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왕안석 평전

중국 중세의 대 개혁가


  • ISBN-13
    978-89-7940-451-7 (9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신서원 / (주)신서원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8-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근명
  • 번역
    -
  • 메인주제어
    -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중국인물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297 Page

책소개

송이 건립되고 100여년이 지나자 대외 관계에서 촉발된 문제점이 여타 부문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바로 이 국면에서 왕안석(王安石, 1021~1086)이 등장하여 대대적인 개혁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가 집권하여 개혁을 단행하기 전, 조야에는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팽배하였다.

누구나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정작 왕안석이 개혁을 시작하자, 이전까지 개혁을 부르짖던 사람들 거의 모두가 반대파로 돌아섰다. 왕안석의 개혁을 두고 신법(新法)이라 부른다. 왕안석이 파기하였던 이전의 법제는 구법(舊法)이라 불렸다. 왕안석이 신법을 단행하자, 정계의 명망 있는 원로들은 대부분 신법의 폐지와 구법으로의 복귀를 주장하였다.

왕안석의 신법은 정치, 군사, 경제, 사회, 문화 등 거의 모든 분야를 뜯어고치는 것이었다. 그가 도입한 법제는 균수법, 청묘법, 모역법, 시역법, 보갑법, 보마법, 농전수리법, 방전균세법, 장병법, 창법 등 일일이 그 이름을 열거하기도 힘들 정도이다.

왕안석은 이러한 개혁을 통해 사회의 병폐를 일소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강한 자의 횡포를 억누르고 그들로부터 억압을 받고 있던 소농민과 소상인을 보호할 수 있다고 여겼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강자로부터 약자를 보호하면서도 동시에 국가의 재정을 건전하게 만들 수 있다고 말하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지방관 역임 시기
제1장 청년 시절과 과거 응시
1. 출생과 가족관계
2. 왕안석의 고향
3. 학업과 과거 합격
제2장 지은현 시기의 활동
1. 최초의 관직 - 첨서회남판관 시기
2. 은현 지사로의 부임
3. 은현을 떠나가는 아쉬움
제3장 서주통판으로부터 강동제형까지
1. 서주통판 재임 전후의 일들
2. 최초의 중앙관 생활 – 군목판관
3. 지상주와 강동제형 시기

제4장 만언서와 명비곡의 작성
1. 만언서의 상주
2. 명비곡과 이를 둘러싼 논란
제5장 짧은 중앙관 생활과 모친상더보기 머리말

제1부 지방관 역임 시기
제1장 청년 시절과 과거 응시
1. 출생과 가족관계
2. 왕안석의 고향
3. 학업과 과거 합격
제2장 지은현 시기의 활동
1. 최초의 관직 - 첨서회남판관 시기
2. 은현 지사로의 부임
3. 은현을 떠나가는 아쉬움
제3장 서주통판으로부터 강동제형까지
1. 서주통판 재임 전후의 일들
2. 최초의 중앙관 생활 – 군목판관
3. 지상주와 강동제형 시기

제4장 만언서와 명비곡의 작성
1. 만언서의 상주
2. 명비곡과 이를 둘러싼 논란
제5장 짧은 중앙관 생활과 모친상
1. 5년여에 걸친 중앙관 생활
2. 모친상과 낙향

제2부 신법의 주도와 당쟁
제1장 신종의 발탁과 신법 시행
1. 청년 황제 신종의 즉위
2. 왕안석의 발탁과 부재상 임용
3. 제치삼사조례사(制置三司條例司)의 설립과 폐지
제2장 신법의 내용
1. 재정 확보책과 관련한 개혁
2. 군사력 강화를 위한 개혁
3. 신법의 재정절감 효과
제3장 구법당의 비판과 당쟁
1. 신법에 대한 구법당의 비판
2. 왕안석과 사마광의 결별
3. 신법당 진영의 사람들
제4장 대외 전쟁의 전개
1. 북송 초기의 대외 관계
2. 서하 공략을 위한 준비
3. 베트남과의 전쟁과 국경 교섭
제5장 실각과 정계 은퇴
1. 1070년대 초의 정계와 왕안석
2. 여혜경의 왕안석 공격
3. 왕안석의 정계 은퇴

제3부 만년의 생활과 타계

1. 만년의 거주지 반산원(半山園)
2. 은퇴 후의 유유자적과 교유
3. 와병과 작고

제4부 왕안석에 대한 평가

1. 북송말의 정국 변화와 당쟁
2. 남송 시대 왕안석을 둘러싼 논란
3. 원대 이후 왕안석 평가의 변천

왕안석 관련 연표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근명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와 동 대학원 졸업(문학박사).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고의 송대사 전문가 가운데 한 명이라 평가된다. 주요 저서로 왕안석 자료 역주(HUiNe, 2017), 남송시대 복건 사회의 변화와 식량 수급(신서원, 2013), 사료로 보는 아시아사(공저, 위더스북, 2014), 아틀라스 중국사(공저, 사계절, 2007), 송원시대의 고려사 자료 1, 2(공저, 신서원, 2010), 동북아 중세의 한족과 북방민족(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10) 등이 있다. 접기 최근작 : 왕안석 평전,왕안석 자료 역주,시대를 넘어서다 … 총 28종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