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에의 초대

주류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케인즈 후예들의 대안 경제학 입문


  • ISBN-13
    978-89-6347-504-2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진인진 / 진인진
  • 정가
    27,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5-0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존킹
  • 번역
    현동균 , 박해선
  • 메인주제어
    경제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경제 #경제경영 #경제이론/경제사상 #경제학/경제일반 #국내도서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312 Page

책소개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 중 가장 저명하고 존경받는 학자 중의 한사람인 노장 존 킹 교수(John E King)가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이 다루는 폭넓은 영역의 주제의 핵심적인 사항을 일반독자들을 위하여 간결하게 요약하고 있다. 본서를 통하여 독자들은 기존의 주 류 경제학적인 사고에 얽매인 관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보다 열린 그리고 균형잡힌 시각으로 현재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경제 문제들을 볼 수 있는 계기를 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목차

저자 및 역자 소개
거시 경제학 계보도(포스트 케인지언 대 주류 거시경제학)
감사의 말씀
역자 서문

1. 본서의 소개

2.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의 핵심
2.1. 6개의 핵심 명제들
2.2. 근본주의 케인지언
2.3. 칼레츠키언
2.4. 하이만 민스키와 ‘금융불안정성가설’
2.5. 같은 학파인가 아니면 서로 다른 세 개의 학파인가?

3. 포스트 케인지언 거시경제학이 아닌 거시 경제학들
3.1. 케인즈 이전의 거시경제학
3.2. 올드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3. 통화주의
3.4. 뉴고전학파 경제학
3.5. 뉴케인지언 거시경제학
3.6. 뉴신고전학파종합
3.7. 포스트 케인지언에 대한 간략한 역사

4. 네 가지 방법론적 문제들
4.1. 왜 방법론이 중요한가
4.2. 존재론의 문제
4.3. ‘다원론’와 포스트 케인지언
4.4. 수학과 계량경제학
4.5. ‘미시적 기초’라는 망상

5. 포스트 케인지언의 미시경제학
5.1. 방법론적인 전주곡
5.2. 포스트 케인지언 기업
5.3. 노동 시장
5.4. 소비자와 가계
5.5. 후생경제학
5.6. 마지막 남은 질문

6. 경제 성장, 경제발전, 그리고 세계 경제
6.1. 해로드의 성장 모형
6.2. 몇 가지 혼란들
6.3. 경제 발전
6.4. 국제 경제
6.5. 몇 가지 방법론 상의 결론

7. 왜 그것이 모두 중요한가?: 경제 정책
7.1. 포스트 케인지언에 있어서 정치적인 것이 가지는 중요성
7.2. 금융 정책(통화정책?)
7.3. 재정 정책
7.4. 가격 정책과 ‘소득정책’
7.5. 국제 경제 정책
7.6. 환경 정책

8. 사례 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8.1. 민스키에 대한 재고찰
8.2. ‘금융화’의 실제와 이론
8.3. 세계적인 금융위기: ‘메이드 인 아메리카’
8.4.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 긴축 재정에 반대하는 경제학자들
8.5. 우리는 무엇을 배웠는가 II-‘탈금융화’의 필요성
8.6. 마지막 세 가지 교훈

9. 포스트 케인지언과 다른 비주류 경제학파
9.1. 주류와 비주류 경제학
9.2. 마르크스와 스라파의 정치 경제학
9.3. 제도주의와 진화경제학
9.4. 페미니스트경제학과 생태경제학(ecological economics)
9.5. 행동경제학, 복잡성 그리고 오스트리아경제학파
9.6. ‘다원주의’에 대한 재고찰

10. 마지막 질문들

참고문헌
역자 참고문헌
찾아보기
인명(한국어, 페이지)
주제어(한국어, 페이지)
인명(영어)
주제어(한글-영어) 및 연관어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존킹
존 킹 교수는 영국 출신으로,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자 중 가장 저명하고 존경받는 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옥스포드 대학을 졸업한 후, 1967년부터 영국 랑카스터 대학에서 경제학을 강의하였고, 1988년 이 후에는 호주 멜버른에 위치한 라 트로우브 대학교(La Trobe University) 로 옮겨서 경제학을 계속 강의하였으며, 현재는 은퇴하여 명예교수로서 지속적으로 학문 활동을 하고있다. 저자는 최근까지 30권의 저서를 집필하였으며, 포스트 케인지언에게 있어서 가장 많이 참고되고 있는 The Elgar Companion to Post Keynesian Economics를 편집하여 출판하였다. 그의 논문은 86편의 단행본에 수록되어 있고, 현재까지 110편의 논문을 학술 저널에 발표하였다. 또한 History of Economics Review의 편집인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최근작 :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에의 초대 … 총 44종
번역 : 현동균
현재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사무소를 운영하는 금융 자문회사 Emerging Asia Capital Partners의 파트너로 근무하고 있으며, 서 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영국 런던 정치경제대학 및 케임브리지대학의 메그나드 데사이경, 로손 교수, 그리고 하코트 교수 문하에 서 정치경제학 및 포스트 케인지언 경제학을 수학하였다. 포스트 케인지언 및 제도학파의 시각에서 투자이론, 화폐이론 등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역서가 있다. 또한 역자는 과거 약 30년간 홍콩, 싱가폴, 모스크바 등에서 해외 대형 투자은행에 근무하며, 인프라, 에너지, 전력 및 자원 사업의 사업 개발 및 금융 자문에 종사하였다. 최근에는 러시아 및 동구권 최대 투자은행인 러시아 국영 대외무역은행(VTB Capital)의 싱가포르 지점에서 아시아 지역 투자은행 부문 대표를 역임하였고, 그 이전에는 ABN AMRO 은행 홍콩 지점에서 동북아시아 에너지 및 광 물 자원 분야 대표 및 씨티그룹(Citigroup-Salomon Smith Barney) 홍콩의 아시아 지역 본부에서 투자은행 부문 부사장을 역임한 바 있다. 또한 러시아 정부 소유 극동개발펀드의 고문과, 그리고 세계 최대의 철 도 회사인 시아국영철도(RZD)의 아시아 지역 철도 및 항만개발사업의 고문도 역임한 바 있다. 박해선 (옮긴이)
번역 : 박해선
현재 건국대학교 경제통상학 전공에서 교수로 재직중이다. 서울대학 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이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을 수료하였으며 한국수출입은행에서 근무하였고 Texas A&M 대학의 농업경제학과에서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Price dynamics among U.S. electricity spot markets,” Energy Economics(2006), with J. W. Mjelde, and D. A. Bessler, “Price interactions and discovery among natural gas spot markets in North America,” Energy Policy(2008), with, J. W. Mjelde, and D. A. Bessler. 이외 다수 논문들이 있다.
테스트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