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평면표지(2D 앞표지)

점·선·면


  • ISBN-13
    978-89-7059-475-0 (93540)
  • 출판사 / 임프린트
    안그라픽스 / 안그라픽스
  • 정가
    22,000 원 확정정가
  • 발행일
    2021-07-29
  • 출간상태
    출간
  • 저자
    구마겐고
  • 번역
    -
  • 메인주제어
    건축
  • 추가주제어
    -
  • 키워드
    #건축 #건축이론/비평/역사 #건축이야기/건축가 #국내도서 #예술/대중문화
  • 도서유형
    종이책, 무선제본
  • 대상연령
    모든 연령, 성인 일반 단행본
  • 도서상세정보
    120 * 188 mm, 312 Page

책소개



2020 도쿄올림픽 국립경기장을 설계한 일본 건축가 구마 겐고는 지금껏 자연을 소재로 건축과 장소, 건축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깊이 있게 통찰해왔다. 자연, 사람, 사물과 공존하는 ‘약한 건축’에 이어 ‘자연스러운 건축’ ‘연결하는 건축’ ‘작은 건축’을 다룬 구마 겐고가 세상에 전하는 또 하나의 건축 이야기는 입자의 건축 ‘점·선·면’이다.

딱딱하고 묵직한 콘크리트로 점철된 20세기 건축은 환경에 이기기 위한 건축이었다. 급성장한 경제 규모와 폭발적으로 늘어난 인구수를 감당해야 했던 20세기에는 크고 튼튼한 볼륨 안에 가능한 많은 사람을 밀어 넣는 방식이 기본이었다. 구마 겐고는 이런 볼륨의 속박에서 벗어나 물질과 공간이 이룬 자유로운 흐름에 몸을 맡길 방법으로 점·선·면에 집중해 볼륨을 분해하고자 한다.

세상이 발전하고 급변하는 사이 거대해진 건축. 이는 단순히 거대한 규모만이 아니라 극소에서 극대에 이르는 혼재와 중층이었다. 그 속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점은 커다란 사물에서도 작은 것을, 작은 사물에서도 커다란 것을 발견하는 자세다. 물리적으로 큰 존재에서 작음을 느낄 건축을 실현할 방법, 그 해답을 찾는다면 빠르게 확장되는 세계에서 모두가 살아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극소와 극대가 중층하는 환경에서 살아나갈 길을 찾는 데 실마리가 된 것은 초끈 이론이다. 두께가 없는 점이나 선은 아무리 더해도 덩어리가 될 수 없다. 진동하는 현을 도입하면 점·선·면의 차이는 진동의 차이일 뿐이다. 점·선·면을 진동시켜 어떻게든 확장해나가면 건축을 넘고 도시를 넘어 세계에 도달한다. 이 책 점·선·면에서는 점·선·면 세 가지 분류로 나누어 현의 진동을 기술했다. 그것은 모두 진동이고 진동으로 나타난 결과다.

목차

방법서설
20세기는 볼륨의 시대
일본 건축의 선과 미스 반데어로에의 선
구성의 칸딘스키에서 질감의 깁슨으로
깁슨과 입자
주지주의 대 다다이즘
운동으로서의 시간에서 물질로서의 시간으로
덧셈의 디자인으로서의 컴퓨테이셔널 디자인
브루노 라투르와 사진총
건축과 시간
운동에서 시간을 해방하다
칸딘스키에 의한 차원의 초월과 삽입
상대적 세계와 유효 이론
건축의 확대
금융자본주의의 XL 건축
건축의 팽창과 새로운 물리학
진화론에서 중층론으로
초끈 이론과 음악적 건축
들뢰즈와 물질의 상대성


큰 세계와 작은 돌멩이
그리스에서 로마로의 전환
점 집합체로서의 시그램 빌딩
돌 미술관의 점을 향한 도전
점에서 볼륨으로의 도약
브루넬레스키의 파란 돌
브루넬레스키의 점 실험
브루넬레스키의 귀납법
건축에서의 연역법과 귀납법
폴리에틸렌 탱크와 날도래
액체로 점을 잇다
신진대사와 점
선이라 부를 정도로 얇은 돌
일본 기와와 중국 기와
점의 계층화와 노화
자유로운 점으로서의 삼각형
솔잎 원리로 성장하는 쓰미키 나무 블록
바둑판무늬가 만드는 점
선로의 자갈이라는 자유로운 점
바둑판무늬와 검약
이산성과 사하라 사막


르 코르뷔지에의 볼륨, 미스 반데어로에의 선
단게 겐조의 어긋난 선
선에서 볼륨으로 퇴화한 일본 건축
나무 오두막에서의 출발
가우디의 선
점묘화법
열대 우림의 가는 선
모더니즘의 선과 일본 건축의 선
전통 논쟁과 조몬의 굵은 선
이동하는 일본 목조의 선
중심선 치수와 안목 치수
히로시게의 작품 속 가는 선
소나기의 건축
V&A 던디의 선묘화법
살아 있는 선과 죽은 선
필식론의 선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헤매는 선
한없이 가는 탄소 섬유의 선
도미오카 창고의 비단 같은 선


리트벨트 대 데클레르크
반데어로에 대 리트벨트
사하라에서 만난 베두인의 천
젬퍼 대 로지에
프랑크푸르트의 천으로 된 다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사막 텐트
홋카이도 들판의 천으로 된 집
재해로부터 사람을 지키는 카사 엄브렐라
풀러 돔과 건축의 민주화
텐세그리티로 지구를 구하다
세포와 텐세그리티
800년 후의 방장암

참고문헌
도판 출처

본문인용

-

서평

-

저자소개

저자 : 구마겐고
1954년 가나가와현에서 태어났다. 일본을 대표하는 건축가이며, 작고, 낮고, 느린 삼저주의로 안도 다다오 이후 일본 건축의 한 축을 받치고 있다. 1979년 도쿄대학 대학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컬럼비아대학 객원연구원을 거쳐 1990년에 구마겐고건축도시설계사무소를 설립했다. 지금까지 20여 개 국가에서 다양한 건축물을 설계했다. 1997년 ‘모리부타이?도요마마치 전통예능전승관’으로 일본건축학회상을 수상하고, 같은 해에 ‘물/유리’로 미국건축가협회 베네딕투스Benedictus 상을 받았다. 2001년 ‘돌 미술관 石の美術館’으로 국제석재건축상을 수상, 2002년 ‘바토히로시게미술관’을 비롯한 목재 건축으로 ‘스피릿 오브 네이처 국제목재건축상 Spirit of Nature Wood Architecture Award’을 수상했다. 2010년에는 ‘네즈미술관’으로 마이니치예술상을 수상했다. 그 밖의 대표작으로 ‘산토리미술관’, ‘대나무집竹の家’, ‘아오레 나가오카’, ‘아사쿠사문화관광센터’, ‘제5기 가부키자’, ‘브장송예술문화센터’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 《나, 건축가 구마 겐고》 《삼저주의》 《작은 건축》 《일본인은 어떻게 주거해야 하나》 《나의 장소》 등이 있다. 최근작 : 점·선·면,구마 겐고, 건축을 말하다,의성어 의태어 건축 … 총 10종
‘안그라픽스’는 35년이 넘는 시간 동안 디자인 분야에서 가장 전문적이고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책을 만들어왔으며, 타이포그래피, 정보 디자인, 브랜드 디자인 및 건축 분야의 책을 기획·출간하고 있습니다. 『한국전통문양집』 같은 한국 고유의 디자인 요소를 복원해 한국 디자인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한편, 디자인의 사회적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에 힘씁니다.
상단으로 이동