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쉽게 읽는 훈민정음


  • ISBN-13
    979-11-6537-080-0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 휴먼컬처아리랑 / (주) 휴먼컬처아리랑
  • 정가
    11,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1-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국립한글박물관
  • 번역
    -
  • 메인주제어
    -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국어학개론/정서법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4 * 216 mm, 93 Page

책소개

‘훈민정음해례본’은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 문자 설명서다. 국립한글박물관은 2017년을 시작으로 3년에 걸쳐 훈민정음 현대어 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대어 번역 외에 ‘훈민정음해례본’에 연관된 성리학과 성운학 및 국어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도움말과 주석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도움말과 주석을 쉽게 다듬고, 어려운 단어의 뜻풀이를 덧붙였다.

목차

^^0/Ⅰ. 정음^^
어제서문 12

어제예의 14
■ 초성자 14
■ 중성자 19
■ 이어쓰기 22
■ 나라히쓰기 22
■ 붙여쓰기 23
■ 음절단위 모아쓰기 23
■ 점찍기 24

^^0/2. 정음해례^^
제자해 26
■ 1천지만물의 원리 26
■ 말소리와 음양의 원리26
■ 초성17자의 제자 원리28
■ 오음으로 본 초성자: 음양, 오해의 방위 29
■ 청탁으로 본 초성지 32
■ 전탁자의 특성 34
■ 순경음 글자의 특성 34
■ 중성11자의 제자 원리 36
■ 초출자와 재출자 39
■ 중성자와 음양오행 42
■ 중성과 초성의 대비 45
■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47
■ 천지만물의 원리를 담은 문자 48

초성해 50
■ 초성의 개념 50
■ 초성자의 실제 50

중성해 53
■ 중성의개념 53
■ 중서자의실제 53
■ 중성자의 항요 54
■ 상합 중성자 55

종성해 57
■ 종성의 개념 57
■ 종성자의 실제 57
■ 성조와 종성의 관계58
■ 8종성의 표기 59
■ 오음에서 느림과 빠름의 대립 61
■ 반설은(반혓소리)글자 ㄹ과 설음(헛소리)글자 ㄷ 62

합자해 64
■ 성자법 64
■ 초성자, 중성자, 종성자의 위치 64
■ 초성자의 합용 66
■ 중성자의 합용 67
■ 합용의 방법 67
■ 한자와 훈민정음의 혼용 표기 68
■ 고유어의 성조 69
■ 입성 70
■ 성조와 천지만물의 원리 70
■ 초성자 ㅎ의 o의 통용 71
■ 반설경음(반혀가벼운소리)의 표기 71
■ l 와 ’.ㅣ 와_ 의 합용 72

용자례
■ 초성자의 용례 74
■ 중성자의 용례 74
■ 종성자의 용례 79

■ 정인지 서문 81
■ 전지자연의 소리와 문자 81
■ 풍토에 따라 다른 소리와 문자 81
■ 중국어와 다른 우리말, 그리고 한자 82
■ 우리말을 온전히 담지 못하는 설총의 이두 83
■ 새 문자의 창제와 우수성 83
■ 새 문자의 효용 84
■ 해례본의 편찬 동기와 편찬자 85
■ 창제자의 위대함 86
■ 해례본의 간행일과 글쓴이 정인지 87

본문인용

-

서평

훈민정음의 창제 목적과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한 문자 설명서인 ‘훈민정음해례본’은 그 학술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우리나라에서는 국보 70호로, 해외에서는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훈민정음해례본’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기록한 저자를 기준으로 세종이 지은 <어제 서문>,<어제 예의>가 한 부분이고, 집현전 학사 8인이 지은 다섯 개의 ‘해 <제자해, 초성애,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와 한 개의 례<용자례> 그리고 <정인지 서문>이 다른 한 부분이다.
특히 <제자해>에서는 자모음 글자의 창제 원리를 ’음양오행. 삼재‘와 같은 성리학적 사상을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중국의 말소리를 연구하는 학문인 성운학을 우리말에 접목하여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성리학과 성운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이 ‘훈민정음래례보’의 내용을 이해하기는 매우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그뿐 아니라 ‘훈민정음해례본’은 내용에 대한 교육용 교재 제작이나 대외 홍보 자료에도 통일된 번역이 사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국립한글박물관은 한문본인 해례본을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기준 번역을 마련할 필요성을 절감하였고 2017년을 시작으로 3년에 걸쳐 ‘훈민정음 현대어 번역’연구(책임연구원: 고려대학교 김유범 교수)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는 국어학과 성운학, 한문학, 성리학을 전공한 여러 학자들이 참여하였으며, 현대어 번역 외에 ‘훈민정음해례본’에 연관된 설리학과 성운학 및 국어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도움말과 주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쉽게 읽는 훈민정음’은 도움말과 주석을 쉽게 다듬고, 어려운 단어의 뜻풀이를 덧붙였다.
‘쉽게 읽는 훈민정음’은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문화유산이 ‘훈민정음해례본’ 의 내용을 쉽게 접근하게 하여, 훈민정음이 추구한 철학적 가치와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훈민정음’에 대한 합리적인 자부심을 갖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국립한글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은 한글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2014년 10월 9일 한글날에 문을 열었어요. 한글이 만들어지기 이전의 문자 생활과 함께 세종 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이후 한글이 쓰이고 있는 오늘날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어요. 다양한 한글의 가치를 통해 한글의 미래상을 찾아가는 공간입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