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말소리의 이해

음성학 음운론 연구의 기초를 위하여, 개정판


  • ISBN-13
    979-11-6919-026-8 (9370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문화사 / 한국문화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8-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신지영
  • 번역
    -
  • 메인주제어
    언어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국어국문학 #기호학/언어학 #대학교재/전문서적 #문학의 이해 #소설/시/희곡 #어문학계열 #언어학 #음운론/어휘론 #인문계열 #인문학 #한국어/한문 #한글이야기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대학 교재
  • 도서상세정보
    175 * 250 mm, 324 Page

책소개



개정판의 1장부터 5장까지는 이전 판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되 내용을 보충하는 방향으로 집필했다. 하지만 6장 이후는 체계와 내용에서 이전 판과 많이 달라졌다. 음운론 관련 내용을 소개했던 이전 판의 6장 내용은 필자가 집필한 음운론 책에 자세히 소개되어 있는 만큼 개정판에는 포함하지 않았다.

개정판의 6장은 이전 책에는 없었던 내용으로 음성 전사와 전사를 위한 기호를 소개하고 설명했다. 음향 음성학 관련 내용인 이전 판의 7장과 8장은 개정판의 7장부터 10장 안으로 재배치되었다. 가장 많은 보충과 재집필이 이루어진 부분이 바로 음향 음성학 관련 부분인 7장부터 10장까지다.

한편, 이전 판의 8장 붙임에 있던 스펙트로그램 읽기 연습은 내용의 일부를 수정하여 개정판의 부록 1로 실었다. 이전 판의 부록에서 소개했던 음향 분석 프로그램 PCquirer와 CSL은 더 이상 유용한 정보가 아니라고 판단되어 없앴고, 대신 부록 2에 웨이브서퍼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자세히 소개했다.

목차

제1장 말소리, 그 흥미로운 세계를 향하여
1.1 말소리란 무엇인가? 2
1.2 말소리의 두 가지 의미 5
1.3 말소리를 연구하는 두 학문 11
1.4 언어 연쇄와 말소리 연구의 영역 14
1.5 이 책이 주로 관심을 갖는 것 18

제2장 말소리를 만드는 데 쓰이는 기관들
2.1 발음 기관 개관 21
2.2 후두 22
2.3 혀 28
2.4 입천장(구개) 29

제3장 발동 과정: 기류 조달 과정
3.1 폐에 의한 발동 33
3.2 성문에 의한 발동 34
3.3 연구개에 의한 발동: 흡착음 43

제4장 발성 과정: 기류 조절 과정
4.1 성대 진동을 위한 전제 조건 49
4.2 성대는 왜 진동하는가? 51
4.3 발성 유형 54
4.4 성대 진동을 관찰하는 방법 58

제5장 조음 과정: 기류 변형 과정
5.1 말소리의 두 부류:자음과 모음 64
5.2 자음의 조음 68
5.3 모음의 조음 93

제6장 말소리를 듣고 적는 기호
6.1 귀 훈련과 음성 전사 102
6.2 IPA 기호 개관 106
6.3 자음(폐에 의한 발동) 109
6.4 자음(폐 이외의 발동) 114
6.5 여타 기호 115
6.6 구별 기호 116
6.7 모음 118
6.8 초분절음 119
6.9 장애 음성을 위한 추가 IPA 기호 120

제7장 음향 음성학의 기초 개념
7.1 소리가 일으키는 파동: 음파 124
7.2 스펙트럼 135
7.3 스펙트로그램 141
7.4 음압, 강도, 데시벨(dB) 157
7.5 디지털 녹음과 분석 163

제8장 말소리의 음향적 이해를 위한 기초
8.1 말소리의 음향적 분류 177
8.2원료 여과기 이론: 말소리 생성의 음향적 모델 183
8.3 원료 여과기 이론을 통한 모음의 음향적 모델링 185

제9장 한국어 모음의 음성학적 특징
9.1 모음 체계 201
8.2 단모음의 음향적 실현 207
8.3 이중 모음의 음향적 실현 214
8.4 한국어 단모음의 음향 음성학적 특징 216

제10장 한국어 자음의 음성학적 특징
10.1 자음 체계 221
10.2 음향적 특징에 따른 자음의 분류 223
10.3 장애음의 음향적 특징 224
10.4 공명 자음의 음향적 특징 251

부록 1: 스펙트로그램 읽기 연습__269
부록 2: 음향 분석 프로그램 사용법: 웨이브서퍼(WaveSurfer)__269
1. 프로그램 내려 받기 269
2. 상단 아이콘 이해하기 270
3. 녹음하고 저장하기 272
4. 자료 불러오기 272
5. 상단 메뉴 설명 275
6. 자료 분석 277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신지영
언어의 세계를 탐험하며 발견한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많은 사람들과 나누는 것을 좋아하는 언어 탐험가다. 언어 탐험가 신지영의 베이스캠프는 고려대학교다. 이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빛나는 학생들에게 언어의 세계를 탐험하는 즐거움을 가르치고 있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한글의 창제 원리를 배운 후, 국어학자가 되겠다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하여 공부를 이어간다. 하지만 박사과정 수료 즈음, 돌연 런던으로 가서 말소리의 세계를 더 깊이 있게 탐험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힌다. 런던대학에서 박사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와서는 음성 공학과 언어병리학의 세계로 탐험의 영역을 확장한다.
궁금하고 흥미롭고 재미있는 일이 너무 많아서 사는 게 늘 신나고 즐거운 사람이며, 좋은 어른들과 성숙한 지음(知音)들 속에서 성장해 온 운이 좋은 사람이다. 천하의 인재를 얻어 가르치는 즐거움을 누리며 반짝이는 제자들과 늘 새로운 공부를 이어갈 수 있는 행복한 학자이기도 하다. 비현실적 존재로 살면서 현실적 존재들을 위해 꿈을 꾸는 것이 인문학자의 소명이라 믿으며 언어의 탐험을 통해 인간을 이해하려 하는 인문학자다. 꿈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꾸 키워 물려주는 것이라고 믿으며 꿈을 키워 물려주는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이다. 지금까지 쓴 책으로는 『말소리의 이해』, 『한국어의 말소리』, 『The Sounds of Korean』, 『쉽게 읽는 한국어학의 이해』, 『(조카 현진이와 떠나는 신지영 교수의) 한국어 문법 여행』, 『열려라, 말』, 『한국어 발음 교육의 이론과 실제』, 『말소리 장애』 등이 있다.

[학력]
- 박사(언어학): University of London 언어학 전공(1997년 8월)
- 박사수료(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1993년 8월)
- 석사(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국어학 전공(1991년 2월)
- 학사(국어학):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1989년 2월)

주요 교내외 경력
교내
* 보직: 2015년 3월 ~ 2016년 8월 고려대학교 학생처장
2006년 8월 ~ 2008년 7월 고려대학교 여학생감 겸 양성평등센터장
2001년 10월 ~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음성언어정보연구실장
* 수상: 고려대학교 석탑강의상 15회, 우수강의상 2회, 명강의상 1회 수상
교외
* 대검찰청 과학수사 음성분석 제8기, 제9기 자문위원 (2014년 11월 14일 ~ 2019년 11월 13일)
* 서울시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 위원 2018년 9월 1일 ~ 2020년 8월 31일
* 방송심의위원회 방송언어특별위원회 위원 (2011년 10월 21일 ~ 2014년 10월 20일)
*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Review Board, 비상근 PM, 2012년 6월 1일 ~ 2015년 5월 31일)
* 서울시 정신건강 홍보대사(서울시, 2014년 4월 ~ 현재)
* 어문규범 영향평가단 위원(문화체육관광부, 2007. 9 ~ 2009. 9)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사입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