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과학사

개정판


  • ISBN-13
    978-89-7044-282-2 (03400)
  • 출판사 / 임프린트
    전파과학사 / 전파과학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3-12-16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김영식 , 박성래 , 송상용
  • 번역
    -
  • 메인주제어
    수학, 과학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과학사/기술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413 Page

책소개

과학사는 우리나라 자연·이공계 학부에서 교양과목으로 많이 채택되어 강의되고 있는 과목이다. 20세기를 전후로 하여 인류는 그전 세대에서 경험하지 못한 엄청난 과학적 진보를 이룩해 왔다. 과학과 기술 분야는 따로 떨어져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학문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실용적인 기술들이 계속 발전될 것이다. 

이 책은 과학 분야에 종사하게 될 많은 학생들에게 과학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류의 과학 발전이 전개된 과정과 의미를 학습하면서 과학발전이 한 개인의 연구 성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그러한 과학적 발견과 성과가 나타나게 된 배경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사회적인 맥락으로 과학사를 바라볼 수 있게 도움을 줄 것이다.

목차

머리말

PART 01 과학혁명까지의 서양과학
01. 과학의 여명
02. 그리스 초기의 자연철학
03. 고전과학의 개화
04. 헬레니즘 · 로마과학
05. 고대의 의학과 천문학
06. 아랍과학
07. 중세의 신학 · 철학 · 과학 · 기술
08. 르네상스 과학
09. 과학혁명
10. 코페르니쿠스 혁명
11. 새우주론
12. 갈릴레오 재판
13. 역학의 근대화
14. 근대의 과학방법
15. 빛과 빛깔과 피
16. 근대의 과학학회들
17. 뉴턴의 종합

PART 02 근대 및 현대의 과학
01. 과학혁명의 영향: 뉴턴과학과 계몽사조
02. 화학혁명: 라부아지에와 근대 화학체계의 형성
03. 과학의 전문직업화: 프랑스혁명기의 과학
04. 다윈과 진화론
05. 열역학의 성립: ‘에너지’와 ‘엔트로피’
06. 물리학 분야의 성립
07. 미국과학의 발전
08. 과학과 산업기술
09. 생물학 분야의 발전
10. 현대물리학의 출현
11. 원자탄 : 제2차 세계대전과 과학
12. 현대사회의 과학기술과 인간

PART 03 동양의 전통과학
01. 중국 고대과학의 형성
02. 중국 고대과학의 발전
03. 한 · 당시대의 전통과학
04. 전통 과학기술의 완성 : 송 · 원 · 명대
05. 과학기술과 근대중국
06. 인도의 과학전통
07. 일본의 과학과 기술
08. 우리나라 삼국시대의 과학기술
09. 고려시대의 과학기술
10. 조선 전기의 과학기술
11. 조선 후기의 근대적 과학기술
12. 개국 이후의 과학기술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김영식
서울대 공대 화학공학과 졸업, Harvard 대 Ph. D(화학물리학), Princeton대 Ph. D(과학사), Battle 기념연구소·Princeton대 연구원 역임. 서울대 자연대 화학과 교수. 서울대 대학원 과학사 및 과학 철학협동과정 전공주임. 한국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
저자 : 박성래
저자
저자 : 송상용
저자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