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관계 중독

수치심과 결별하고 공의존에서 탈출하기


  • ISBN-13
    979-11-87064-29-9 (03180)
  • 출판사 / 임프린트
    교양인 / 교양인
  • 정가
    16,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8-11-1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달린 랜서
  • 번역
    박은숙
  • 메인주제어
    심리학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교양 심리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0 * 213 mm, 320 Page

책소개

나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다는 이 느낌은 도대체 어디에서 오는 걸까? 사랑에 중독된 내 마음을 들여다보니 '수치심'이 살고 있었다. 공의존에서 벗어나 건강한 관계를 되찾는 자기 회복의 심리학.

삶의 의미를 '나'가 아닌 '너'에게서 찾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친구의 부탁을 거절하면 죄책감에 시달린다. 파트너가 바람을 피우거나 폭력을 휘둘러도 떠나지 못한다. 배우자나 자식이 잘되는 데서 자존감을 찾는다. 연애할 때마다 모든 것을 연인에게 맞추느라 힘겹다. 제일 두려워하는 말은 "그만 만나자."이다. 에너지가 온통 타인에게 쏠려 있어서 자기 삶을 제대로 꾸리지도 못하고 스스로를 돌보지도 못한다. 관계 중독자라고 불리는 이 사람들에게 '홀로 선 나'는 없다. 오직 '너와 함께 있는 나'만 있을 뿐이다.

관계 중독자의 내면에는 자기가 사랑스럽지 않고 부끄러워서 사라져버리고 싶은 나쁜 감정, 즉 수치심이 있다. 수치심은 '사랑의 파괴자'다. 건강한 관계에 요구되는 모든 행동과 소통을 망가뜨리기 때문이다. 수치심과 관계 중독은 서로를 자양분으로 삼아 우리의 삶을 망친다. 저자는 심각한 관계 중독자였던 자신의 이야기를 가감 없이 드러낸다. 또 심리 상담을 하면서 만난 내담자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삼아 수치심과 관계 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안내한다.

목차

머리말 _ 나는 수치심에 갇힌 공의존자였다

1장 내가 쓸모없다는 느낌이 불쑥 찾아들 때 - 수치심의 뿌리
2장 수치심은 내면의 성장을 어떻게 가로막는가 - 수치심의 탄생
3장 수치심을 감추기 위한 방어 행동 - 수치심 대응 전략
4장 이 채울 수 없는 허기는 어디서 오는가 - 공의존자의 공허한 내면
5장 낮은 자존감이 부르는 불안과 중독 - 공의존의 증상들
6장 질투, 공포, 분노로 치닫는 중독적 사랑 - 관계 중독
7장 성적 쾌락을 왜 수치스럽다고 느끼나 - 성욕과 수치심
8장 수치심에서 나를 자유롭게 하려면 - 관계 중독 탈출 8단계

부록-자기 공감 테스트
주석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달린 랜서
미국의 결혼·가족 전문 심리상담가이자 인간관계 상담가. UCLA 로스쿨을 졸업하여 변호사가 되었으나, 알코올 중독인 남자친구를 돕기 위해 심리 치료를 경험하면서 자신이 심각한 관계 중독자임을 깨닫고 심리상담가로 전향했다. 안티오크 대학에서 임상심리학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관계 문제를 겪는 커플과 가족들을 30년간 상담해 왔다. 대중 강연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결혼 코칭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번역 : 박은숙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