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한국어 표현 교육론


  • ISBN-13
    979-11-6685-041-7 (93700)
  • 출판사 / 임프린트
    한국문화사 / 한국문화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8-2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강현화 , 남신혜 , 박수연 , 박지순 , 윤경원 , 장채린 , 홍혜란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한국어/한문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5 * 250 mm, 248 Page

책소개

말하기와 쓰기라는 표현 기능은 담화 참여 간의 의사소통에서 표현은 담화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담화 참여자들은 음성 언어 혹은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여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표현은 간단한 의사 표현이나 안부 확인부터 다른 사람과의 관계 확인을 통한 정서적 유대 유지, 그리고 토론이나 반론문 등을 통한 갈등의 조정까지도 가능하다. 이런 의미에서 표현 기능은 담화 참여자 간의 주요한 소통의 도구가 되며, 기본적인 인간의 의사소통 활동의 토대가 된다고 하겠다.

목차

^^제1장 표현 교육론의 이해^^
들어가기
1.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 교육
1.1. 표현 교육에 대한 관점
1.2. 의사소통 능력과 표현 능력
2. 표현 교육의 필요성
3. 표현 교육의 범위와 내용
3.1. 표현 교육의 범위
3.2. 표현 교육의 내용
4. 입말과 글말의 차이
4.1. 입말과 글말의 비교
4.2. 입말과 글말의 언어적 특성
더 나아가기

^^제2장 말하기 교육론 개관^^
들어가기
1. 말하기의 정의
2. 말하기 교육의 목표
2.1. 숙달도 단계에 따른 말하기 교육의 목표
2.2. 학습 목적에 따른 말하기 교육의 목표
2.3. 대상에 따른 말하기 교육의 목표
3. 언어교수법과 말하기 교육
3.1. 문법번역식 교수법에서의 말하기 교육
3.2. 청각구두 교수법에서의 말하기 교육
3.3. 의사소통 교수법에서의 말하기 교육
4. 말하기 교육의 원리
4.1. 말하기 지도의 원리
4.2. 수업 구성의 원리
더 나아가기

^^제3장 말하기 교육의 내용^^
들어가기
1. 말하기 교육의 전제
2. 교육 내용으로서 말하기의 일반적인 특성
3. 교육 내용으로서 한국어 말하기의 특성
3.1. 한국어 말하기의 음운적 특성
3.2. 한국어 말하기의 통사적 특성
3.3. 한국어 말하기의 담화?화용적 특성
3.4. 정리
4.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교육의 내용
5. 기타
5.1. 격식성
5.2. 공손성
5.3. 함축표현과 간접표현
5.4. 침묵
더 나아가기

^^제4장 말하기 교육의 방법 및 실제^^
들어가기
1. 말하기 수업 모형
1.1. PPP 모형
1.2. TTT 모형
2. 말하기 활동
2.1. 말하기 활동의 유형
2.2. 말하기 활동의 실제
3. 수업 구성의 실제
더 나아가기

^^제5장 말하기 오류와 피드백^^
1. 오류 분석
2. 말하기 오류의 유형
2.1. 발음 오류
2.2. 어휘 오류
2.3. 문법 오류
2.4. 담화/화용적 오류
3. 말하기 피드백과 오류 수정
4. 말하기 피드백의 유형
더 나아가기

^^제6장 의사소통 전략^^
들어가기
1. 말하기 의사소통 전략
2. 의사소통 전략의 정의
3. 의사소통 전략의 유형
4. 의사소통 전략의 훈련
더 나아가기

^^제7장 말하기 평가^^
들어가기
1. 말하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1.1. 말하기 평가의 목표
1.2. 말하기 평가의 내용
2. 말하기 평가의 유형
2.1. 직접 평가
2.2. 준 직접 평가 방식
3. 말하기 평가 문항 유형
4. 국내외의 말하기 평가
5. 말하기 평가의 실제
5.1. 한국어 말하기 숙달도 평가 모형
5.2. 채점 기준 마련과 채점자 훈련
더 나아가기

^^제8장 쓰기 교육론 개관^^
들어가기
1. 쓰기의 개념과 범위
2. 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3. 언어교수법과 쓰기 교육
4. 쓰기 교육의 목표
4.1. 숙달도에 따른 쓰기 교육의 목표
4.2. 학습 목적에 따른 쓰기 교육의 목표
4.3. 대상에 따른 쓰기 교육의 목표
5. 한국어 쓰기 교수의 원리
더 나아가기

^^제9장 쓰기 교육의 내용^^
들어가기
1. 쓰기 영역의 내용 체계
2. 쓰기 지식
2.1. 내용 지식
2.2. 맥락 지식
2.3. 언어 구조 지식
2.4. 쓰기 과정 지식
3. 쓰기 윤리
더 나아가기

^^제10장 쓰기 교육의 방법과 실제^^
들어가기
1. 쓰기 교육의 접근법
2. 쓰기 수업 모형
2.1 과정 중심 쓰기 모형
2.2 장르 중심 쓰기 모형
3. 쓰기 활동
3.1. 쓰기 활동의 통제 정도에 따른 구분
3.2 쓰기 목적에 따른 구분
더 나아가기

^^제11장 쓰기 오류와 피드백^^
들어가기
1. 쓰기 오류
1.1. 쓰기 오류의 특성
1.2. 쓰기 오류의 유형
2. 쓰기 오류 교정과 피드백
2.1. 쓰기 피드백의 기능
2.2. 쓰기 피드백의 내용과 범위
2.3. 쓰기 피드백의 절차
2.4. 쓰기 피드백의 방법
더 나아가기

^^제12장 쓰기 전략^^
들어가기
1. 쓰기 능력과 쓰기 전략
2. 쓰기 전략의 정의
3. 쓰기 전략의 유형
3.1. 인지 전략
3.2. 상위 인지 전략
4. 쓰기 전략의 훈련
더 나아가기

^^제13장 쓰기 평가^^
들어가기
1. 쓰기 평가의 목표와 내용
1.1. 쓰기 평가의 목표
1.2. 쓰기 평가의 내용
2. 쓰기 평가 유형
2.1. 직접 쓰기 평가
2.2. 간접 쓰기 평가
2.3. 과정 중심 쓰기 평가
2.4. 포트폴리오 평가
3. 쓰기 평가 문항 유형
3.1. 직접 쓰기 평가의 문항 유형
3.2. 간접 쓰기 평가의 문항 유형
4. 쓰기 채점 방식
4.1. 종합적 채점
4.2. 분석적 채점
더 나아가기

참고 문헌

본문인용

-

서평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표현 기능과 이해 기능은 밀접하게 상호 관련되어 있다. 우선 언어수행에서 이해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표현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여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이르지 못하게 되며, 상대방의 의사를 이해하지 못한 채 자신의 의사만을 전달한다면 의미 있는 의사소통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표현 활동 역시 상대방의 이해 활동을 전제로 하되 명확하고 분명하게 수행해야만 의사소통의 성공에 이를 수 있으며, 명확한 표현 능력은 화자와 청자 간 또는 필자와 독자 간의 상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확보하는 데에 기반이 된다.

말하기와 쓰기라는 표현 기능은 담화 참여 간의 의사소통에서 표현은 담화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담화 참여자들은 음성 언어 혹은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여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다. 표현은 간단한 의사 표현이나 안부 확인부터 다른 사람과의 관계 확인을 통한 정서적 유대 유지, 그리고 토론이나 반론문 등을 통한 갈등의 조정까지도 가능하다. 이런 의미에서 표현 기능은 담화 참여자 간의 주요한 소통의 도구가 되며, 기본적인 인간의 의사소통 활동의 토대가 된다고 하겠다.

저자소개

저자 : 강현화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문학석사, 문학박사)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역임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한국외국어교육학회 부회장 역임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공저), 『대조분석론』(공저)
저자 : 남신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연구교수
저자 : 박수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교수

저서
『교환 학생을 위한 기초 한국어』 (공저, 2018, 한글파크)
『이화 한국어 6』 (공저, 20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이화 한국어 6 workbook』 (공저, 2012, 이화여자대학교 출판사)
저자 : 박지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연세대학교 글로벌인재학부 교수

저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2019, 신구문화사)
『코퍼스기반 한국어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 (공저, 2015, 보고사)
저자 : 윤경원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세종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 초빙교수
저자 : 장채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교육원 강의전담교수
저자 : 홍혜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2019년 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전문연구원

저서
『단어 형성 원리로 배우는 한국어 어휘 1, 2』 (공저, 2019, 소통)
『코퍼스기반 한국어교육 연구의 이론과 실제』 (공저, 2015, 보고사)
안녕하세요. 한국문화사입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