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제주도 전설


  • ISBN-13
    978-89-7243-420-7
  • 출판사 / 임프린트
    서문당 / 서문당
  • 정가
    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1996-03-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
  • 번역
    -
  • 메인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추가주제어
    어학 , 소설: 일반 및 문학
  • 키워드
    #소설론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5 * 190 mm, 296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서 문
일러두기

Ⅰ 자연 전설
1 아흔아홉 골
2 성산(城山) 일출봉(日出峯)
3 산방산(山房山)
4 두럭산
5 군산(軍山)
6 비양도(飛揚島)
7 선문대할망
8 쇠 죽은 못
9 여우물
10 백록담(白鹿潭)
11 혼인지(婚姻池)
12 강초간물
13 베락구룽
14 고종달이
15 용머리
16 가릿뱅디
17 오백 장군(五百將軍)
18 말머리
19 유반석(儒班石)과 무반석(武班石)

Ⅱ 역사 전설
20 고성(古城) 홍효자(洪孝子)
21 충효(忠孝) 박계곤(朴繼崑)
22 홍노 오서자(吳庶子)
23 열녀 국지(國只)
24 절부암(節婦岩)
25 신촌(新村) 김댁(金宅) 효부(孝婦)
26 기건 목사(奇虔牧使)
27 김명헌참판(金命獻參判)
28 강별장(姜別將)
29 오찰방(吳察訪)
30 감목관(監牧官) 김댁(金宅)
31 정의(旌義) 홍형방(洪刑房)
32 배질러 벤 당장
33 변만경(邊萬頃)과 벤줄래
34 김통정(金通精) 장군
35 김녕(金寧) 뱀굴
36 괴 범천총
37 무우남밭 이좌수(李座首)
38 대포(大浦) 원형방(元刑房)과 이좌수
39 홍업선(洪業善)
40 고성목과 산방덕
41 서귀진(西歸鎭) 변인태(邊仁泰)
42 월계(月溪) 진좌수(秦座首)
43 가시오름 강당장
44 심돌 부대각
45 평대(坪垈) 부대각
46 날개 돋친 밀양(密陽) 박씨
47 닥밭 정운디
48 새샘이와 정운디
49 다리 송천총과 심돌 부대각
50 한연 한배임재
51 토산(?山) 당팟당장
52 막산이
53 논하니
54 문만호(文萬戶) 며느리
55 심돌 강씨(姜氏)할망
56 시흥리(始興里) 현씨 남매(玄氏男妹)
57 태흥리(泰興里) 경김댁(慶金宅) 며느리
58 산호 해녀
59 관덕정(觀德亭)
60 연북정(戀北亭)
61 대림(大林)의 선돌
62 우도(牛島) 득성이코지
63 개 무덤
64 신선 고장의 개
65 매고 무덤

Ⅲ 신앙 전설
66 고전적(高典籍)
67 고전적(高典籍) 부친묘(父親墓)
68 오훈장(吳訓長)과 정지관(鄭地官)
69 현지관(玄地官)
70 지관(地官) 김귀천(金貴泉)
71 문국성과 소목사
72 대정(大靜) 고을의 형국(形局)
73 대정(大靜)의 문과조사(文科早死)
74 두모(頭毛)와 지미(地尾)
75 온평리(溫平里)의 청룡(靑龍)
76 산방산(山房山) 금장지(禁葬地)
77 군산(軍山) 금장지(禁葬地)
78 부댁(夫宅) 도선묘(都先墓)
79 변댁(邊宅) 입도선묘(入島先墓)
80 새 비 육
81 당 오백 절 오백
82 광정당(廣靜堂) 말무덤
83 노형동(老衡洞) 광평당(廣坪堂)
84 윤남패기 자원당
85 용소(龍沼)와 기우제
86 굴칫 영감과 토산당 뱀
87 도채비(Ⅰ)
88 도채비(Ⅱ)
89 부훈장(夫訓長)과 도채비
90 도채비불과 한동리명(漢東里名)

개 설
1 전 설
2 전설의 종류?형식?내용?기능

본문인용

-

서평

탐라전역에 흩어져 있는 전설의 집대성! 이 <제주도전설>은 먼 선대로부터 내려오는 구전이긴 하지만 그 당시의 제주의 목사·현감·좌수·장사·명의·사신·굿·귀신·도둑·목장등에 얹힌 이야기가 흥미진진하면서 한편 신비스럽기조차 하다. 뿐만아니라, 정사에 기록된 이면사가 꽤 많다. 고려 원종 때의 삼별초의 난, 조선조 세종 때의 명신 기건의 이야기 등, 그리고 제주도 방언과 우리 고어 연구에도 일조가 되리라.

저자소개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