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항공정비관리


  • ISBN-13
    978-89-8458-351-1 (93550)
  • 출판사 / 임프린트
    노드미디어 / 노드미디어
  • 정가
    2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9-2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천용 , 최세종
  • 번역
    -
  • 메인주제어
    기술, 공학, 농축산업, 산업공정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공학계열 #국내도서 #대학교재/전문서적 #우주/해양/조선 기타공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286 Page

책소개



우리나라 항공 산업에 맞는 항공정비관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책이다. Harry A. Kinnison 박사의 교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항공안전법을 비롯한 운항 기술기준, 항공기 기술기준 등의 규정과 국적 항공사의 항공 정비조직 내용을 반영하여 항공산업 및 항공사의 항공정비 필수 요목, 정비계획 및 통제, 항공정비규정, 정비프로그램 개발, 항공 안전 및 개선에 필요한 통찰력과 관점을 설명하고 있다.

목차

제1장 항공 정비의 이해
1. 항공 정비의 개념
2. 계획 정비와 비계획정비
3. 신뢰성과 개조
4. 고장률 패턴
5. 기타 정비 고려사항
6. 정비프로그램 수립

제2장 항공기 정비프로그램
1. 정비프로그램의 개발
2. 항공운송 사업자용 정비프로그램 기준

제3장 항공산업 인증
1. 항공기 인증(Aircraft certification)
2. 항공기 인도검사(Delivery Inspection)
3. 항공 운항 증명(Operator certification)
4. 종사자 자격(Certification of personnel)
5. 항공 정비 자격(Aviation maintenance certifications)
6. 항공산업 상호작용(Aviation industry interaction)

제4장 항공 정비문서
1. 항공 정비문서의 개념
2. 제작사 문서(Manufacturer's documentation)
3. 감항 당국 발행 문서
4. 항공사 발행 문서
5. ATA 문서 표준(ATA document standards)
6. TPPM 주요 내용

제5장 정비본부 조직
1. 조직 구조(Organizational structure)
2. 정비본부 조직도(The M&E organizational chart)
3. 부서별 관리자 역할
4. 전형적인 조직의 변형

제6장 기술 관리
1. 항공사의 엔지니어링 개념
2. 엔지니어링의 구성(Makeup of engineering)
3. 정비사와 엔지니어(Mechanics and engineers)
4. 기술부의 역할(Engineering department functions)
5. 기술지시(EO) 발행 과정

제7장 생산계획 및 통제
1. 생산계획 및 통제조직
2. 생산계획 및 통제부서의 역할
3. 예측(Forecasting)
4. 생산계획(Production planning)
5. 생산 통제(Production control)
6. 기타 계획된 작업(Other scheduled work)
7. 계획을 위한 피드백(Feedback for planning)

제8장 정비 교육훈련
1. 정비 교육훈련의 개념
2. 항공 정비 교육훈련 프로그램
3. 교육훈련 과정의 구분
4. 교육훈련 프로그램 기본요소

제9장 항공기 운항정비
1. 항공기 운항정비의 개념
2. 정비 통제기능
3. 운항정비 작업일반
4. 항공일지(aircraft logbook)
5. 계류장과 터미널 운영(Ramp and terminal operations)
6. 운항 정비사의 자격요건(Maintenance crew skill requirements)

제10장 공장 정비
1. 기체 점검 정비의 개념
2. 기체 점검 정비 절차(‘C’ 체크 기반)
3. 기체 점검 지원작업장과 오버-홀 작업장
4. 오버-홀 작업장의 운영
5. 작업장 자료수집(Shop data collection)

제11장 자재 지원
1. 자재관리 조직과 기능
2. 항공 정비 자재의 특징
3. 자재관리(Materiel management)
4. 자재의 지원 기능(Support functions of materiel)
5. 기타 자재 기능(Other material functions)

제12장 품질 보증
1. 품질 보증 요건(Requirement for quality assurance)
2. 품질심사(Quality audits)
3. 품질기준(기술기준, 작업기준)
4. 정비작업문서의 기록

제13장 품질관리
1. 품질관리 일반
2. 품질관리 조직(Quality control organization)
3. QC 검사원 자격(Inspector qualifications)
4. 기본적인 검사 정책(Basic inspection policies)
5. 기타 품질관리 업무(Other QC activities)

제14장 신뢰성관리
1. 신뢰성의 개념
2. 신뢰성의 유형(Types of reliability)
3. 신뢰성 프로그램(Reliability program)
4. 신뢰성 프로그램의 기타기능(Other functions of the reliability program)
5. 신뢰성 프로그램 관리(Management of the reliability program)

제15장 항공 정비 안전
1. 산업 안전보건(Industrial safety&health)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천용
정석항공과학고(구. 한독실고) 졸업, 부경대학교 산업공학과 졸업(공학사), 인하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인사조직 전공(경영학 석사) 및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항공운항관리 전공(이학박사).

1976년부터 주식회사 대한항공 원동기 정비공장에서 엔진 정비사를 시작으로 운항기술지원, 항공기 부품 재고관리 및 외주 수리, 직업훈련원 전임교수, 항공기 엔진 정비훈련 강사 및 정비품질부에서 안전 및 사고조사 등의 다양한 직무로 재직하였으며, 2011년 호원대학교 국방기술학부 항공 정비 전공 주임교수 임용을 시작으로 세한대학교 항공정비학과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한서대학교 항공기계정비학과 교수 및 항공 기술교육원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항공사 재직 중 유럽 항공 연합 전문 교육기관(EASA Part 147), 남가주대학(University of Southern CA) 및 보잉사(The Boeing Co.) 등에서 주관하는 항공 인적요인 관련 교육을 이수하였으며, 미국 시에라 아카데미에서 FAA A&P License 과정을 이수하고, Pratt&Whitteny와 General Electric 등의 엔진 제작사에서 엔진 관련 교육을 이수하였다.
저자 : 최세종
현) 한서대학교 항공부총장
한서대학교 항공기계정비학과 교수
초당대학교 항공정비학과 교수
광주대학교 국방기술학부 항공정비전공 교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