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소학집주

현토완역


  • ISBN-13
    978-89-91720-36-7 (04140)
  • 출판사 / 임프린트
    (사)전통문화연구회 / (사)전통문화연구회
  • 정가
    3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0-04-0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성백효
  • 메인주제어
    -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주자학(성리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88 * 257 mm, 466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東洋古典國譯叢書 刊行辭
이 책에 대하여
凡例

御製小學序
小學書題
小學題辭
小學集註總論
小學集註總目
小學集註攷訂
- 立敎 第一
- 明倫 第二
- 敬身 第三
- 稽古 第四
- 嘉言 第五
- 善行 第六
小學集註跋
小學跋

본문인용

-

서평

조선시대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친 책을 하나 들라면 주저없이 소학을 들고 싶다. 소학은 궁궐의 세자에서부터 시골의 학동에 이르기까지 철들면서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었다. 사람을 만드는 책(做人書)이라고 부를 정도로 중요하게 여겨졌던 소학은, 전통시대 기초 윤리의 국정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당시의 문화와 사고를 이해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이다. 본서는 주자의 소학과 제가의 집주에 현토하여 완역한 것으로, 번역은 원의에 충실하게 하고 간략한 역주와 교감을 하였으며, 본문 하단에 난해자의 자의를 달아 학습에 편리하게 하였다

저자소개

번역 : 성백효
충남(忠南) 예산(禮山)에서 태어나셨다. 가정에서 부친 월산공(月山公)으로부터 한문을 수학하셨고, 월곡(月谷) 황경연(黃璟淵), 서암(瑞巖) 김희진(金熙鎭) 선생으로부터 사사했다.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 연수부 수료,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한문교육과를 수료하였고, 현재 한국고전번역원 명예교수, 전통문화연구회 부회장을 역임하고 있으며, 사단법인 해동경사연구소 소장을 역임 중이다.
사서집주(四書集註), 『시경집전(詩經集傳)』, 『서경집전(書經集傳)』, 『주역전의(周易傳義)』, 『고문
진보(古文眞寶)』, 『근사록집해(近思錄集解)』, 『심경부주(心經附註)』, 『통감절요(通鑑節要)』, 『당
송팔대가문초(唐宋八大家文抄) 소식(蘇軾)』, 『고봉집(高峰集)』, 『독곡집(獨谷集)』,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송자대전(宋子大全)』, 『약천집(藥泉集)』, 『양천세고(陽川世稿)』, 󰡔우계집(牛溪集)󰡕, 『여헌집(旅軒集)』, 『율곡전서(栗谷全書)』, 『잠암선생일고(潛庵先生逸稿)』, 『존재집(存齋集)』, 『퇴계전서(退溪全書)』, 『부안설 논어집주(附按說 論語集註)』, 『부안설 맹자집주(附按說 孟子集註)』, 『부 안설 대학·중용집주(附按說 大學·中庸集註)』, 『배우고 익히는 논어(전3권)』, 『최신판 논어집주(論語集註)』, 『최신판 맹자집주(孟子集註)』, 『최신판 대학·중용집주(大學·中庸集註)』, 『조선후기 한문비평(전2권)』 등을 번역하였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