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세상을 밝히는 보석 금강경 (소 / 스프링)


  • ISBN-13
    978-89-962611-0-0 (0322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도반 / 도서출판 도반
  • 정가
    1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9-11-0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종교 및 믿음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불교 경전/법문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0 * 150 mm, 146 Page

책소개

대승 불교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이 현대적으로 편집되어 아름답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졌다. 송강 스님의 명쾌한 글과 방혜자 선생님의 그림은 금강경의 깊은 뜻을 더욱 빛내준다. 송강 스님의 금강경은 스프링 제본 세트로 금강경(소)와 금강경(대)가 출시 되었다.

금강경(소)는 주머니에 쏙 들어가는 크기이고, 금강경(대)는 책상에 놓고 보기 좋으며 첫 인상으로는 ‘품위가 느껴진다’ 는 것이다. 그래서 책을 그냥 바라보고 있는 것만으로도 저절로 명상이 되는 듯한 착각에 빠져 들기도 한다. 실제로 장시간 보고 있어도 편안함을 준다.

목차

1. 법회인유분 제일 (법회가 이루어지는 인연.)
2.선현기청분 제이 (수보리존자가 가르침을 청함.)
3.대승정종분 제삼 (대승의 가장 중요한 가르침.)
4.묘행무주분 제사 (뛰어난 수행에는 집착이 없다.)
5.여리실견분 제오 (가르침대로 참답게 보라.)
6.정신희유분 제육 (바른 믿음은 고귀하다.)
7.무득무설분 제칠 (얻을 수도 설명할 수도 없다.)
8.의법출생분 제팔 (가르침을 따르면 깨닫는다.)
9.일상무상분 제구 (깨달음에는 자취가 없다.)
10.장엄정토분 제십 (불국토 건설은 건설이 아니다.)
11.무위복승분 제십일 (깨닫는 것이 으뜸가는 복이다.)
12.존중정교분 제십이 (바른 가르침은 존중된다.)
13.여법수지분 제십삼 (가르친 그대로 받아들여 수행하라)
14.이상적멸분 제십사 (관념을 초월하면 평화롭다.)
15.지경공덕분 제십오 (경을 지니는 공덕)
16.능정업장분 제십육 (업으로 인한 장애를 맑히는 법)
17.구경무아분 제십칠 (끝끝내 ‘나’라고 할 것이 없다.)
18.일체동관분 제십팔 (하나의 몸 같은 지혜)
19.법계통화분 제십구 (법계를 모두 교화하는 법)
20.이색이상분 제이십 (육신과 상호만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다.)
21.비설소설분 제이십일 (설한 것은 설함이 아니다.)
22.무법가득분 제이십이 (얻을 수 있는 진리가 없다.)
23.정심행선분 제이십삼 (맑은 마음으로 좋은 법을 실천하라.)
24.복지무비분 제이십사 (복과 지혜는 견줄 수 없는 것)
25.화무소화분 제이십오 (교화하되 교화된 중생이 없다.)
26.법신비상분 제이십육 (여래의 참모습은 상호가 아니다.)
27.무단무멸분 제이십칠 (끊어짐도 없고 멸함도 없다.)
28.불수불탐분 제이십팔 (받지도 않고 탐착하지도 않는다.)
29.위의적정분 제이십구 (부처님의 모습은 고요하고 평화롭다.)
30.일합이상분 제삼십 (실체는 관념들의 집합이 아니다.)
31.지견불생분 제삼십일 (지견을 내지 않아야 한다.)
32.응화비진분 제삼십이 (조건 따라 보인 것은 참된 것이 아니다.)

본문인용

-

서평

금강경은 불교의 핵심 사상을 담고 있는 경전 중의 경전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랜 세월에 걸쳐 많은 이들에게 지혜를 안겨준 동양 철학서 중의 철학서라고도 할 수 있다.
부처님께서 금강경을 말씀 하신지 2천년이 넘었지만, 금강경은 여전히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소중한 깨달음을 선물하고 있다.

송강스님의 금강경(대)의 돋보이는 몇 가지 중요한 특징들을 짚어본다.

첫째, 금강경을 현대 말로 번역한 송강스님의 글은 간결하면서도 힘찬 문체와 아름다운 구절들의 조합이다.
군더더기를 배제해 의미를 명쾌하게 살리고, 문장이 아름다워 불교 공부를 깊이 하지 않은 일반인들도 그 뜻을 받아들이기에 어려움이 없다.

둘째, 한문의 분석적 제시로 그 의미를 파악하기 쉽다.
한문본은 그 뜻을 파악하기 어렵고, 한글본은 뜻 글자로 이루어진 한문의 깊은 의미를 새기기 어렵다.
그러나 송강 스님의 금강경은, 한문을 번역된 한글과 하나하나 연결 짓는 구조를 통해 어떤 한자가 어떻게 번역되었는지를 제시함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알 수 있게 한다.

셋째, 각주가 자세하여 원문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불교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금강경을 읽을 때에도 거부감이 없도록, 중요한 단어들에 대한 뜻 풀이를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번역에 대한 근거와 해설까지 제시해줌으로써. 독자들의 의문을 최소화시켜 준다.

넷째, 방혜자 선생님의 작품이 금강경의 아름다움을 더해준다.
표지를 장식하고 있는 ‘빛의 노래’는 빛의 화가인 방혜자 선생님의 작품이다.
오랜 세월 동안, 우주 근원적 존재로서의 빛의 세계를 탐구하고, 그림 속에서 일관되게 그 세계를 펼쳐 보이고 있는, 방혜자 선생님의 작품은 금강경의 근본 정신과 맥을 같이 하며 감상의 즐거움에 폭을 넓혀준다.

다섯째, 편집 디자인이 아름다워 가독성이 높다.
아름다운 색과 서체들의 조화는 읽기에 편안함을 주는 요인이 된다.
문자의 크기와 색깔의 구분별 배치는 필요한 부분들을 잘 찾아낼 수 있게 하려는 편집자의 섬세한 배려이다.
늘 곁에 두고 독송해야 하는, ‘경’에 꼭 맞는 디자인이라 할 만하다.

여섯째, 일반 책 크기에 스프링 제본을 하여, 책상에 놓고 보기 매우 편리하며 언제나 가까이 두고 금강경의 뜻을 새기며 공부하기 좋다.

금강경이 불교 신자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소중한 유산이라고 볼 때, 송강스님의 오랜 연구를 통해 번역된 이 금강경은 우리에게 또 하나의 새로운 문화 유산일 것이다.

경전을 찬탄하는 게송
가장 높고 깊으며 미묘한 가르침
백천만겁 지나도록 만나기 어려워라
제가 이제 듣고 보아 지니게 되었으니
부처님의 참된 뜻을 밝게 깨쳐 알아지다.

저자소개

편집 : 송강
- 한산 화엄(寒山華嚴)선사를 은사로 득도
- 화엄, 향곡, 성철, 경봉, 해산, 탄허, 석암 큰스님들로부터 선(禪), 교(敎), 율(律)을 지도 받으며 수행
- 중앙승가대학교에서 5년에 걸쳐 팔만대장경을 일람(一覽)
- 1987년부터 7년간 대한불교조계종 총무국장, 재정국장 역임
- BBS 불교라디오방송 ‘자비의 전화’ 진행
- BTN 불교TV방송 ‘송강 스님의 기초교리 강좌’ 진행
- 불교신문 ‘송강 스님의 백문백답’ 연재
- 불교신문 ‘송강 스님의 마음으로 보기’ 연재
- 불교신문 ‘다시 보는 금강경’ 연재
- 『금강반야바라밀경』 시리즈 , 『송강 스님의 백문백답』 , 『송강 스님의 인도 성지 순례』 , 『송강 스님의 미얀마 성지순례』 『경허선사 깨달음의 노래(悟道歌)』 , 『삼조 승찬 대사 신심명(信心銘)』 , 『송강 스님이 완전히 새롭게 쓴 부처님의 생애』 , 『초발심자경문』, 『다시 보는 금강경』, 『말, 침묵 그리고 마음』, 『나의 사랑 나의 스승 한산화엄』, 『송강스님의 발칸·동유럽 문화 탐방기』 출간
- 2014년 「부처님의 생애」로 중앙승가대학교 단나학술상 수상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표창 2회
- 서울 강서구 개화산(開花山) 개화사(開華寺) 창건

- 현재 개화사 주지로 있으며, 인연 닿는 이들이 본래 면목을 깨달을 수 있도록 기초교리로부터 선어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강좌를 진행하고 있으며, 차, 향, 음악, 정좌, 정념 등을 활용한 법회들을 통해 마음치유와 수행을 지도하고 있음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