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시민정치론

선진산업민주주의 국가의 여론과 정당


  • ISBN-13
    978-89-5803-096-6 (9330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아르케 / 도서출판아르케
  • 정가
    29,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10-03-1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Russell J. Dalton
  • 번역
    서유경
  • 메인주제어
    정치 및 정부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민주주의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0 * 0 mm, 495 Page

책소개

이 책은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서구 대의민주주의 국가 시민들의 정치참여 행태를 경험적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해낸 비교연구서다. 한국의 민주화 이후의 시대를 사는 '정치적으로 세련된' 시민들이 자신의 정치행태를 비교ㆍ평가하고 성찰하기 위해 읽어야 할 시민정치 교과서이며, 아울러 정치학도와 선거전문가, 정당관계자에게는 필독서이다.

목차

^^1장. 서론 ^^
비교 여론조사 연구
비교연구 대상 국가 선정
새로운 시민정치의 스타일

제I부 정치와 공중
^^2장. 대중 신념의 본질 ^^
수퍼시티즌
비세련된 시민
엘리트주의 민주주의 이론
정치적 세련화 논의 재검토
정치와 공중

^^3장. 어떻게 정치에 참여하는가? ^^
참여의 양식
투표
캠페인 활동
직접적인 접촉활동
자치단체 활동
항의와 논쟁적 행위
인터넷 행동주의
변화하는 공중과 정치참여

^^4장. 누가 정치에 참여하는가? ^^
시민자발주의 모델
누가 투표하는가?
캠페인 활동
직접적인 접촉활동
자치단체 활동
누가 항의하는가?
인터넷 행동주의
상이한 활동들의 상관계수 비교
참여와 현대 민주주의 국가

제II부 정치적 지향
^^5장. 변화하고 있는 가치 ^^
가치변화의 성격
가치의 분포
가치변화의 과정
가치변화의 결과
가치변화와 가치의 안정성

^^6장. 이슈와 이념 지향 ^^
국내정책에 관한 의견들
외교정책에 관한 의견들
좌익/우익 지향
여론과 정치적 변화

제III부 선거의 연고
^^7장. 선거와 정당^^
4개의 정당시스템 개관
정당시스템의 역사
정치적 제휴관계의 구조
현재의 정당시스템

^^8장. 정당지지의 사회적 기반 ^^
사회 집단적 투표모델
사회계급과 투표
계급투표는 왜 쇠퇴하는가?
종교와 투표
기타 사회-집단적 차이들
신정치와 투표
사회적 분열양상의 변모

^^9장. 당파심과 투표^^
사회-심리학적 투표모델
당파적 태도들
당파심의 학습
당파심의 효과
당파적 탈제휴
탈제휴의 결과
탈제휴의 원인
탈제휴 시대의 정치

^^10장. 태도와 선거행태 ^^
이슈투표의 원칙
입장이슈와 투표
성과이슈와 투표
후보 이미지와 투표
인과성 깔때기의 끝 지점
하나의 유권자 아니면 여러 유권자?
시민정치와 투표행태

^^11장. 정치적 대의^^
집합적 상응
양자적 상응
정당정부 모델
정치적 대의 패턴

제IV부 민주주의와 그 미래
^^12장. 시민과 민주주의 [정치]과정 ^^
정치적 지지의 측면들
정치 당국에 대한 신뢰의 쇠퇴
정치제도에 관한 견해들
민주주의적 정권에 대한지지
공동체에 대한 지지 387불만스런 민주주의자들

부록 A: 통계 독본
부록 B: 주요 원자료
부록 C: 2004 국제사회서베이 코드 해설 목록

본문인용

-

서평

시민정치는 폐기처분되었나?
천만에, 한국은 '정치적으로 세련된' 시민들로 가득하다!


많은 시민이 '선거는 노(no)!, 직접행동은 오케이(okay)!라고 말한다. 직접 정치인들을 접촉하고, 결사체를 만들어 입법로비활동을 벌이며, 국정감사를 모니터하고, 상품불매운동을 벌이고, 자치단체에 가입하여 산재된 이익을 집성하고, 촛불시위를 제안하며, 인터넷 서명운동에 참여한다.
이렇듯 이 땅의 시민들은 스스로 새로운 정치 패러다임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 책『시민정치론』은 이 땅의 시민들이 펼치고 있는 것이 '신정치'요 '시민정치'라는 사실을 다양한 이론적 논의들과 풍부한 경험적 자료들을 곁들여 매우 체계적으로 이해시킨다. 그뿐 아니라, 그것이 현재 서구의 가장 선진화된 민주주의 국가의 시민들이 펼치고 있는 것과 동일한 양태의 '신정치'요 '시민정치'라는 사실도 일깨워주고 있다. 결국 이 책은 한국의 민주화 이후의 시대를 사는 '정치적으로 세련된' 시민들이 자신의 정치행태를 비교ㆍ평가하고 성찰하기 위해 이론적 차원의 도움과 전범(典範)을 필요로 할 때 읽어야 할 시민정치 교과서이며, 아울러 정치학도와 선거전문가, 정당관계자에게는 필독서이다.

저자소개

저자 : Russell J. Dalton
번역 : 서유경
경희사이버대학교 후마니타스학과 학과장. 〈아렌트 정치미학〉과 〈시민정치철학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한나 아렌트 정치미학과 현대 정치적 함의: 정치행위와 인간실존의 역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이 책 《책임과 판단》을 비롯하여 《과거와 미래 사이》 《사랑 개념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등 아렌트의 저서 세 권을 우리말로 옮겼고 〈아렌트 정치행위 개념 분석〉과 〈아렌트 정치
사상에 비춰 본 한국의 참여민주주의〉 등 아렌트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작성된 다수의 연구논문을 출간했다. 2018년 독일에서 The Political Aesthetics of Hannah Arendt: How Is Her Concept of ‘Human Plurality’ to Be the Condition for It?이 영문으로 출간되었고, 《제3의 아렌트주의》 출간을 앞두고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