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때 심리학 관련 교양을 들었는데,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담당하셨던 교수님 성함을 기억할 정도로 재미있고 유익한 수업이었다. 언젠가 나도 그 분처럼 멋진 강의를 하고 싶다는 열망이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상담기법 등을 강의한 지 벌써 20년이라는 시간이 훌쩍 지났고 2019학년부터 균형교양으로 ‘재미있는 대인관계심리학’을 개발해서 강의를 하고 있다. 2014년에 개발한 균형교양이 재미있는 진로선택-내 인생의 네비게이션‘이라서 같은 제목을 따라가기로 하고 과목명부터 세심하게 마음을 썼던 것 같다. 인간관계 또는 대인관계라는 제목을 달고 나온 많은 책들이 있다. 이 책도 그 많은 책 중의 하나가 될 테지만 학생들에게는 비싼 교재를 사야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개인적으로는 두학기 재미있는대인관계심리학 강의를 위해 다양한 책과 논문을 읽고 정리했던 그리고 외부에 유사한 주제로 강의했던 수년 간의 경험을 담아 책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대인관계와 관련한 다양한 내용을 에세이 형식으로 구성하여 누구나 읽기 쉽고 바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아주 실용적인 책으로 만들고 싶은 소망이 있었고 이런 바람으로 재미있는대인관계심리학’이 나오게 된 것이다. 보통 교재의 딱딱한 형식과는 달리 대인관계라는 주제에 나의 삶의 경험을 자연스레 연결시켜 보고 각 주제별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소개했다. 정말 교재 제목처럼 대인관계를 “재미있는” 방법으로 이해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재의 구성은 인간관계의 자연스런 흐름에 따라 인간관계를 시작하며, 인간관계를 돈독히 하며, 인간관계를 맺으며, 인간관계 개선 프로젝트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보았고, 각 영역별로 하위 주제들을 에피소드, 꼭 알아두어야 할 개념, 체크리스트와 같은 활동으로 전개해 보았다. 특히 활동은 가능한 여러 가지를 소개하여 필요에 따라 혹은 상황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첫 번째, 인간관계를 시작하며 영역에서는 ‘인간관계 꼭 필요한가?’라는 주제부터 인간관계의 시작이 되는 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자기 개념, 자기 소개, 중요한 타인, 인생태도, 자기개방 정도, 강점 등을 다루었으며, 타인에게 관심두기와 관련해서는 인간관계에 영향을 주는 동기, 동기부여를 하는 욕구, 대인신념, 타인을 인정해 주는 방법인 스트로크 등을 다루었다. 두 번째. 인간관계를 돈독히 하며 영역에서는 인간관계의 발전단계, 첫 인상, 인상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언어적인 기술, 호감, 경청하기, 공감하기, 질문하기, 나-전달법으로 표현하기, 대화기회 포착하기, 설득하기, Right Now, 습관형성하기 등의 내용을 담았다. 세 번째, 인간관계를 맺으며 영역에서는 인간관계의 유형, 친구관계, 이성관계, 가족관계,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부적응적 인간관계 등으로 나누어 관련된 세부적인 주제들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간관계 개선 프로젝트 영역에서는 한 학기 동안 강의를 들으며 수행해야 할 과제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하였다. 인간관계 개선이 필요한 또는 좋은 관계라면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대상을 선정하는 것부터 목표설정, 전략세우기, 전략 실행하기, 소감 등으로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지침이 될 만한 내용들을 담았다.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학생의 최대 고민이 인간관계와 관련한 문제이다. 이 교재가 그런 고민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길 기대해 본다. 그리고 만나게 되는 많은 다양한 사람들과 더 따뜻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서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래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