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삶으로서의 은유

수정판


  • ISBN-13
    978-89-7878-832-8 (93700)
  • 출판사 / 임프린트
    (주)박이정출판사 / (주)박이정출판사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6-11-25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조지 레이코프
  • 번역
    나익주 , 노양진
  • 메인주제어
    언어학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의미론/화용론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48 * 210 mm, 480 Page

책소개

없음

목차

수정판을 옮기면서 
옮긴이의 말 
지은이의 말 
감사의 말 

1. 삶을 이끌어 가는 개념들 
2. 은유적 개념의 체계성 : 부각과 은폐 
3. 은유적 체계성 : 부각과 은폐 
4. 지향적 은유 
5. 은유와 문화적 정합성 
6. 존재론적 은유 
7. 의인화 
8. 환유 
9. 은유적 정합성에의 도전 
10. 추가적 실례들 
11. 은유적 구조화의 부분성 
12. 개념체계의 토대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13. 구조적 은유의 토대 형성 
14. 인과관계 : 부분적 창발과 부분적 은유 
15. 경험의 정합적 구조화 
16. 은유적 정합성 
17. 은유들 사이의 복잡한 정합성 
18. 개념 구조 이론의 몇 가지 귀결 
19. 정의와 이해 
20. 은유가 형태에 어떻게 의미를 주는가? 
21. 새로운 의미 
22. 유사성의 의미 
23. 은유, 진리, 행위 
24. 진리 
25. 객관주의와 주관주의 신화 
26. 서양철학과 언어학의 객관주의 신화 
27. 은유가 어떻게 객관주의 신화의 한계를 드러내는가 ? 
28. 주관주의 신화의 부적절성 
29. 채험주의적 대안 : 낡은 신화에 대한 새로운 의미 부여 
30. 이해 

저자 후기 
참고문헌 
후기 
참고문헌(후기2003) 
찾아보기

본문인용

-

서평

이 책에 따르면 은유는 마음의 기본적 기제이다. 즉 은유는 우리의 물리적,사회적 경험에 관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을 사용해서 수많은 다른 주제들을 이해할 수있게 해 주는 핵심적인 기제이다. 그러한 은유는 경험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구조화한는 점에서 삶으로서의 은유 즉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우리의 시각과 행위를 구성해 주는 은유이다. 언어학 철학도는 물론 인문학에 관심을 가진 독자에게 기반학문으로 역할을 다할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조지 레이코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 언어학과와 인지과학과의 골드만 석좌교수. 국제인지언어학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고 인지언어학의 창시자 중 한 사람이다. 정치 프레임 구성 분야의 미국 최고 전문가로서 라디오와 TV에 출연하고 대중 강연을 하는 동시에 미국의 사회적 쟁점을 둘러싼 진보와 보수의 프레임 전쟁에서 진보가 취해야 할 방법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선정 베스트셀러인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를 비롯하여 《삶으로서의 은유》, 《몸의 철학》, 《프레임 전쟁》, 《자유는 누구의 것인가》, 《폴리티컬 마인드》, 《이기는 프레임》 등의 책을 저술했다.
번역 : 나익주
전남대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강대 대학원과 전남대 대학원에서 영어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UC버클리대 언어학과에서 객원학자로서 은유와 인지언어학을 공부했다. 전남대와 충남대, 광주교대에서 강의했고 광주여고, 서강고, 광주상고 등에서 영어를 가르쳤으며 광주 지산중학교장을 지냈다. 현재 한국담화인지언어학회의 학술지 『담화와 인지』 편집위원과 한겨레말글연구소의 연구위원을 맡고 있으며, 전남대 인문사회 학술연구교수이다.
소수만이 아니라 모두에게 정의롭고 평화로운 사회를 소망하면서 언어와 은유가 어떻게 우리 삶을 지배하는가를 밝히는 연구를 수행해왔다. 은유 이론과 정치적 프레임 이론을 소개한 『조지 레이코프』(2017)를 쓰고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4)과 『어휘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2015)을 공저했으며, 『삶으로서의 은유』(1995/2006 공역), 『몸의 철학』(2003 공역), 『개념 영상 상징』(2005), 『프레임 전쟁』(2007), 『자유 전쟁』(2009), 『이기는 프레임』(2016), 『지구적 불평등』(2019), 『과학의 은유: 진리 만들기』(2020 공역) 등의 역서를 펴냈다.
번역 : 노양진
전남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서던일리노이대학교(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다. 주로 언어철학과 윤리학, 철학방법론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상대주의의 두 얼굴』(2007), 『몸·언어·철학』(2009), 『몸이 철학을 말하다』(2013), 『나쁜 것의 윤리학』(2015), 『철학적 사유의 갈래』(2019)가 있으며, 역서로 『마음 속의 몸』(2000), 『몸의 철학』(2002, 공역), 『삶으로서의 은유』(2007, 공역), 『도덕적 상상력』(2008), 『사실과 가치의 이분법을 넘어서』(2010), 『인간의 도덕』(2017)이 있다.
박이정은 1989년 창립 이래 '깊이와 넓이가 있는 책을 펴내자'는 정신을 바탕으로 국어학, 국문학 분야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문서적 출판에 힘써왔습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