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평면표지(2D 앞표지)

노자와 들뢰즈의 노마돌로지


  • ISBN-13
    978-89-8163-123-9 (03150)
  • 출판사 / 임프린트
    도서출판 당대 / 도서출판 당대
  • 정가
    20,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05-05-17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장시기
  • 번역
    -
  • 메인주제어
    교육
  • 추가주제어
    백과사전, 참고서적
  • 키워드
    #교양 철학
  • 도서유형
    종이책, 반양장/소프트커버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52 * 223 mm, 300 Page

책소개

노자의 <도덕경>에 나타난 노마돌로지를 들뢰즈의 언어로 기록하는 책이다. 노마돌로지란 근대화과정을 통해 서구.백인.남성 중심주의의 지배체제를 공고히 한 근대의 국가철학에서 소외된 근대 이후의 노동자, 여성, 흑인, 비서구인, 즉 근대화과정에서 형성되어 탈근대의 미래를 새롭게 구성하는 미래인(노마드)의 인식론적.존재론적.생태론적 지식체계 전반을 일컫는 말이다.

저자는 책을 통해 들뢰즈가 자신의 수많은 책들에서 서양의 노마돌로지를 계보화하듯이 노자의 <도덕경>을 바탕 삼아 동양의 노마돌로지를 계보화하여 동양과 서양의 노마돌로지가 오늘날의 동아시아뿐 아니라 인류 전체에 필요한 탈근대적 노마돌로지로 합당하다는 것을 증명하려 한다.

목차

책머리에

^^1. 노마돌로지란 무엇인가?^^
1. 노마드와 노마돌로지
2. 동양과 서양의 국가철학과 노마돌로지
3. 노마드와 노마돌로지의 역사
4. 오늘날의 전지구적 탈근대와 노마드 문화

^^2. <도덕경>의 노마돌로지^^
1. 노마드의 생성(Becoming of Nomad)
2. 노마드 지식인의 미학(Beauty of the Nomadic Intellectual)
3. 노마드의 욕망(Desire of Nomad)
4. 내재성의 장(The Plane of Immanence)
5. 동물 되기(Becoming Animal)
6. 암컷 되기(Becoming Woman)
7. 카오스모스(대지와 영토) [Chaosmos(Earth and Territory)]
8. 리좀의 책(Book of Rhizome)
9. 노마드적 관계의 선분(The Line of Nomadic Relationship)
10. 기관들 없는 몸(The Body Without Organs)
11. 노마드적 주체(The Nomadic Subject)
12. 욕망기계(The Desiring Machine)
13. 사랑과 몸의 생성체계(Becoming System of Love and Body)
14. 사랑의 순수내재성(The Pure Immanence of Event)
15. 노마드의 역사와 지식인(Nomadic History and the Intellectual)
16. 노마드의 '운명애'(Nomadic 'Amor Fatie')
17. 사회체(The Social Body, or Socius)
18. 가족주의의 탄생(oedipus, at Last!)
19. 기호체제와 추상기계(Sign System and Abstract Machine)
20. 노마드 지식인(The Nomadic Intellectual)
21. 대지의 길(The Way of Earth)
22. 영원회귀(1): 절대적 탈영토화
(The Eternal Return(1): The Absolute Deterritorialization)
23. 자연의 길(The Way of Nature)
24. 탈주의 예술가(The Artst of Flight)
25. 영원회귀(2): 물질의 운동과 극한
(The Eternal Return(2): Movement and Limit of Matter)
26. 벡터의 힘(The Force of Vector)
27. 지식과 실천: 밝음과 오묘함(Knowledge and Practice: Light and Secret)
28. 욕망의 흐름(The Flowing of Desire)
29. 추상기계(The Abstract Machine)
30. 노마드의 정치학(The Nomadic Politics)
31. 힘과 권력(Force and Power)
32. 노마드의 고원: 계곡의 물(The Nomadic Plateau: Water of the Valley)
33. 과학과 예술(Science and Art)
34. 욕망기계의 생태학적 배치(The Ecological Arrangement of Desiring Machines)
35. 우주와 자연(Universe and Nature)
36. 리비도의 욕망(Desire of Libido)
37. 노마드적 욕망의 미학(Ascetics of Nomadic Desire)

^^3. 영화예술의 노마돌로지^^
1. 들뢰즈의 영화
2. 근대적 영화와 탈근대적 영화
3. 영화예술의 노마돌로지
4. 영화 '실미도'의 힘
5. 박찬욱 감독의 '올드 보이': 기억의 과거와 망각의 과거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장시기
1960년 충북 괴산에서 태어나 동국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현재 동국대 영문과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포스트모던 시대의 문학과 언어>, <근대와 탈근대의 접경지역들> 등이 있다.
상단으로 이동
  • (54866)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중동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