성장중심평가에서 피드백의 유형과 방법 143
10. 피드백 중심 수업-평가 사례 162
● 토론 주제 173

3부 성장중심평가의 실제:
백워드 방식의 총괄평가-형성평가-진단평가
1. 지필평가/수행평가 이분법 뛰어넘기 177
2. 백워드 교육과정과 성장중심평가 182
3. 백워드 방식으로 총괄평가-형성평가-진단평가계획 수립하기 199
4. 백워드 방식의 성장중심평가 사례 1: 학기별 평가계획(국어과) 223
5. 백워드 방식의 성장중심평가 사례 2: 학기별 평가계획(수학과) 238
6. 백워드 방식의 성장중심평가 사례 3: 단원별 평가계획(과학과) 255
● 토론 주제 265

4부 평가 혁신을 위한 학교공동체의 실천
1. 좋은 평가를 위해 학교공동체가 공유해야 할 원리 269
2. 학교공동체가 함께 만드는 평가 수립 절차 278
3. 평가 혁신을 위한 공동체적 실천 사례(덕양중학교) 293
4. 학교의 평가문화 성찰하기 311
5. 입시제도 개선을 이끄는 평가 혁신 실천하기 323
6. 좋은 평가를 위한 교사 전문성 기준 331
● 토론 주제 337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형빈
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이화여고 교사, 서울교육청 정책보좌관, 광주여자대학교 교수, 강원도교육연구원 정책연구팀장 등을 역임하였다. 학교현장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교육개혁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교육과정-수업-평가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교사를 위한 교육학 강의』, 『평화의 교육과정 섬김의 리더십』(공저), 『수포자의 시대』(공저), 역서로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마이클 애플)』 등이 있다. 최근작 : 백워드로 설계하고 피드백으로 완성하는 성장중심평가,교사를 위한 교육학 강의,수포자의 시대 … 총 6종
저자 : 김성수
현 덕양중학교 교사. 신능중학교 혁신부장, 좋은교사운동 교육과정위원장,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정책위원, 전국수학교사모임 수학교육정책팀장,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심의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교육과정-수업-평가 혁신을 위한 연구와 실천을 통해 좋은 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서로 『수포자의 시대』(공저), 『교육과정통합 어떻게 할 것인가?』(공저), 『수학의 발견』(공저) 등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