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개정판


  • ISBN-13
    979-11-5848-450-7 (9371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박이정출판사 / (주)박이정출판사
  • 정가
    3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2-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종록 , 송창선 , 이문규 , 이은규 , 임지룡 , 최웅환 , 황미향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학습서
  • 키워드
    #국어교육 전공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618 Page

책소개

교육 현장에서 국어를 가르치거나 장차 국어교사가 되고자 하는 이들이 문법 교육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학교 문법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근간으로, 언어와 국어의 본질, 국어의 구조와 역사, 국어 규범, 국어 생활과 문화 등을 일관된 태도로 쉽게 풀이하되, 대립되는 관점을 제시하거나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언어 탐구의 다양한 관점 및 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목차

머리말

^^1장 총론^^

1. 언어관과 언어 탐구의 보람
1.1. 언어관
1.2. 언어 탐구의 보람
2. 학교 문법의 뜻과 용어
3. 학교 문법의 성격
4. 학교 문법의 흐름

^^2장 언어와 국어^^

1. 언어의 본질
1.1. 언어의 기호적 특성
1.2. 언어의 구조적 특성
1.3.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
1.4. 언어의 기능
2. 언어와 인간
2.1. 언어와 사고
2.2. 언어와 사회
2.3. 언어와 문화
3. 국어의 특질
3.1. 특질의 정의
3.2. 음운의 특질
3.3. 어휘의 특질
3.4. 문법의 특질
4. 한글
4.1. 문자의 유형
4.2. 한글의 제자 원리
4.3. 한글의 우수성

^^3장 음운^^

1. 음운과 음운 체계
1.1. 말소리와 발음 기관
1.2. 국어의 음운 체계
1.3. 음절
2. 음운의 변동
2.1. 대치
2.2. 탈락
2.3. 첨가
2.4. 축약
2.5. 기타

^^4장 단어^^

1. 형태소와 단어
1.1. 형태소
1.2. 단어
2. 단어의 형성
2.1. 단어의 구성과 유형
2.2. 파생어
2.3. 합성어
3. 품사
3.1.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3.2. 관계언: 조사
3.3. 용언: 동사, 형용사
3.4. 수식언: 관형사, 부사
3.5. 독립언: 감탄사

^^5장 어휘^^

1. 어휘의 개념과 분류
1.1. 어휘의 개념
1.2. 어휘의 분류
2. 어휘의 양상
2.1. 지역 방언
2.2. 사회 방언
2.3. 은어
2.4. 속어
2.5. 금기어와 완곡어
2.6. 관용어, 속담
2.7. 새말

^^6장 어휘^^

1. 문장의 성분
1.1. 문장과 문법 단위
1.2. 문장 성분의 종류
2. 문장의 짜임
2.1. 문장의 짜임새
2.2.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2.3. 이어진 문장
3. 문법 요소
3.1. 문장의 종결 표현
3.2. 높임 표현
3.3. 시간 표현
3.4. 피동 표현
3.5. 사동 표현
3.6. 부정 표현

^^7장 의미^^

1. 언어의 의미
1.1. 의미의 정의
1.2. 의미의 종류
1.3. 단어 의미의 올바른 용법
2. 단어의 의미 관계
2.1. 유의 관계
2.2. 반의 관계
2.3. 상하 관계
3. 의미의 확장
3.1. 다의적 확장
3.2. 비유적 확장
4. 문장의 의미
4.1. 문장 의미의 성격
4.2. 문장의 동의성
4.3. 문장의 중의성
4.4. 전제와 함의

^^8장 담화^^

1. 담화의 개념
1.1. 발화의 개념
1.2. 담화의 개념
2. 담화의 구성 요소
2.1. 참여자: 발신자와 수신자
2.2. 내용
2.3. 맥락
3. 담화의 특성
3.1. 담화성
3.2. 담화성의 기준
4. 담화의 구조
4.1. 주제부?설명부 구조
4.2. 거시 구조
5. 담화의 기능
5.1. 발화의 기능
5.2. 담화의 기능


^^9장 중세국어 문법^^

1. 문자, 표기법, 음운
1.1. 문자
1.2. 표기법
1.3. 음운
2. 단어
2.1. 단어의 구성과 유형
2.2. 파생법
2.3. 합성법
3. 품사
3.1. 체언: 명사, 대명사, 수사
3.2. 관계언: 조사
3.3. 용언: 동사, 형용사
3.4. 수식언: 관형사, 부사
3.5. 독립언: 감탄사
4. 문장
4.1. 문장의 성분
4.2. 겹문장의 짜임새
4.3. 문법 요소의 기능과 의미
5. 담화

^^10장 국어의 변화^^

1. 국어사의 자료
1.1. 한글 자료
1.2. 차자 표기 자료
2. 국어사의 시대 구분
3. 음운의 변화
3.1. 자음 체계의 변화
3.2. 모음 체계의 변화
3.3. 음절 구조 제약의 변화
3.4. 통시적 음운 변화
4. 문법의 변화
4.1. 격조사
4.2. 관형사형 어미
4.3. 선어말 어미 ‘-오-’
4.4. 종결법
4.5. 부정법
4.6. 사동법
4.7. 피동법
4.8. 높임법
4.9. 시제법
4.10. 구문 구조의 변화
5. 어휘의 변화
5.1. 어휘 체계의 변화
5.2. 개별 어휘의 변화
6. 의미의 변화

^^11장 국어의 규범^^

1. 표준어와 표준 발음
1.1. 표준어와 방언
1.2. 표준어 규정
1.3. 표준 발음
2. 한글 맞춤법
2.1. 총칙과 자모
2.2. 소리에 관한 것
2.3. 형태에 관한 것
2.4. 띄어쓰기
2.5. 그 밖의 것
3. 외래어 표기법과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3.1. 외래어 표기법
3.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12장 국어생활과 문화^^

1. 국어와 우리의 삶
1.1. 국어와 전통문화
1.2. 현대국어와 소통 매체의 변화
2. 남북한 언어의 이질화와 통일시대의 국어
2.1 남북한 언어 이질화의 원인
2.2 남북한 언어의 차이
2.3 통일시대의 국어
3. 세계 속의 한국어
4. 국어생활의 실천
4.1. 한자어의 순화
4.2. 외래어의 순화

^^13장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1.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1.1.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
1.2. 언어 지식의 교육적 가치
1.3. 문법 교육의 목표에 대한 몇 가지 관점
1.4.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법 교육의 성격과 목표
2. 문법 교육의 내용
2.1. <국어> 과목 문법 영역의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
2.2. <언어와 매체> 과목의 문법 교육 내용 체계와 성취 기준

^^14장 문법 교육의 방법과 평가^^

1. 문법의 교수?학습 방법
1.1.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1.2. 문법 교수?학습 방법
2. 문법의 평가
2.1. 국어과 평가관의 변화
2.2. 문법 평가 방법

본문인용

-

서평

이 책은 교육 현장에서 국어를 가르치거나 장차 국어교사가 되고자 하는 이들이 문법 교육 전문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학교 문법의 내용을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 현행 교육과정의 문법 교육 내용 체계를 근간으로, 언어와 국어의 본질, 국어의 구조와 역사, 국어 규범, 국어 생활과 문화 등을 일관된 태도로 쉽게 풀이하되, 대립되는 관점을 제시하거나 더 많은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언어 탐구의 다양한 관점 및 그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 학교 현장에서 문법을 가르치는 일에 도움을 주기 위해 문법 교육에 대한 장을 마련했다.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서, 국어교육학계의 최근 논의 등을 바탕으로 문법의 교육적 가치, 문법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교수법과 평가 등 문법 교육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저자소개

저자 : 김종록
경북 금릉에서 출생
경북대 국어교육과, 경북대 대학원 수료(문학박사)
현재 한동대 글로벌리더십학부 교수
E-mail : kjr@handong.edu

<논저>
『A Hanbook of Korean Verbal Conjugation』
(2004, Dunwoody Press, USA)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박이정)
『외국인을 위한 표준한국어 문법』(2008, 박이정)
『외국인을 위한 표준 한국어 동사활용 사전』(2009, 박이정)
『과학 글쓰기 전략』(공저, 2011, 박이정) 외
국어학 분야의 여러 논문이 있음
저자 : 송창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졸업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박사과정 졸업
대구한의대학교 한국어문학부 교수 (1992~2010)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2010~현재)

주요 논저
『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2005, 공저), 『국어 통사론』(2010)
등의 저서와, “현대국어 ‘이다’의 문법적 처리”, “이른바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국어교육에서 문형 교육의 필요성“ 등의 학술 논문 50여 편.
저자 : 이문규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의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 음운론을 전공하여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부산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국어 음운론, 국어사, 국어문법교육론 등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현대국어 상징어의 음운·형태론적 연구」(박사 학위 논문), 「국어 교육의 이념과 어휘 교육의 방향」(2003), 『학교문법과 문법교육』(공저, 2005), 「음운규칙의 공시성과 통시성」(2009), 『문법교육론』(공저, 2010), 「국어 방언 성조의 성격과 성조 체계 기술의 기본 단위」(2011), 「성조론적 과정의 성격과 기술 방법」(2014), 「음운변동의 개념과 유형」(2015), 『(개정판) 국어교육을 위한 현대국어 음운론』(2015) 등이 있다.
저자 : 이은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주요 논저: 『고대 한국어 차자표기 용자 사전』, “석독 입겿문의 동사 ‘삼-’의 의미 기능” 외 다수
저자 : 임지룡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맨체스터대학 언어학과 객원교수 역임
담화인지언어학회, 한국어 의미학회, 한국어문학회, 국어교육학회, 우리말 교육현장학회 회장 역임

저서
『국어 대립어의 의미 상관체계』(1989), 『국어 의미론』(1992), 『말하는 몸: 감정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6),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09), 『한국어 의미 특성의 인지언어학적 연구』(2017), 『<개정판> 인지의미론』(2018) 외 다수

공역서
『어휘의미론』(1989), 『언어의 의미』(2002), 『인지언어학 기초』(2008), 『의미 관계와 어휘사전』(2008), 『인지문법론』(2009), 『의미론의 이해』(2010), 『인지언어학 개론』(2010), 『언어·마음·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1), 『어휘의미론의 연구 방법』(2013), 『의미론의 길잡이』(2013), 『비유 언어』(2015), 『의미론』(2017), 『인지언어학 핸드북』(2018) 외 다수
저자 : 최웅환
안동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주요 논저: 『국어 문장의 형성 원리 연구』, 『미디어교육과 사귐』(공저) 외 다수
저자 : 황미향
대구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주요 논저: 『비판적 사고와 교실 수업』(공저), “동음이의어 교육의 실태와 대안” 외 다수
박이정은 1989년 창립 이래 '깊이와 넓이가 있는 책을 펴내자'는 정신을 바탕으로 국어학, 국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문서적 출판에 힘써왔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