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병자호란과 예禮, 그리고 중화中華


  • ISBN-13
    979-11-5905-404-4 (9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소명출판 / 소명출판
  • 정가
    28,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9-04-0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허태구
  • 번역
    -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조선중기(임진왜란~경종) #전쟁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60 * 231 mm, 387 Page

책소개

한국연구총서 96권. 당대 조선인의 시선에서 다시 본 병자호란. 병자호란을 전후한 시기에 조선이 취한 군사적 대응과 한계를 분석하고, 전쟁과 관련된 주화.척화 담론의 특징과 성격, 전쟁이 초래한 국내외적 질서의 변동을 '예禮의 실천'이라는 시각을 통해 살펴보았다. 당대인들이 전력의 열세를 분명하게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왜 병자호란이란 전쟁을 치룰 수밖에 없었는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병자호란 연구의 성과와 한계
1. 문제의 제기
2. 연구 동향 검토
3. 책의 구성과 논점

제2장 병자호란 이전 조선의 국방 태세
1. 병력 확보와 군량 공급의 문제점
2. 조·명 군사 협력의 실상
3. 청야입보淸野入保 전술의 추진과 한계

제3장 병자호란의 발발과 강화講和 협상의 추이
1. 대청체제大淸體制의 수립과 조·청 간의 의례 논쟁
2. 청군의 군사력과 개전 초기의 전황
3. 남한산성 농성과 강화 협상의 쟁점

제4장 전후처리와 척화론斥和論의 함의
1. 삼전도 항례降禮의 이행과 대청對淸 관계의 재설정
2. 폐전 책임자 처벌을 둘러싼 주화·척화론의 재격돌
3. 조선시대 중화中華 인식의 성격과 척화론

제5장 '두 개의 대명인식'과 병자호란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허태구
1970년 서울에서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민대학교, 경인교육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등에 출강하였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선임연구원과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국사학 전공의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화주의(中華主義)와 연관된 조선 후기의 정치사, 군사사, 외교사, 사상사이다.
소명출판은 동아시아 인문학의 구축과 연대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바탕으로 1998년부터 현재까지 약 1700여 종의 책을 출간하고 있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