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질적연구 방법론

개정판


  • ISBN-13
    978-89-5803-122-2 (939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아르케 / 도서출판아르케
  • 정가
    24,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3-01-3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윤택림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고고학/인류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75 * 244 mm, 288 Page

책소개

한국에서 질적연구에 관심을 지니고 있는 이들에게 질적연구방법을 소개하기 위해 씌어진 책.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들을 예로 드었으며, 구체적인 방법들을 지은이의 경험을 살려 제시했다. 또한 책의 전반부에는 질적연구를 정의하고 학자들의 연구 사례 등을 정리했다. 후반부에는 질적연구의 가능성과 질적연구의 의의를 살폈다.

목차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I부 무엇이 질적연구방법인가?
제1장 왜 질적연구방법인가?
1. 일상생활과 수치 그리고 그 무엇
2.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질적연구방법이란?
4. 질적연구방법은 대안적 연구방법인가?
5. 책의 구성
제2장 현지조사와 문화기술지
1. 현지조사의 특성
2. 현지조사의 여러 연구 기술들
3. 해석적 연구로서의 현지조사
4. 현지조사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
5. 현지조사를 준비하며
6. 문화의 경계 넘기

제II부 질적연구는 어떻게 하는가?
제3장 참여관찰
1. 현지에 들어가기
2. 참여관찰의 목적
3. 참여관찰의 효용성
4. 참여관찰 선정 기준
5. 참여관찰의 기술
제4장 연구자와 제보자
1. 라포
2. 제보자 선정
제5장 연구자의 정체성
1. 연구자의 정체성 I: 인종, 민족, 계급
2. 연구자의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 II: 젠더
제6장 현지조사의 역사적 맥락
1. 식민주의 인류학
2. 인류학과 역사적 맥락
3. 현지조사에서 역사적 맥락 잡기
제7장 인터뷰
1. 인터뷰의 역사
2. 인터뷰의 종류
3. 인터뷰의 성격
4. 인터뷰 진행
5. 미래의 인터뷰
제8장 초점집단인터뷰
1. 초점집단인터뷰란?
2. 초점집단인터뷰의 성격
3. 초점집단인터뷰의 장·단점
4. 초점집단연구의 다양한 적용
5. 초점집단인터뷰의 실행
제9장 생애사
1. 인간의 생애에 관한 연구 유형
2. 생애사 연구의 역사
3. 생애사
4. 구술생애사 인터뷰를 어떻게 하는가?
제10장 윤리적 문제들
1. 연구 참여자의 동의
2. 사생활 존중
3. 현지민의 신원 보호
4. 기타 윤리적 문제들
제11장 문화기술지적 자료 정리
1. 문화기술지적 자료란?
2. 문화기술지적 자료의 종류와 정리
제12장 해석, 글쓰기 그리고 평가
1. 질적 자료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문화기술지 쓰기
3. 질적연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제III부 질적연구의 새 지평
제13장 글로컬 문화 연구
1. 전지구화 속의 문화 연구
2. 글로컨 문화 연구방법 모색
3. 글로컨 문화 연구 사례들
4. 탈식민 시대 글로컬 문화 연구에서 자기 성찰
제14장 사이버 문화
1. 정보사회와 사이버 문화
2. 사이버 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논의들
3. 사이버 문화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4. 사이버 문화기술지
제15장 참여와 실천
1. 응용인류학과 참여, 실천
2. 개발사업과 인류학적 참여
3. 교육인류학과 대안교육
4. 질적연구방법과 여성의 권력화
5. 실천으로서의 구술사
6. 참여와 변혁을 향한 문화기술지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윤택림
1961년 서울 출생.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미국 미네소타 주립대 인류학 석사, 박사 취득. 현재 한국구술사연구소 소장. 주요 저서: 『인류학자의 과거여행』, 『한국의 모성』, 『주민생애사를 통해 본 20세기 서울 현대사』(공저),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구술사 연구방법론』(공저),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번역). 주요 논문: ‘기억에서 역사로: 구술사의 이론적 방법론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탈식민 역사 쓰기’, ‘구술사와 지방민의 역사적 경험 재현: 시양리 박형호 씨의 구술 증언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농촌 여성의 삶의 경험과 역사이해: 충남 서산 대동리 여성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한국학 연구방법의 모색: 문화기술지적 방법(ethnographic method)을 중심으로’ 등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