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 정미라
경기도 병점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부소장으로 활동하면서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에 대해 현장 선생님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교원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를 역임했다. 《고교학점제란 무엇인가?》,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고교학점제, 진로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를 공저하였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개발원, 시·도교육청 등의 많은 연구에 공동연구와 국회를 포함한 다수 기관의 토론회에 참여하였으며, EBS 미래교육플러스+ 고교학점제 1·2부에 출연하였다. 최근작 :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고교학점제, 진로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 총 5종
저자 : 박시영
경기도 신장중학교 국어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학부에서 국어교육과를 졸업했으며 독서교육연구회, 혁신고등학교 실천연구회, 미래교육연구회 활동 등을 하면서 학생이 중심이 되는 수업 및 교육과정에 대해 고민해 왔다. 이 고민이 고교학점제에 기반한 고등학교 교육과정으로 이어져 현장의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다수의 연구에 참여하였고,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컨설팅단, 고교학점제 환경 조성 지원 산업 컨설턴트,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핵심교원 자문단, 최소 성취수준 보장지도 국어과 매뉴얼 공동집필 등의 활동을 했다. 현재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다수의 정책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는 공저로 참여한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 《가치를 가르칩니다(서해문집)》가 있다. 최근작 : 팩트체크, 고교학점제를 말한다!,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가치를 가르칩니다 … 총 3종
저자 : 김용진
동국대학교사범대학 부속여자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지낸다. 학생들의 진로 진학에 관심이 많아 서울시교육청 대학진학지도지원단, 대교협 대입상담센터 상담교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서울중등교육과정연구회에서 총무로 모든 학생이 자기만의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생활을 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최근작 :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
저자 : 김미향
화성시 서연고등학교에서 교육과정부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학부와 석사는 영어교육을 전공했지만, 경기도 고교학점제 연구회,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활동을 하면서 교육정책의 현장 적용 연구에 관심을 갖게 되어 교육행정 박사 과정을 하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고교학점제 정책실행연구회에서 활동하며 〈공통과목 영어 이수 기준 적용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와 〈최소 학업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자료〉 등을 집필하였다. 현재 교육부에서 주관하는 고교학점제 관련 연수에 강사로 활동 중이다. 최근작 :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
저자 : 서승억
이천시 이천세무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다. 상업정보교육과를 졸업하여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취업과 진학에 도움을 주고자 대학원에서 직업 및 진로상담을 전공하였다. 《회계원리》, 《회계정보처리시스템》, 《기업자원통합관리》 등 다수의 교재를 집필하였다. 직업계고 학점제 연구학교를 운영하였고, 직업계고 학점제 컨설턴트 및 교육과정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다. 직업계고 학점제가 학생들의 성장을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최근작 : 고교학점제, 교육과정을 다시 디자인하다,고교학점제, 진로교육을 다시 디자인하다 … 총 2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