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리(理)와 기(氣)로 해석한 한국 사회


  • ISBN-13
    979-11-88765-00-3 (0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 정가
    1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7-12-2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오구라 기조
  • 번역
    조성환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한국철학 일반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272 Page

책소개

현대 한국 사회를 성리학의 핵심개념인 ‘리’와 ‘기’로 해부한 독창적인 한국론으로, 조선시대의 유학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를 세밀하게 보여주고 있다. 저자는 절반은 한국에 몸담고 있으면서 절반은 한국 밖에 나와 있는,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한 상태에서 한국을 조망하면서, 외국인이 이해하기 힘든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독특한 모습들을 저자가 고안한 ‘리기시스템’이라는 내재적인 방법론으로 날카롭게 파헤치고 있다.

목차

^^1장 ─ 한국, 도덕 지향적인 나라 ^^
1. 도덕 지향적인 사람들
2. 도덕을 외치는 사람, 도덕을 외치지 않는 사람
3. 일본과 한국에서의 도덕의 이미지
4. <유교=형식주의>는 오류이다
5. 월드컵 유치경쟁에서 보여준 도덕 지향성
6. 도덕 지향적인 세계 속에서의 일본의 개성
7. 일본은 메이지 이후에 유교 국가화의 완성을 지향한다
8.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9. 도덕·권력·부
10. 도덕쟁탈전
11. 철학은 삶 그 자체
12. 리(理) 신앙
13. 위기의식과 리(理) 지향성
14. 리(理)의 변천
15. 한국과 일본의 리(理)의 형태
16. 형이상학적인 한국으로 드디어 출발!
17. 약간의 범례

^^2장 ─ 상승을 향한 열망^^
1. 리(理)와 기(氣)의 구조
2. 인간관계의 구조
3. 상승 지향의 구조

^^3장 ─ ‘리’와 ‘기’의 생활공간 ^^
1. 리의 세계와 기의 세계
2. 리기의 생활학
3. ‘리’와 ‘기’의 방법론

^^4장 ─ ‘리’와 ‘기’의 문화체계^^
1. 질서(cosmos) 신앙의 민족성
2. 리기의 문화 표징
3. 리기의 정신성

^^5장 ─ ‘리’와 ‘기’의 사회구조^^
1. 도덕 지향성과 지식인
2. 리기의 혈연 공동체

^^6장 ─ 리기의 경제·정치·역사 ^^
1. 경제 ― 리(理)와 리(利)의 각축과 타협
2. 정치 ― ‘리’는 질서라는 이름의 혼돈 172
3. 역사 ― ‘리’의 힘과 가상(假想)의 도덕적 역사
4. 90년대의 변화

^^7장 ─ 리기와 세계·일본^^
1. 국제 관계의 구조
2. 문화라는 ‘리’와 세계화
3. 한일 관계의 난관과 미래

본문인용

-

서평

한국이 유교적인 사회라는 사실에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어째서 유교적인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저자는 이 물음에 명쾌하게 답하고 있다.

조선시대의 통치이념은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유학이었는데, 성리학의 특징은 ‘리’와 ‘기’라는 두 개념으로 인간과 사회와 우주를 통일적으로 설명한다는 데에 있다. 여기에서 ‘리’가 도덕과 이념을 의미한다면 ‘기’는 욕망과 현실을 나타낸다. 성리학에서는 현실이 이념에 따르고 욕망이 도덕의 인도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리와 기 중에서 어느 한쪽만을 강조하여 한국 사회를 분석하면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저자에 의하면 한국인에게는 도덕과 이념을 중시하는 ‘리’적인 측면과, 변화와 현실을 ‘기’적인 측면이 모두 들어 있고, 이 양면성이야말로 한국 사회를 역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근본적인 요인이다.

이 책은 현대 한국 사회를 분석하는 틀로서 리와 기라는 내재적인 개념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방법론과는 선을 긋고 있다. 종래에 한국을 분석하는 이른바 ‘과학적인’ 방법들은 대개 서양의 사회과학 이론이나 철학적 담론과 같은 외부의 시각에 의존해 왔는데, 그 이유는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이른바 서양에서 훈련받은 해외 ‘유학파’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유학적 지식을 현대 한국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하기보다는, 조선시대 유학을 설명하는 데에 주로 사용해 왔다. 다시 말하면 한국의 원형을 아는 사람들은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적고, 지금의 한국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한국의 원형에 어두웠던 것이다. 바로 이 점이 한국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저자와 같은 내재적인 방법론이 나오지 못했던 이유이다.

외국에서 살아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한국문화가 지니는 독특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저자는 그 독특성의 원인을 한국인의 ‘리’ 지향성에서 찾고 있다. 여기에서 ‘리’는 ‘도덕’의 다른 말로, 한국인들의 가장 큰 특징은 ‘도덕지향적’이라는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인들의 도덕지향성을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 그리고 사고방식 속에서 하나하나 증명해 나감으로써 일본인들에게 한국을 이해시키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오구라 기조
1959년에 동경에서 태어나서 1983년에 동경대학교 독일문학과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덴츠(電通)’라는 광고회사에 근무하다가 한국 유학의 길에 올랐다.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8년 동안 한국철학을 연구한 뒤에, 귀국하여 동해대학교 조교수와 ‘NHK 한글강좌’ 강사 등을 역임하였다. 지금은 교토대학 인간·환경학연구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일을 오가며 서로의 사상과 문화를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이 책 이외에『한국, 사랑과 사상의 여행』,『주자학화하는 일본 근대』,『창조하는 동아시아』,『조선사상전사』등이 있고,『새로 읽는 논어』는 최근에 한국어로 번역되었다.
번역 : 조성환
원광대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교수, 『다시개벽』 편집인. 저서로는 『한국 근대의 탄생』이 있고, 역서로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