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전방후원분과 사회


  • ISBN-13
    978-89-5508-304-0 (93910)
  • 출판사 / 임프린트
    학연문화사 / 학연문화사
  • 정가
    4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3-08-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쓰데 히로시
  • 번역
    김대환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일본고대/중세사 #고고학 #사회사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784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서장 국가 형성 과정
1. 초기국가
2. 도시의 형성
3. 고분의 제 측면
4. 전기고분론
5. 조세와 요역과 토목 사업
소결

제1부 초기국가론
제1장 일본고대국가 형성론 서설 - 전방후원분체제의 제창
머리말
1. 국가 형성을 둘러싼 이론문제
2. 고대 일본의 국가 형성 과정
맺음말 - 전방후원분체제의 제창
제2장 국가 형성의 제 단계 - 수장체ㆍ초기국가ㆍ성숙국가
머리말
1. 3단계의 지표
2. 일본열도 중앙부에서 국가 형성
맺음말
제3장 전방후원분체제와 민족 형성
머리말
1. 전방후원분의 분포 범위
2. 물류권과 생활양식의 공통권
3. 민족의식의 맹아
맺음말
제4장 분구묘의 비교고고학 - 이형 분구 형식의 의미
머리말
1. 유럽의 방형분과 원형분
2. 중국의 방형분과 원형분
3. 주거 형식과 분구 형식의 상관관계
4. 출계 계통과 분구 · 묘실의 형식
맺음말

제2부 도시론
제5장 도시의 형성과 전쟁
머리말
1. 도시란 무엇인가?
2. 도시의 성립 과정과 전쟁
3. 일본열도에서 도시의 형성
제6장 야요이 환호취락은 도시가 아니다
머리말
1. 도시와 집주
2. 야요이 환호취락과 중국의 성곽도시
3. 거대 환호취락은 도시인가?
4. 성채취락 개념의 제창
맺음말
제7장 세계의 성채적 취락과 도시
머리말
1. 일본과 동아시아의 환호취락
2. 서아시아, 유럽, 아메리카
3. 성채적 취락과 도시와의 관계

제3부 분묘의 구조
제8장 분묘와 장법
1. 분묘의 구성요소
2. 장법의 제 유형
3. 장송의례의 과정
4. 공동묘지의 구조
5. 묘지의 계층성
제9장 분구의 형식
1. 분구묘의 제 유형
2. 전방후원분의 성립과 변질
3. 분구 형식간의 상호 관계
4. 전방후원분체제

제4부 전기고분론
제10장 전방후원분의 탄생
1. 전방후원분 기원론
2. 3단 축성의 원리
3. 북향과 밀봉의 사상
4. 전방후원분체제 성립의 의의
제11장 조령 제식의 정치성 - 전방후원분 분포권의 해석
머리말
1. 다나카 미가쿠의 전방후원분 분포관
2. 전방후원분을 정치적인 것으로 보는 논리
3. 조령 제식의 정치성
맺음말
제12장 전방후원체제와 지역 권력
머리말
1. 지역국가론
2. 지역 권력의 성격
3. 전방후원분체제 이전
맺음말
제13장 수혈식 석실의 지역성 연구
머리말 - 고분 연구에서 새로운 시점의 필요성
1. 수혈식 석실의 연구사
2. 수혈식 석실의 지역성
맺음말
제14장 하니와 편년과 전기 고분의 신고
머리말
1. 전기 고분에서 3가지 하니와 양식
2. A1양식 하니와 출토 고분의 편년적 위치
3. 교토후 조호지미나미바라 고분 출토 하니와의 평가
맺음말
제15장 전기 고분의 신고와 연대론
1. 전기 고분의 고상과 신상
2. 전기 고분의 분기안
3. 전기 · 중기 고분 연대론
4. 고분의 출현 연대
제16장 전방후원분의 성립과 진사의 채굴
1. 와카스기야마 유적의 연대
2.「魏志倭人傳」에서 주단의 기재
3. 분묘의 적색 안료
4. 고대 중국에서 단의 사상
맺음말

제5부 수장계보론
제17장 수장계보 변동 패턴론 서설
머리말
1. 연구 약사
2. 변동 패턴의 설정
3. 앞으로의 과제
맺음말
제18장 고분시대 수장계보의 연속과 단절
1. 수장계보의 분석과 정치사
2. 교토후 가쓰라가와 강 우안 지역의 사례 연구
3. 고분 분형 규제론의 재검토
4. 수장권 윤번제설 비판
맺음말 - 고분시대 정치사 분석의 시각
제19장 고분시대의 격자 설계
머리말
1. 주거 부지의 격자 설계
2. 격자 설계의 규격
3. 격자 설계의 배경
맺음말
제20장 고분시대 수장의 정치 거점
머리말
1. 수장거관의 제 속성
2. 정치적 창고군
3. 환호취락에서 도성까지
맺음말

제6부 고고학과 사회
제21장 일본고고학과 사회
1. 고고학의 객관성
2. 일본고고학을 둘러싼 사회 환경
3. 일본인 기원론 · 일본문화론과 고고학
4. 발전과 구조와 전파
맺음말
제22장 모리모토 로쿠지론
1. 고고학으로 기여
2. 모리모토의 ‘문화의 형’
3. 문화의 층위학과 문화의 모방
4. 사회 복원 연구의 출발점 - 1930년대
제23장 고바야시 유키오론
1. 고바야시 유키오 약력
2. 발굴한 유적
3. 야요이시대의 연구
4. 고분시대의 연구
5. 야나기타 구니오 · 오리쿠치 시노부의 영향
6. 연구 자세
제24장 역사학과 심층 개념 - 일본 문학의 역사적 분석 절차
1. 일본문화론의 변모
2. 유럽 인문과학의 심층 개념
3. 단일문화론 비판과 다원적 문화론
맺음말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번역 : 김대환
저자 : 쓰데 히로시
1942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교토대학 문학부와 대학원 문학연구과에서 고고학을 공부한 후 1977년 시가대학 교육학부 조교수를 거쳐 1979년부터 2005년까지 오사카대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일본열도 농경 사회의 성립부터 국가 형성에 이르는 장기적인 과정을 고고학적으로 설명하면서 세계 각지의 연구과 비교해 일본 국가 형성의 특질을 해명하는 것을 주로 연구해 왔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日本農耕社會の成立過程』(1989),『古墳時代の王と民衆』(공저, 1989),『雪野山古墳の硏究』(공저, 1996),『王陵の考古學』(2000)등이 있으며,『日本農耕社會の成立過程』으로 1989년 제2회 하마다 세이료우상(濱田靑陵賞)을 수상하였고, 유키노야마 고분 발굴조사 단장으로서 1997년 6월 제6회 유잔카쿠(雄山閣)고고학 특별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오사카대학 명예교수.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