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국립중앙박물관


  • ISBN-13
    979-11-86274-89-7 (0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리수 / 도서출판리수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7-0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황윤
  • 번역
    -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고고학 #국내도서 #문화/역사기행 #미술관/박물관/예술기행 #여행 #역사 #테마여행 #한국 문화/역사기행 #한국고대~고려시대 #한국고대사 #한국고대사 일반 #한국사 일반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12 * 184 mm, 416 Page

책소개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에 전시된 금동반가사유상과의 귀한 만남을 더욱 깊고 풍부하게 감상하기 위한 탐구서이자 안내서. 박물관 마니아이자 역사 덕후인 황윤 작가는 오래도록 국립중앙박물관을 보는 자신만의 스토리텔링으로 ‘금(金)’을 주제로 한 관람을 즐겨왔다. 언젠가 국립중앙박물관을 주제로 책을 쓴다면 그 주인공은 당연히 금동반가사유상이라 생각했던 이유도 금과 예술, 불교의 집약체가 바로 ‘사유의 방’에 전시된 금동반가사유상이기 때문이다.

‘사유의 방’으로 다가가는 과정을 400페이지가 넘는 책에 담은 것은 두 점의 금동반가사유상을 제대로 만나기 위한 일종의 준비이자 예의다. 1300여 년 전에 등장한 반가사유상! 그리고 그것의 탄생을 위해 준비된 더 많은 시간을 추스르기에는 이 책 한 권으로도 부족할지 모르나, ‘사유의 방’으로부터 초대를 받은 관람자를 위한 동반자가 되어줄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1. 반가사유상
국보의 의미
국보의 탄생
두 반가사유상의 이름
금과 청동의 결합

2. 청동기의 시작
신석기와 구석기
농경문 청동기
청동기 시대
청동 배합의 원리
청동기 시대 엑스칼리버

3. 금의 시작
인류사에 등장한 금
김포에서 출토된 금 귀걸이
고조선과 낙랑
석암리 9호분
중국 역사 속 황금
개에게 뼈다귀를 던져 주면
낙랑이 무너진 이후

4. 고구려의 전성기
부여 이야기
전투 민족 고구려
강서 대묘
신라에서 발견된 고구려 유물

5. 신라와 고구려
신라 전시실
신라의 금 귀걸이
황남 대총 은관의 비밀
내물왕과 실성왕
내물왕 후손들의 왕위 세습
황남 대총의 주인은

6. 백제와 신라
나제 동맹
식리총 금동신발
백제의 금 세공품
장식된 디자인의 위계

7. 가야와 금
금관가야에서 대가야로
가야의 금 세공품
가야의 고리자루 큰칼
신라 금관과 가야 금관

8. 불교의 도입
석가모니
대승 불교
불교 조각 전시에 대한 아쉬움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
연가 7년이라는 연호
현겁의 천불이란
불상의 전달

9. 미륵 사상
간다라 미술 속 보살
미륵과 보살
중국으로 들어온 불교
북위 시대와 불교
중국의 미륵 조각
중국에서의 미륵 사상
아육왕? 그렇다

10. 다시 국보 반가사유상
서울에 집중된 금동반가사유상
한반도 내 미륵 등장
전륜성왕의 불국토
다시‘사유의 방’으로
사찰에 모셔진 반가사유상
백제 미륵사의 미륵
시간과 공간을 넘는 만남

에필로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황윤
작가. 소장 역사학자이자 박물관 마니아.
혼자 박물관과 유적지를 찾아 감상·고증·공부하는 것이 휴식이자 큰 즐거움이다. 대학에서는 법을 공부했다. 유물과 미술 작품에 대한 높은 안목으로 고미술에서부터 현대미술까지 관련 일을 하며 집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역사 교양을 대중화하고자 글을 쓴다. 삼국 시대와 신라에 특히 관심이 많다.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강원도 여행》《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국립중앙박물관》《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전주 여행》《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제주 여행》《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가야 여행》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경주 여행》《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백제 여행》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