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작은 전쟁


  • ISBN-13
    979-11-87429-48-7 (93340)
  • 출판사 / 임프린트
    문화의힘 / 문화의힘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9-06-1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사)한국전쟁 민간인희생자 공주유족회
  • 번역
    -
  • 메인주제어
    -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460 Page

책소개

한국전쟁 시기 1950년 7월 9일(혹은 10일) 충남 공주군 왕촌면 살구쟁이에서 공주형무소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을 집단 학살이 벌어졌다. 이에 대해 매장지 발견에서부터 발굴, 진실화해위 결정, 대법원 판결, 유족회 활동에 이르기까지 지난 13년간의 활동기록과 더불어, 해방후부터 6.25 당시에 이르기까지 공주지역의 이념대립과 전쟁, 전투상황, 지역상황, 민간인 학살에 이르기까지 총망라한 보고서이다. 또한 2001년 처음 살구쟁이 학살지가 발견되면서부터 언론에 보도된 내용도 실었다.

목차

추모시┃김홍정
발간사┃곽정근(유족회장)
추천사┃김정섭(공주시장) , 김동춘(성공회대학교 교수, 전 진실화해위원회 상임위원)
사진자료

^^1. 공주지역의 한국전쟁과 민간인 학살사건 개요 ^^
<요약> 간추린 '공주지역의 한국전쟁과 민간인 학살사건'
머릿말
1. 한국전쟁 직전 시기 공주의 정치상황
2. 공주지역 한국전쟁의 전개양상
3. 공주지역 민간인 학살 사건의 진상
4. 왕촌 살구쟁이 학살사건의 진상
5. 학살사건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맺음말

^^2. 진실화해위원회 결정문 & 대법원판결문^^

^^3. 진실화해위원회 결정문 ^^

^^4. 대법원판결문 ^^

^^5. 언론이 본 공주 민간인 희생사건 ^^

^^6. 살구쟁이에 얽인 기억 ^^
곽정근 유족회장 인터뷰
어느날 '오형제'에게 닥친 비극
깃발 없는 기수 역할 한 아버지. 높이 평가합니다.
밥해 줬다는 이유로 잡혀간 아버지
호적에서조차 아버지 어머니 이름이 없었어요
살구쟁이 유가족 최황삼 할머니 이야기
왕촌 현장 사진의 주인공, 그는 누구일까
희생자들의 살과 뼈
왕촌학살 보도 그 이후

^^7. 공주유족회 ^^
희생자명단
공주유족회 발자취
위령제
정관
회원명단
공주시조례

편집후기

본문인용

-

서평

한국전쟁 시기 1950년 7월 9일(혹은 10일) 충남 공주군 왕촌면 살구쟁이에서 공주형무소 재소자와 보도연맹원을 집단 학살이 벌어졌다. 이에 대해 매장지 발견에서부터 발굴, 진실화해위 결정, 대법원 판결, 유족회 활동에 이르기까지 지난 13년간의 활동기록과 더불어, 해방후부터 6.25 당시에 이르기까지 공주지역의 이념대립과 전쟁, 전투상황, 지역상황, 민간인 학살에 이르기까지 총망라한 보고서이다.
또한 2001년 처음 살구쟁이 학살지가 발견되면서부터 언론에 보도된 내용도 실었다.
한국전쟁과 민간인학살에 대한 연구를 하는 사람들의 필독서이다.

저자소개

저자 : (사)한국전쟁 민간인희생자 공주유족회
한국전쟁 전후 충남 공주에서도 많은 민간인이 국가 폭력으로 불법 살해됐다.
하지만 '빨갱이'라는 낙인으로 명예회복을 포기하고 숨죽여 살아왔다.
2000년부터 전국에서 유족회가 결성되기 시작했다.
2001년 공주 왕촌살구쟁이 학살 현장이 51년 만에 보도(오마이뉴스)됐다.
2005년에는 정부 기구인 진실, 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가 발족했다.
2006년 왕촌 살구쟁이 현장에서 첫 위령제를 지냈다.
2007년 진실화해위에서 확인한 희생자 유가족을 중심으로 공주유족회를 결성했다.
매년 위령제를 지내고 있고, 과거사법 제정을 통한 미신고 유족의 명예회복과 위령탑 건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