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제주 4.3을 묻습니다

왜곡과 미화를 넘어


  • ISBN-13
    978-89-7940-716-7 (029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신서원 / (주)신서원
  • 정가
    5,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7-05-10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이영권
  • 번역
    -
  • 메인주제어
    역사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1 * 185 mm, 158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글머리에^^

^^제1부 진실을 잃은 제주4.3^^

1. 제주도인민위원회의 부활을 꿈꾸며
2. 진실을 잃어버린 '4.3 잃어버린 마을표석'
3. 국민방위군, 무명용사로 둔갑한 국가폭력의 희색자

^^제2부 문답으로 잃는 제주4.3^^

1. 일제치하에서 민족해방운동을 주도적으로 벌인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2. 좌익과 우익에 대해 정확히 알고 싶은데요?
3. 해방 후 건설하려 했던 새 조국의 모습은 어떤 것이었나요?
4. 1945년 8월 15일, 일제 패망소식을 듣고 백범 김구는 왜 긴 탄식을 했을까요?
5.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 중에 연합국은 한국의 독립을 약속했다고 배웠는데요.
6. 자주 언급되는 '인민위원회'는 공산당 조직이 아닌가요?
7. 조선인민공화국[인공]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같은 건가요?
8. '신탁통치문제'는 심하게 왜곡되었다고 하는데 그 진실을 무엇인가요?
9. 1947년 2월 제주도 '민전'결성식에서 스탈린과 김일성을 명예회장으로 추대한 점을 보면 아무래도 '민전'은 공산주의 조직 같은데요?
10. 4.3의 발단이라는 3.1시위는 기미년 만세운동과는 물론 다른 것이겠죠?
11. 제주도 사람들에게 악명 높은 서북청년회[서청]는 어떤 조직인가요?
12. 한 마디로 말해 4.3은 왜 일어났나요?
13. 1948년 4월 3일 제주도민들은 '단독선거, 단독정부수립 저지'와 '자주적 통일국가 건설', 그리고 '경찰과 서청의 추방'을 요구 조건으로 봉기했다고 했는데, 당시 도민들의 정치의식이 통일이나
분단을 논할 만큼 높았던 것인가요?
14. 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교과서에는 '공산주의자들이 일으킨 무장폭동'이라고 기술되어 있는 데요?
15. 그렇다면 누가, 왜 4.3를 '공산폭동'으로 왜곡하는 건가요?
16. 군경의 토벌대상이 되었던 유격대의 규모는 어느 정돈가요?
17. 4.3 발발당시 한라산 정상에 오각별기[북한기]가 휘날렸다는 주장도 있던데요?
18. 4.3이 조기에 평화적으로 수습될 기회가 있었다면서요?
19. 오라리 방화사건의 진상은 무엇입니까?
20. 대한민국은 유엔이 승인한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인가요?
21. 1948년 8월 해주대회에 4.3의 주역들이 참석한 것을 보면 아무래도 4.3은 북한과 관계 깊은 것 같은데요?
22. 4.3과 관련한 사망자 숫자는 어느 정도 되나요?
23. 제주4.3관련 연구서적들에 자주 등장하는 란 무엇인가요?
24. 제주4.3 당시 선포된 계엄령은 불법이라면서요?
25. 인간으로서 상상하기 힘든 그런 학상을 자행한 심리는 어떤 걸까요?
26. 제주4.3과 관련해서 '연좌제 피해'라는 말이 있던데 그건 또 무엇인가요?
27. 4.3에는 미국의 책임도 크다고 하던데요?
28. 이제 4.3에 대해 올바른 이름을 붙여주세요
29. 4.3갈등을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
30. 제주4.3과 관련해서 최근의 변화된 상황을 얘기해 주세요

^^참고문헌^^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이영권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졸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졸업(문학 박사: 역사사회학 전공)

주요 저서:
제주역사기행(한겨레신문사, 2004)
새로 쓰는 제주사(휴머니스트, 2005)
제주역사 다시 보기: 왜곡과 미화를 넘어(신서원, 2007) 등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