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고전에서 마음을 찾다

마음과 인성론 중심의 사서(四書) 이해


  • ISBN-13
    979-11-88509-36-2 (9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파라북스 / 파라북스
  • 정가
    23,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9-0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임헌규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중국철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3 * 225 mm, 384 Page

책소개

동양고전인 사서(四書)에 나타난 마음(心) 및 그와 직접 연관되는 성(性)·정(情)·지(志)·의(意) 등이 나타나는 모든 장절(章節)들을 보면서 해설하여, 사서의 편찬자들이 마음과 그 본성을 어떻게 정립·실현하라고 말했는지를 살핀다. 그리고 이 용례와 이론을 기반으로 유가의 핵심 사상인 마음과 심성론을 해명하며, 오늘날 인공지능시대에서도 유교철학은 여전히 유효한 것임을 밝힌다.

목차

머리말
^^
도입부^^

1장. 사서삼경이란 무엇인가?
1. 고전과 유가의 경전
2. 삼경三經이란?
3. 사서四書란

2장. 유교란 무엇인가?
1. 유교란?
2. 도통론과 중용
3. 인간과 사회
4. 맺는 말
^^
1부 논어^^

공자의 일생과 『논어』

3장. 『논어』에서의 마음
1. 심心
2. 성性
3. 지志·의意

4장. 공자, 인간 본성과 인간의 길을 제시하다!
1. 자기정립의 이념
2. 자기실현의 방법
3. 맺는 말
^^
2부 대학
^^
『대학』이란 어떤 책인가?

5장. 『대학』의 덕德과 마음

6장. 『대학』, 큰 배움의 이념과 방법을 제시하다!
1. 대학大學이란?
2. 삼강령三綱領
3. 팔조목八條目
^^
3부 중용^^

『중용』이란 어떤 책인가?

7장. 『중용』에서 마음

8장. 『중용』, 유교 윤리를 정립하다!
1. 도덕의 형이상학: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2. 도덕행위의 준칙: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3. 『중용』의 윤리·인간관
^^
4부 맹자^^

맹자의 과제와 『맹자』

9장. 『맹자』에서 마음
1. 심心
2. 성性
3. 정情
4. 의意
5. 지志

10장. 『맹자』, 인간 본성의 선함을 증명하다!
1. 마음心이란?
2. 인성人性의 증명
3. 성선性善의 의미

11장. 맹자와 고자, 인성을 두고 최초로 논쟁하다!
1. 논변의 진행과정
2. 맺는 말
^^
에필로그 _ 인공지능시대, 마음과 인간의 본성에 관한 유교적 관점의 의미
^^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도입부에서는 사서삼경과 유교에 대해 개관한다. 1장에서는 일반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공자 이전에 형성되었던 삼경(三經)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하고, 사서에 나타난 유교의 이념을 총괄적으로 서술한다. 2장에서는 유교가 지향하는 이념과 그 근간을 형성하는 도통과 행위의 표준이 되는 중용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살폈다. 1부 이후에는 논어, 대학, 중용, 맹자의 순으로 마음과 직접 연관이 되는 심(心)·성(性, 情)·지(志, 意) 등이 나타난 문장과 그 용례를 탐구하는 동시에, 의미를 설명한다.
1부. ‘3장. 『논어』에서의 마음’에서는 공자가 최초로 ‘성(性)’ 개념을 제기하여 ‘생물학적 몸(生)’과 ‘사유·도덕적 판단으로 주재(心)’하는 인성의 구현을 통해 인도를 실천하고 인문세계를 건설한 수 있는 철학적 단서를 마련한 것을 보여준다. ‘4장. 공자, 인간 본성과 인간의 길을 제시하다!’에서 공자에게 자기실현은 곧 인간의 본성을 형성하는 인의 실천으로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을 적극 사랑하는(愛人) 것으로 드러남을 보여준다.
2부. ‘5장. 『대학』의 덕(德)과 마음’에서는 대학의 주제가 되는 ‘덕’ 개념의 형성과 전개 및 논쟁에 대해 살핀다. ‘6장. 『대학』, 큰 배움의 이념과 방법을 제시하다!’에서는 ‘대학’이란 무엇이며, 삼강령-팔조목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주자와 다산의 해석에 입각하여 구조적·유기적으로 해명한다.
3부. ‘7장. 『중용』에서 마음’에서는 중용의 주제이자 11번 등장하는 성(性)의 용례와 철학적 의미를 해설한다. ‘8장. 『중용』, 유교 윤리를 정립하다!’에서는 중용에 나타난 유교 윤리와 인간관의 특징을 논한다.
4부. ‘9장. 『맹자』에서 마음’에서는 맹자는 심·성·정·의·지의 개념을 어떻게 정립·사용하여 유교 심성론의 최초 정립자가 되었는지에 밝힌다. ‘10장. 『맹자』, 인간 본성의 선함을 증명하다!’, ‘11장. 맹자와 고자, 인성을 두고 최초로 논쟁하다!’에서는 인성의 증명과 성선이 의미하는 바에 대한 여러 해설들을 고찰·논구한다. 마지막으로 에필로그는 ‘인공지능시대, 마음과 인간의 본성에 관한 유교적 관점의 의미’라는 주제로 인공지능시대에서도 유교철학은 여전히 유효한 것임을 보여준다.

저자소개

저자 : 임헌규
동양고전학회 회장과 동방학 편집위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강남대 철학과 및 사단법인 유도회 한문연수원(논어담당) 교수이다.
경북대 철학과, 서울대 대학원(서양철학,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동양철학, 석·박사), 유도회 부설 한문연구원(3년), 미국 하와이대(비교철학) 등에서 공부했다.
저서로는 『주자의 사서학과 다산 정약용의 비판』(2020년 세종도서 학술부문에 선정), 『3대 주석과 함께 읽는 논어』 1권~3권, 『공자에서 다산 정약용까지』, 『유교인문학의 이념과 방법』, 『유가의 심성론과 현대심리철학』(문공부 우수도서 선정), 『노자 도덕경해설』, 『리란 무엇인가』, 『노자: 도와 덕이 실현된 삶』 등이 있다.
역서로는 『인설』, 『노자』, 『답성호원』, 『사단칠정을 논하다』, 『주자의 철학』, 『노자철학연구』, 『장자:고대중국의 실존주의』, 『후설의 현상학』, 『하버마스: 다시읽기』, 『현대유럽철학의 흐름』, 『데리다, 푸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