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조선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연구


  • ISBN-13
    978-89-7940-143-1 (9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신서원 / (주)신서원
  • 정가
    3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9-04-11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임성욱
  • 번역
    -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5 mm, 620 Page

책소개

한국현대사에 있어 해방 이듬해인 1946년은 좌우 대립이 격화되고 남북 간 이질화가 심화됨으로써 사실상 분단을 결정지은 시기였다. 특히, 제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시점인 1946년 5월은 한반도의 정세가 근본적으로 변하게 되는 하나의 전환점이 되는 시기였다.

저자는 이 시기에 발생한 하나의 사건에 주목했다. 그것은 바로 조선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또는 정판사 '위폐' 사건이라고 하는 사건이다. 저자는 당시 신문 자료 및 사료를 분석하여 정판사 '위폐' 사건의 배경과 전개 과정을 세밀하게 그려냈으며, 사건이 조작되었음을 밝히고, 사건이 한국 현대사에 미친 영향을 해석했다.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서 구성 및 연구 자료 소개

제2장 배경
1. 미군정의 대좌익 정책 변화 과정
1) 해방 이후 모스크바 3상회의 이전
2) 모스크바 3상회의 이후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전
3)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후
2. 조선공산당의 대미 노선 변화 과정
1) 해방 이후 모스크바 3상회의 이전
2) 모스크바 3상회의 이후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전
3) 제1차 미소공위 결렬 이후
3. 정판사 ‘위폐’ 사건 관련 기본 정보
1) 근택빌딩과 조선정판사
2) 정판사 ‘위폐’ 사건의 피의자
3) 정판사 ‘위폐’ 사건의 경찰 관계자
4) 정판사 ‘위폐’ 사건의 법조인

제3장 전개
1. 정판사 ‘위폐’ 사건의 전개 과정
1) 제1시기: 수사 및 조사(1946년 5월 초~7월 28일)
2) 제2시기: 1심 재판(1946년 7월 29일~1946년 11월 28일)
3) 제3시기: 1심 종결 이후(1946년 11월 28일~1950년 7월)
2. 정판사 ‘위폐’ 사건에 대한 대응
1) 미군정의 대응
2) 우익의 대응
3) 좌익의 대응

제4장 논란
1. 정판사 ‘위폐’ 사건에 대한 의혹
1) 미군정 공보부 발표 내용에 대한 의혹
2) 뚝섬 위폐 사건과 관련된 의혹
3) 경찰의 고문과 관련된 의혹
4) 위폐 시험 인쇄에 대한 의혹
5) 안순규의 위폐 인쇄 현장 목격 증언에 대한 의혹
6) 장택상의 침묵에 대한 의혹
2. 정판사 ‘위폐’ 사건 판결의 모순
1) 제1차 위폐 인쇄 시기에 대한 모순
2) 송언필, 김창선의 조선공산당 재정 상태 파악에 대한 모순
3) 김창선, 정명환의 징크판 재생 및 제작에 대한 모순
4) 증거물의 실재에 대한 모순
5) 검사 측 증인 현을성, 이구범, 이영개의 증언의 모순

제5장 영향
1. 정판사 ‘위폐’ 사건과 해방 정국의 정세 변화
1) 미군정의 위기 모면
2) 1946년 하반기 갈등의 대폭발
3) 일제강점기 억압적 국가기구의 부활
2. 정판사 ‘위폐’ 사건과 한국 사회의 반공주의
1) ‘낙인찍기’를 통한 반공주의 체제 형성
2) ‘기억의 조작’을 통한 반공주의 체제 공고화

제6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임성욱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한국학과에서 본 연구서의 저본이 된 「미군정기 조선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연구」로 2015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한국문화유적답사'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한국 현대사에 대해 관심을 갖고 역사 공부를 시작했으며, 종적으로는 그 이전 시대인 일제강점기와 조선 시대로, 횡적으로는 주변 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역사로 관심 분야를 넓혀 가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