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한국 단청 연구


  • ISBN-13
    978-89-5508-456-6 (93630)
  • 출판사 / 임프린트
    학연문화사 / 학연문화사
  • 정가
    77,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6-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곽동해
  • 번역
    -
  • 메인주제어
    예술일반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공예/도자 #국내도서 #디자인/공예 #미술 #예술/대중문화 #한국미술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784 Page

책소개



저자는 30여 년간 한국에 산재한 300여 전통건축의 단청문화재뿐 아니라 중국, 일본, 몽골 등 동북아시아의 건축단청문화재를 탐방하고,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중에서도 특히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안료의 종류와 수급, 문양의 변천과 발달, 각국 단청의 독특한 색조 등에 대해 비교하고 분석했다.

저자 곽동해는 20년 전 『한국의 단청』 발간 후 부족하다 여겼던 연구의 종착점을 찾아 왔다. 그리고 2022년 저자는 『한국 단청 연구』를 통해 한국단청에 대한 역사, 채색재료, 양식, 문양, 시공 등을 총정리했다.

목차

머리글 | 전통 단청의 과거와 현재

화보 | 전통 단청 머리초 원형모사도

Ⅰ. 단청의 기원과 역사
1. 단청이란 무엇인가?… 39
2. 단청의 역사… 44
3. 국가 단청을 수행한 관청 및 장인… 65

Ⅱ. 한국단청양식, 변천과 발달
1. 현전하는 고대 단청유물… 75
2. 고구려 고분벽화에 재현된 고대 단청…78
3. 고분벽화 주제의 변천과 발달… 82
4. 고대 단청패턴의 발생… 86
5. 고려시대 단청양식… 110
6. 고려전기, 법식채화의 수용과 전개…118
7. 고려후기, 한국적 단청양식의 발생…120
8. 조선시대 단청양식… 126

Ⅲ. 한국 단청 양식분류
1. 단청양식 유형분류… 157
2. 한국 단청양식의 분류… 160
3. 조선궁궐 단청양식… 176
4. 조선 궁궐단청의 신수도神獸圖… 188
5. 조선궁궐 단청양식 종합… 205
6. 불교건축 단청양식… 211

Ⅳ. 단청에 사용된 전통안료
1. 전통안료 문헌 개설… 217
2. 《영조법식》 전통안료 제법 주해…220
3. 조선 시대 영건의궤에 기록된 단청안료의 종류… 224
4. 조선 시대 단청안료의 소재특성…227
Ⅴ. 조선궁궐 단청안료 문헌자료 분석
1. 적색계열 안료… 237
2. 녹색계열 안료… 251
3. 청색계열 안료… 260
4. 황색계열 안료… 269
5. 흑 ·.백색 안료… 274

Ⅵ. 기복과 장엄의 길상, 단청문양
1. 단청문양의 소재와 패턴의 종류…283
2. 연화머리초의 성립에 대하여… 285
3. 단청 금문의 유래… 296
4. 건축 단청의 주요 꽃무늬… 302
5. 건축 단청의 주요 동물무늬… 316
6. 기타 주요 단청무늬… 339

Ⅶ. 단청의 색色, 도圖, 채彩
1. 동북아 국가의 단청색조… 349
2. 한국단청 빛단계의 배색 원리… 356
3. 머리초 구조, 형식, 종류… 359
4. 휘輝 채색… 368
5. 전통단청의 고급 채색법… 375

Ⅷ. 단청시공
1. 단청공사의 종류… 385
2. 단청공사 전 조사… 386
3. 단청 시공… 388
4. 고색단청… 401

부록 | 한국전통단청 정선精選
한국전통단청 정선精選… 405
한국단청 유산 사진자료… 407
부록 1장 중요 단청문화재, 사찰건축… … 411
부록 2장 사찰건축 단청 사진자료… 443
부록 3장 중요 단청문화재 궁궐건축…655
부록 4장 궁궐건축 단청 머리초… 667
부록 5장 궁궐건축 단청 금문, 곡수문, 선화… … 691
부록 6장 궁궐건축 단청 반자초… 701
부록 7장 단청 문양도… 721

참고문헌… 771
색인… 776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곽동해
현 한서대학교 문화재보존학과 교수 및 문화재청 문화재기술위원회 위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문학박사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겸임교수, 문화재청, 대한불교조계종, 인천시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