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계에 데뷔해 연예인으로 성공하고 스타로 부상하는 사람은 0.01%에도 미치지 못한다. 99.99%는 좌절의 쓴맛을 본다. 연예인과 연예계를 지망하는 사람들은 99.99%의 좌절과 한숨을 보지 못한다. 아니, 보지 않으려 한다. 단지 0.01%의 화려한 성공 신화만을 꿈꿀 뿐이다.
32쪽
연예기획사를 거치지 않으면 스타는 물론 연예인 데뷔조차 힘들 정도로 연예기획사는 스타 시스템의 강력한 주체로 자리 잡았다. 미국이 에이전시 중심의 스타 시스템이고 일본이 연예 프로덕션 중심의 스타 시스템이라면 한국은 연예기획사 중심의 스타 시스템이 조성됐다.
111쪽
박진영은 1997년 태홍기획을 설립한 뒤 가수 진주를 시작으로 god, 박지윤을 스타로 등극시키며 작곡가 겸 프로듀서로서도 성공적인 출발을 했다. 2001년 JYP엔터테인먼트로 회사명을 바꾼 뒤 비, 별, 노을, 임정희, 원더걸스, 2AM, 2PM, 미쓰에이, 백아연, GOT7, 트와이스, 있지, 스트레이 키즈, 니쥬 등을 스타로 만들었다.
207쪽
스타의 경제적 역할은 상품과 서비스 매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국가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할리우드 스타들이 미국의 국가 이미지를 상승시킨 것처럼 한류스타는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크게 제고했다.
276쪽
1996년 H.O.T가 데뷔한 이후 아이돌 그룹은 매년 50~60개 팀이 데뷔하지만, 인기를 얻어 5년 넘게 활동하는 그룹은 소수에 그친다. 또한, 인기를 얻었다고 하더라도 표준계약서에 따라 연예인의 전속 계약 기간을 7년으로 규정해 재계약을 앞두고 해체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인기 아이돌 그룹 수명도 7년 안팎이다.
282쪽
대중문화와 연예인을 정권 유지 도구로 유린한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등 권위주의 정권하에서는 연예인들은 권력층의 부당한 요구를 수용하고 정치적 문제나 사회적 이슈에 대해 침묵하는 것이 연예계 불문율이었다.
33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