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부동산 경제학

제3판


  • ISBN-13
    978-89-7107-759-7 (93320)
  • 출판사 / 임프린트
    건국대학교출판부 / 건국대학교출판부
  • 정가
    2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0-02-28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경환 , 손재영
  • 번역
    -
  • 메인주제어
    부동산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부동산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6 * 248 mm, 496 Page

책소개

제2판 출간 이후의 통계자료와 정책에 관한 설명을 업데이트하였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여 본문 및 Box 내용을 대폭 보강하였다. 또한 이 책으로 공부한 학생들과 강의하신 교수님들로부터 받은 유익한 제안들을 바탕으로 서술을 다듬었다. 부동산의 여러 분야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개정 작업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폭넓게 진행되었다. 특히 제 1장, 8장, 12장에 새로운 절을 추가하여 책의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하였다.

목차

제3판 서문_5
저 자 서문_6

^^제1편 시장경제와 부동산^^

제1장 경제원리와 시장 분석의 기초
01. 부동산경제학의 정의와 이 책의 구성_17
02. 경제원리와 경제모형_19
03. 수요-공급 모형_21
04. 시장균형과 경제적 후생_31
05. 시장실패_35
06. 시장균형과 형평성_42
07. 정부개입과 정부실패_44

제2장 부동산, 부동산시장, 부동산정책
01. 부동산과 부동산시장의 특성과 규모_51
02. 주택시장에 대한 정부개입_64
03.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성과와 과제_74

^^제2편 부동산 임대료 결정모형^^

제3장 부동산 서비스 시장의 수요-공급 모형
01. 경제원리와 경제모형_85
02. 두 가지 용도가 경쟁하는 토지시장 모형_101
03. 인구구조 변화와 장기 주택수요_115
04. 장기 주택 공급곡선과 임대료·분양가 규제_125

제4장 단핵도시 모형과 도시 공간구조의 분석
01. 농업용지의 입지균형_141
02. 이질적 용도 간의 입지경쟁_149
03. 도시 공간구조 분석_153
04. 단핵도시 모형을 이용한 도시공간 분석 사례_170
05. 단핵도시 모형의 한계_175

제5장 헤도닉 가격함수와 그 활용
01. 헤도닉 가격함수 _181
02. 헤도닉 가격함수의 활용(1):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_193
03. 헤도닉 가격함수의 활용(2): 비준표_195
04. 헤도닉 가격함수의 활용(3): 부동산 가격지수_201
부록: SPSS를 이용한 헤도닉 가격함수 추정 연습_215

^^제3편 부동산 자산 가격 결정모형^^

제6장 임대료가 일정한 부동산의 내재가치
01. 부동산 가치의 원천_229
02. 현재가치와 미래가치_232
03. 이자율, 수익률, 요구수익률_235
04. 내재가치_241
05. 시장가격과 내재가치_245
06. 조세의 효과_248

제7장 임대료가 증가하는 부동산의 내재가치
01. 임대료 증가율이 할인율보다 큰 경우_259
02. 임대료 증가율이 할인율보다 작은 경우_261
03. 임대료 상승률 증감의 효과_263
04. 내재가치 식의 함의(1): 부동산 수익의 구성요소와 사용자비용_266
05. 내재가치 식의 함의(2): 자본환원율(cap rate)_269
06. 내재가치 식의 함의(3): 전세의 경제학_273
07. 내재가치 모형의 현실성_278

제8장 부동산 가격거품
01. 자산 가격거품_283
02. 부동산 가격거품의 검증_297
03. 일본의 부동산 가격거품_310
04. 미국의 주택가격 거품과 서브프라임 사태_320

제9장 디파스퀠리-위튼의 4분면 모형
01. 모형의 개요_333
02. 공간시장과 자산시장의 장기 균형_340
03. 비교정태 분석_343
04. 모형의 제약과 확장_345
05. 동태적 모형_348

^^제4편 부동산시장과 나라경제^^

제10장 부동산 조세
01. 부동산에 대한 과세와 세제 지원_357
02. 부동산 조세의 경제적 효과_363
03. 재산세의 귀착 이론_371
04. 헨리 조지의 토지가치세_382
05. 우리나라의 부동산 세제와 정책 이슈_396

제11장 부동산금융
01. 부동산금융시장과 부동산금융상품_401
02. 주택담보대출(모기지) 시장 _408
03. 모기지 계산법_423
04. 우리나라의 부동산금융_431

제12장 부동산과 거시경제
01. 부동산의 위상_451
02. 부동산과 총수요-총공급_456
03. 외환위기와 부동산_465
04. 세계 주택가격 상승·하락과 글로벌 금융위기_471

참고문헌_481

본문인용

-

서평

[부동산경제학] 초판이 나온 지 10년이 되는 올해(2020년) 제3판이 출간되었다. 제3판에서는 제2판 출간 이후의 통계자료와 정책에 관한 설명을 업데이트하였으며,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여 본문 및 Box 내용을 대폭 보강하였다. 또한 이 책으로 공부한 학생들과 강의하신 교수님들로부터 받은 유익한 제안들을 바탕으로 서술을 다듬었다. 부동산의 여러 분야가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개정 작업은 처음 예상했던 것보다 폭넓게 진행되었다. 특히 제 1장, 8장, 12장에 새로운 절을 추가하여 책의 내용을 보다 풍부하게 하였다.

우리나라 부동산 산업이 선진국 수준에 근접함에 따라 부동산 전문가들에게도 시장의 작동과 정책효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분석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저자들은 지난 30년 동안 부동산시장 분석과 정책평가, 부동산경제학의 교육 분야에서 많은 경험을 쌓아 왔다. 이를 토대로 이 책은 부동산경제학 이론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뿐 아니라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과 정책 분석에 대한 이론의 적용과 실증 분석 문헌도 소개한다. 이 책은 부동산시장의 핵심 개념들과 이론, 분석 방법을 습득하고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과 정책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김경환
서강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린스턴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시라큐즈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거쳐 1988년부터 서강대학교 경제학부에 재직하고 있다. 김 교수는 UN 정주기구(UN Habitat) 자문관, 아시아부동산학회 회장, 위스콘신대학교 및 싱가포르 경영대학교 방문 교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회장, 한국주택학회 회장, 국토연구원 원장, 국토교통부 차관 등을 역임했다.
김 교수의 전공 분야는 도시·부동산 경제학과 공공경제학이다. 김 교수는 『도시경제』(공저), 『부동산경제학』(공저) 등을 저술했고 국내·국제 학술지 및 단행본에 많은 논문을 발표했다. 또한 전공 분야의 다양한 정부 위원회와 세계은행 등 국제기구의 컨설팅에도 참여했다. 현재 「`Journal of Housing Economics」 편집위원과 「`Housing Studies」의 편집자문 위원을 맡고 있다.
저자 : 손재영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경제학과에서 1987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공분야는 도시경제학과 재정학이며, 귀국 후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을 거쳐 1995년에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교수로 부임하였다. 부동산 시장과 정책의 경제학적 분석과 대안제시를 연구 분야로 하여 수십 편의 논문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부동산정책의 형성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토지공개념연구위원회 간사, 국민주택기금 운영위원회 및 주택정책심의위원회 위원,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여러 기관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