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


  • ISBN-13
    978-89-6109-526-6 (0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지식여행 / 지식여행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2-02-23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노자
  • 번역
    윤지산
  • 메인주제어
    철학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내도서 #노자철학 #도가철학/노장철학 #동양철학 #인문학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8 * 188 mm, 176 Page

책소개



동양 고전의 원문(原文)을 정확히 해석하고 현대 한국어로 번역한 “동양 고전 원문 읽기” 시리즈 2권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을 윤지산 선생의 해석과 번역으로 출간했다. 동양 철학 -도가 사상-의 효시가 된 고전, 『노자 도덕경(老子 道德經)』 원문이 담고 있는 역사적 맥락, 당시 사회적 배경 속에 탄생한 개념어를 정확히 해석하고 고대 중국어[漢字]의 함의를 현대 한국어로 충실히 번역했다.

목차



서문
도경(道經) 1-37장(章)
덕경(德經) 38-81장(章)
발문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노자
중국 춘추시대에 도가사상(道家思想)을 창시한 철학자이다. 성은 이(李), 이름은 이(耳), 자는 담(聃)이다. 노자의 생몰연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지만 사마천의 『사기』 중 「노자열전」에 따르면, 기원전 6세기경에 초나라의 고현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춘추시대 말기에 주나라의 장서실(藏書室, 오늘날의 국립도서관)을 관리하던 수장실사(守藏室史)로 활동했다.
일설에 의하면, 공자가 젊었을 때 노자를 찾아가 예(禮)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다고도 한다. 주나라가 쇠퇴하자 노자는 은둔하기로 결심하고 서방(西方)으로 떠나는 도중에 관문지기를 만났다. 관문지기의 요청으로 ‘도(道)’ 자로 시작되는 ‘도경(道經)’과 ‘덕(德)’ 자로 시작하는 ‘덕경(德經)’의 2권으로 구성된 책을 집필했다. 그 책이 바로 『도덕경(道德經)』이다. 81편의 짧은 글로 이루어진 이 책은, 진정한 자기를 완성하는 도(道)와 그것을 이루어가는 인간의 태도인 덕(德)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번역 : 윤지산
본명 백종학. 경북 청도에서 태어나 영남학파의 영향으로 묵향과 서책이 풍부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검정고시로 한양대 철학과에 입학했다. 독일 관념론에 관심이 많았으나 《논어》를 읽고 동서 사상을 모두 공부하기로 결심했다. 노자의 무위를 해석한 무위는 실천인가라는 논문으로 한양대학술상을받았고, 한림대학교 부설 태동고전연구소에서 3년 동안 한학을 공부했으며, 한양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선진 유가의 성과 인문 정신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임원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으로 《임원경제지》를 번역하는 동시에, 석하고전연구소(碩下古典硏究所)를 운영하며 동양 고전 번역 작업을 하고 있다. 경희사이버대, 꽃피는 학교, 대안연구공동체 등 여러 곳에서 철학을 강의한다. 《법가, 절대 권력의 기술》과 《동동전집(東洞全集), 진론편(診論篇)》, 《단단한 공부》, 《순자 교양 강의》를 공동 번역했고, 《고사성어 인문학 강의》를 썼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